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of Japan and South Korea: New Strategies for an Uncertain World
Editors: Huck-ju Kwon, Tatsufumi Yamagata, Eunju Kim, Hisahiro Kondoh
Palgrave Macmillan
Public perception of foreign aid in South Korea: The effects of policy efficacy in an emerging donor
Eunju Kim and Kyungwoo Kim
Kim E, Oh Y, and Kennett P (2025). Risk Governance, State Capacity, and Critical Human Security: Evolution of Risk Governance in Response to Systemic Risk in the UK and South Korea. Social Policy and Society 1–14. https:// doi.org/10.1017/S1474746425000144
Policy support and its influencing factors
Choi & E. Kim. (2024) Policy support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nalysis on International Development Policy in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Korea Observer, Vol 55. No.3.
Private Sector Engagement Policies in South Korea: Challenges and Policy Recommendations, Book chapter, <Emerging Trend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and Climate Policy-A Focus on Korea and Germany>, Palgrave Macmillan Cham
언론 보도가 국민의 정부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장효진, 김은주 (2024). 언론 보도가 국민의 정부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정책 인지도와 중요도 인식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 33권 2호, p.89-111
김은주, 최창용(2023). 국제개발협력 목표에 대한 국민인식과 영향요인 분석, 국제개발협력연구, 15(3), 1-16
김은주(2023), 국제개발협력 민간기업과 파트너십 연구: 민간기업 파트너십 프로그램 사례 분석, 국제개발협력의 파트너십: 이론, 이슈 그리고 사례, 손혁상, 이진영, 김석우 엮음 서울: 인간사랑
근거이론을 활용한 국제개발협력 분야 청년 인력의 이직의도 연구
최창용;김서영;김은주. (2022). 근거이론을 활용한 국제개발협력 분야 청년 인력의 이직의도 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보, 21(3), 85-115.
다자성양자 원조채널 선택동기에 대한 이론적 탐색: 주인-대리인 모델을 적용한 한국의 다자성양자 원조 사례연구.
김은주. (2022). 다자성양자 원조채널 선택동기에 대한 이론적 탐색: 주인-대리인 모델을 적용한 한국의 다자성양자 원조 사례연구. 국제개발협력연구, 14(1), 15-31.
국제개발협력 분야 민간기업참여 확대를 위한 정책수단 연구
김은주 & 이도석. (2022). 국제개발협력 분야 민간기업참여 확대를 위한 정책수단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6(1), 1-22.
공적개발원조(ODA) 분야 정책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은주 & 윤수재. (2021). 공적개발원조(ODA) 분야 정책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과학학회보, 25(2), 1-24.
개발수요와 글로벌 동향에 대응한 한국 국제개발협력 정책목표 변화방향
김은주. (2021). 개발수요와 글로벌 동향에 대응한 한국 국제개발협력 정책목표 변화방향.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3(1), 23-48.
2020.3. 새로운 국제개발협력 정책의 모색: 3차 국제개발협력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제언. 국제개발협력연구 제12권 1호(pp.1-17) (KCI)
2020.3. 글로벌 정책목표의 국내이행: 모호성 개념에 기반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사례분석, 한국행정논집. 제32권 1호. pp.51~68 (KCI)
2019.12. A Normative Reflection on Korean ODA Policy: Self-Regards, Duty, and Obligation,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Vol 46. No.2. pp.99-112. (KCI)
2019. 12. 메타평가 모형을 활용한 ODA 국별평가 비교분석 연구, 국제개발협력, Vol 14. No.2 . pp.1-32
2019. 3. 공적개발원조(ODA) 국별평가의 메타평가 연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29권1호 81~113 (KCI)
2018. 6. Multidimensional Child Poverty in South Korea: Developing child-specific indicator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Child Indicator Research (SSCI). Vol. 11, Issue 3, pp 1029-1050
2018.9. 공적개발원조(ODA) 프로젝트 사업에서 집단행동의 문제점: 참여행위자간 관계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제22권 제2호 (KCI). pp.103-131
2018.9. 개발도상국의 농업 가치사슬을 확대하기 위한 디지털 기술의 적용, 국제개발협력, 2018 No 3.
2017.12. 개발효과성 관점에서 분석한 한국의 공공행정 ODA, 국제개발협력연구, 제9권 4호. pp.57-82.
2017.9 공공행정 분야 ODA사업 모니터링과 평가(M&E)를 위한 성과지표 체계화 방안에 대한 연구(공저), 국제개발협력, 2017. Vol 3. pp.165-193
2015.12. KOICA 공공행정 분야 SDGs 대응전략의 방향성에 대한 제언 (공저), 국제개발협력, 2015. Vol 4. pp.37-52
2015.9. “다차원 빈곤지표로 측정한 한국의 아동빈곤 : 새로운 지표의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사회정책, 제22권 3호, pp.105-137 (KCI)
2015.8. “Does aid contribute to improve governance in developing countries?: Different effects by multi-dimensional governance”,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 30, No. 2. (Corresponding author) (KCI)
2015.1. “Conditional Cash Transfer in the Philippines: How to Overcome Institutional Constraints for Implementing Social Protection”, Asia and the Pacific Policy Studies, vol. 2, no. 1, pp. 75–89, doi: 10.1002/app5.72
2014.3. “Poverty Reduction and Good Governance: Examining the Rationale of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Development and Change (SSCI), Volume 45, Issue 2 (Corresponding Author, Co-Author with Huck-ju Kwon)
2013.4. “Education and income inequality reconsidered: A Cross-Country Analysis of Data from 1960-2000”,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 28, No. 1.
2013.3. “학교조직 관리요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이용한 다층분석”, 한국행정논집, 제 25권 제 1호
2012.12. “개발효과성(Development Effectiveness)의 정책적 타당성에 관한 연구: 개발효과성 제고를 위한 정책대안 모색을 중심으로”, 국제개발협력연구, 제 4권 제 2호.
2011.12. “Transition from the Developmental State: The Deliberative Policy Process of Civil Service Pension Reform in Korea”, The Korean journal of Policy Studies, Vol. 26, No. 3. (Co-Author with Huck-ju 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