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 현대자동차 천안글로벌러닝센터
일시: 25.06.10, 13:00~17:00
제목: 하이테크센터 근골격계 유해요인조사 컨설팅
강연 내용:
차량 정비 작업(비정형 작업)에 적합한 근골격계/부위별 부하 평가방법 개발 결과
개발된 평가방법에 기반한 현장 조사 및 설문 조사 실시 결과
향후 지속가능한 사내/자체 평가를 위한 컨설팅 결과 활용 방안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25
장소: 라한셀렉트호텔 경주
일시: 25.05.14~16
저자: 안세희, 백동현
제목: 자동차 비상등 버튼의 위치에 대한 인간공학적 설계
장소: 서울대학교 39동 321호
일시: 25.05.09
제목: 차량용 위기 대응장치의 인간공학적 위치
강연 내용:
자동차 비상등 버튼의 위치에 대한 인간공학적 설계
차량 내 소화기의 인간공학적 설치 위치에 관한 연구
Abstract:
최근 교통사고 발생 건수는 감소하는 추세이나, 2차 사고의 발생 비율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고속도로에서 발생하는 2차 사고의 치사율은 56%에 달해 일반 사고 대비 6배나 높다. 2차 사고의 발생 및 이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1차 사고 혹은 위기 상황에서 운전자가 가장 즉각적으로 수행해야 할 행동은 비상등을 점등하여 위험을 알림으로써, 뒤따르는 차량이 속도를 줄이거나 차선을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는 차량 화재의 경우, 만일 초기 진압에 실패하면 연료가 점화됨에 따라 해당 차량뿐 아니라 주변 차량까지 급격히 연소될 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차량용 소화기를 사용한 즉각적인 초기 대응이 더욱 강조된다. 따라서 이러한 차량용 위기 대응장치인 비상등과 차량용 소화기는 운전자가 즉각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비상등 버튼 및 차량용 소화기의 위치에 대한 규정이 구체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 따라, 차량 제조사 및 모델 마다 해당 장치들의 배치가 상이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비상등 버튼 및 차량용 소화기 위치에 대한 사전 경험/지식이 있고, 동시에 이에 부합하는 곳에 해당 대응장치가 위치한 경우가 아닌 이상, 위기 상황 시 그제서야 찾는 과정/시간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초기 대응이 지연될 수 있고, 특히 위기 상황에 의해 공포감이 유발되면 더욱 그러할 것이다. 실제로 비상등 버튼과 차량용 소화기 위치가 제각기 달라서, 위기 상황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다는 것이 자주 보도되고 있으며, 이는 해당 장치의 위치에 대한 표준화가 절실함을 시사한다. 하지만, ‘어떤 위치로 표준화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가?’라는 질문은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비상등 버튼의 위치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위치 대안을 전수적으로 다루지 않았으며, 급변하는 차량 내부 설계 요구/경향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한편, 차량용 소화기의 위치를 다룬 연구는 전무한데, 소방시설법의 개정으로, 24년 12월 1일부로 소화기 설치 의무 대상 차량이 ‘5인승 이상의 승용자동차’로 확대되어, 표준화가 더욱 시급한 과제가 되었다.
이때, 부적절한 위치로 표준화가 이루어지면, 학습이 어렵거나 지연될 수 있고, 이후 혼란/망각이 유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인구 집단의 기대에 부합하고 직관적이면서 학습/기억이 용이한 동시에 신속/안전한 대응이 가능한 인간공학적 위치로 표준화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상등 버튼과 차량용 소화기의 인간공학적 위치를 각각 실험을 통해 도출하고자 하였다. 장치별 위치 대안(27가지 비상등 버튼 위치, 5가지 차량용 소화기 위치)에 대해 피실험자가 가상의 위험 상황에서 해당 대응장치를 탐색 및 사용할 때 보이는 일련의 행동, 수행도 및 반응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위치 표준화의 필요성(탐색시간이 전체 대응시간의 대부분을 차지)을 재확인하였으며, 비상등 버튼의 경우 센터페시아의 중앙 상단 위치의, 차량용 소화기의 경우 동승석 하단 위치의 인간공학적 우수성을 밝혔다. 본 연구는 두 차량용 위기 대응장치의 위치 표준화에 기여함으로써, 위기 상황 발생 시 신속한 초기 대응을 도모하여 피해 확산을 예방할 뿐 아니라, 궁극적으로는 보다 안전한 도로교통 환경을 조성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주관 2024학년도 EATED 프로그램에서 우수상 수상
저자: 김서연, 김성욱, 이채현
논문 제목: 자동차 다이얼식 변속기의 인간공학적 설계
지도교수: 백동현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주관 2024학년도 EATED 프로그램에서 우수상 수상
저자: 원예담, 강채연
논문 제목: 5인승 차량 내 소화기의 인간공학적 배치에 관한 연구
지도교수: 백동현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주관 2024학년도 EATED 프로그램에서 장려상 수상
저자: 손대원, 임지혁, 최호연
논문 제목: 건물 내 AED 배치에 관한 인간공학 연구
지도교수: 백동현
주제: 하지마비 장애인용 운전보조기구인 핸드컨트롤러의 조작 방향성에 관한 인간공학 연구
저자: 김단아, 김세희, 이수민, 백동현
장소: 온라인공간(ZOOM)
일시: 24.12.09
제목: 작은 시작, 큰 꿈: 학부 연구생에서 박사과정까지의 여정
(Humble Beginnings, Big Dreams: A Journey from Undergraduate Researcher to Ph.D. Course)
강연 내용:
Award Winning Cases in Idea Competitions
트럭 내 CMS display 의 사용자 인식 및 인간공학적 배치 설계에 관한 연구
5 인승 차량 내 소화기의 인간공학적 위치에 관한 연구
다이얼식 변속기의 인간공학적 개선
Applied Ideation Techniques: Attribute Listing and Morphological Analysis
Fall Conference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24
장소: 곤지암리조트
일시: 24.11.13~16
저자: 안세희, 김서연, 이채현, 김성욱, 김경태, 백동현
제목: 자동차 다이얼식 변속기의 인간공학적 설계
Fall Conference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24
장소: 곤지암리조트
일시: 24.11.13~16
저자: 원예담, 강채연, 정성엽, 백동현
제목: 5인승 차량 내 소화기의 인간공학적 설치 위치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24
장소: 부산 BEXCO
일시: 24.10.30~24.11.01
저자: 최호연, 임지혁, 손대원, 백동현
제목: 건물 내 자동제세동기(AED)의 인간공학적 설치 위치에 관한 연구
장소: 경상국립대학교 401동 215호
일시: 24.10.28
제목: 차량 내 인터페이스의 인간공학적 설계: 미래 자동차산업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 사례를 중심으로
(Ergonomic Design of In-Vehicle Interfaces: Focusing on Award-Winning Cases in Idea Competitions for the Future Automotive Industry)
강연 내용:
Award Winning Cases in Idea Competitions
트럭 내 CMS display 의 사용자 인식 및 인간공학적 배치 설계에 관한 연구
5 인승 차량 내 소화기의 인간공학적 위치에 관한 연구
다이얼식 변속기의 인간공학적 개선
Applied Ideation Techniques: Attribute Listing and Morphological Analysis
제 3회 미래 자동차산업 아이디어 공모전(주최: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후원: 산업통상자원부, 현대자동차그룹)에서 최종/TOP 5팀에 선정 및 우수상(상금: 200만원) 수상
저자: 정성엽, 원예담, 강채연
제목: 5인승 차량 내 소화기의 인간공학적 위치에 관한 연구
제 3회 미래 자동차산업 아이디어 공모전(주최: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후원: 산업통상자원부, 현대자동차그룹)에서 최종/TOP 5팀에 선정 및 우수상(상금: 200만원) 수상
저자: 김서연, 이채현, 김성욱
제목: 다이얼식 변속기의 인간공학적 개선
박사과정 안세희 학생과 2023년도 학부 연구생 유재봉 학생이 수행한 연구 결과가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저널에 게재
An, S., Yoo, J., Jeong, Y., & Beck, D. (2024). An Ergonomic Study on Gear Position Sequence and Gear Indicator Location of Automotive Dial-Type Gearshift.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https://doi.org/10.1007/s12239-024-00178-5
Abstract
In the pursuit of an ergonomic gear indicator design for dial-type gearshift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comparatively evaluate eight different gear indicator layout design alternatives that were derived by combining two gear position sequences (P-R-N-D and D-N-R-P) and four gear indicator locations (up, dow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gear selector). A total of 61 respondents of various ages and driving experiences evaluated each design alternative on nine subjective measures (accuracy, efficiency, rapidity, learnability, intuitiveness, safety, preference, memorability, and satisfaction). Additionally, a freehand design session was conducted to capture the respondents’ preferred gear indicator layouts. The study revealed: 1) superiority of P-R-N-D over D-N-R-P for gear position sequence; 2) superiority in the order of up, left, right, and down for gear indicator location; 3) the layout with P-R-N-D above the gear selector as the best combination; and 4) notable relative superiority of the layout with D-N-R-P to the left of the gear selector, despite not being a combination of superior sequence and location. Interpretations and explanations for these study findings are discu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contributing insights to the ergonomic design of gear indicators for dial-type gearshifts that can prevent driver confusion/misoperation and address safety concerns associated with conventional dial-type gearshifts
Keywords: Dial-type gearshift, Gear indicator, Gear position sequence, Gear indicator location, Ergonomic design
석박사통합과정 김경태 학생,
2024년도 2차 교육부 이공분야 학술연구지원사업(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신규과제 수주
과제명: 자동차 컬럼식 변속기의 인간공학적 설계(Ergonomic Design of Automotive Column-type Gearshift)
연구비(인건비)/기간: 1,200만원/1년
석사과정 (24년 8월 졸업) 이송하 학생,
한국지엠(GM) 연구개발법인 지엠테크니컬센터코리아(GMTCK)의 자동차 인간공학 분야 경력직 엔지니어로 취업
채용부서/직무: 선행차량개발/스튜디오 엔지니어(Integration Design engineer)
2024 Korea Auto-vehicle Safety Association Spring Conference
장소: 호텔인터불고 대구
일시: 24.05.23~25
저자: 정성엽, 강채연, 원예담, 백동현
제목: 5인승 차량 내 소화기의 인간공학적 위치에 관한 연구
졸업식날 석사학위 수여자 안세희 학생이 안전공학과 우수논문상 수상
주제: 5인승 차량 내 소화기의 인간공학적 배치에 관한 연구
팀원: 정성엽, 원예담, 강채연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주관 2023학년도 EATED 프로그램에서 장려상 수상
저자: 장민규, 김희호
논문 제목: 차량 비상등 버튼 위치에 관한 인간공학 연구
지도교수: 백동현
석사과정 안세희, 이송하 학생과 2021년도 학부 연구생 박기훈, 이혜림 학생이 수행한 연구 결과가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저널에 게재
An, S., Lee, S., Park, G., Lee, H., Son, M., & Beck, D. (2024). User Perception and Ergonomic Display Layout Design of Truck Camera Monitor System.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99. https://doi.org/10.1016/j.ergon.2024.103547
Abstract
A camera monitor system (CMS) provides side/rear views via in-vehicle displays by replacing the existing mirrors with miniature cameras. Two survey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overall perception of truck drivers toward CMS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irrors and to identify the ergonomic CMS display layout. Thirty experienced truck drivers evaluated CMS compared to the existing mirror system using six evaluation measures (intention to use, safety, convenience, rapidity and accuracy, preference, and superiority). Each respondent also evaluated eight different layout design alternatives using seven ergonomic evaluation measures (rapidity, accuracy, safety, convenience, learnability, intuitiveness, and preference). The design alternatives were developed by combining the locations of two truck CMS displays – one is side display replacing the main and wide-angle exterior mirrors and the other one is front display replacing the front mirror. The study results revealed that truck drivers rated the CMS highly compared to the existing mirror system across all six measures, suggesting the need for further academic and industrial research/development and thereby wider introduction of truck CMS. Also, the layout wherein the side and front displays were positioned at the A-pillar and middle-top-of-windshield locations, respectively, was found to be the best and its design characteristics were: 1) spatial correspondence between the provided information and the in-vehicle location for both the side and front displays, 2) spatial compatibility with driver expectation for the side display, 3) reduction in the eye movement required for the front display, and 4) spatial compatibility by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side and front displays.
Keywords: truck mirror, camera monitor system (CMS), CMS display, user perception, display layout, ergonomic design
석사과정 안세희 학생과 2022년도 학부 연구생 박지원, 김한울, 강혜민 학생이 수행한 연구 결과가 Applied Sciences 저널에 게재
An, S., Park, J., Kim, H., Kang, H., & Beck, D. (2024). An Ergonomic Study on Operation Method and In-Vehicle Location of Automotive Electronic Gearshift. Applied Sciences. 14(2), 672. https://doi.org/10.3390/app14020672
Abstract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o identify the ergonomic operation method, in-vehicle location, and their combination for electronic gearshifts. A total of 15 different design alternatives were derived through combinations of three operation methods (lever slide, button push, and dial rotation) and five in-vehicle locations (left wheel spoke, right wheel spoke, upper center fascia, lower center fascia, and center console). 40 respondents with diverse ages and driving experi-ences evaluated the 15 different design alternatives across nine ergonomic evaluation measures (accuracy, efficiency, rapidity, learnability, intuitiveness, safety, preference, memorability, and satisfact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1) lever slide and button push were superior to dial rotation for the operation method; 2) lower center facia and center console were superior for the in-vehicle location, and 3) implementing lever slide method in center console location was found to be the best combination of the operation method and in-vehicle location, while implementing button push method in right wheel spoke or upper center fascia location also showed the relative superiority. The study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rgonomic design of electronic gearshifts that can enhance the driver’s gear-shifting experience, thereby improving driving performance and safety.
Keywords: electronic gearshift; operation method; in-vehicle location; superior combination; ergonomic design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23
장소: 부산 BEXCO
일시: 23.11.22~24
저자: 이승연, 김성령, 백동현
제목: 컬럼식 변속기의 인간공학적 설계에 관한 연구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23
장소: 부산 BEXCO
일시: 23.11.22~24
저자: 정모경, 김정현, 한광덕, 백동현
제목: 다이얼식 변속기의 인간공학적 설계에 관한 연구
Fall Conference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23
장소: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일시: 23.11.15~18
저자: 장민규, 김희호, 백동현
제목: 차량 비상등 버튼 위치에 관한 인간공학 연구
Fall Conference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23
장소: 제주국제컨벤션센터
일시: 23.11.15~18
저자: 이송하, 백동현
제목: 자동차 변속 버튼의 인간공학적 배치 설계
인스파이어 리조트 신입직원 역량 강화 교육
장소: 포스코인재창조원 대강당
일시: 23.09.19
대상: 인스파이어 리조트 신규 입사자 136명
제목: 산업안전교육
교육 내용:
호텔 및 숙박시설 위험요인 및 재해 예방대책
산업안전보건법 개관
주요 법규(총칙, 안전보건교육, 안전보건규칙)
근골격계부담작업 및 근골격계질환 유해요인 조사
고객응대근로자의 감정노동 및 직무스트레스
Spring Conference of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023
장소: 한경국립대학교
일시: 23.05.17~20
저자: 안세희, 백동현
제목: An Ergonomic Study on Gear Indicator of Dial-type Gearshift
(다이얼식 변속기의 기어 표시기에 대한 인간공학 연구)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23
장소: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일시: 23.05.10~12
저자: 유재봉, 백동현
제목: An Ergonomic Study on Gear Indicator Layout of Dial Gearshift
(다이얼 회전식 변속기의 기어 표시기 배치에 관한 인간공학 연구)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주관 2022학년도 EATED 프로그램에서 장려상 수상
저자: 김선진, 공현진, 유지웅
논문 제목: 이중 과업 간섭에 따른 신호 탐지 과업 수행도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작업대의 인간공학적 설계
지도교수: 백동현
제 1회 미래 자동차산업 아이디어 공모전(주최:자동차부품산업진흥재단; 후원: 현대자동차그룹)에서 대상(상금: 700만원) 수상
저자: 이송하, 안세희 석사과정
제목: 트럭 내 CMS display의 사용자 인식 및 인간공학적 배치 설계에 관한 연구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22
장소: 여수 엑스포컨벤션센터
일시: 22.11.09~11
저자: 김선진, 공현진, 유지웅, 백동현
논문 제목: A Study on the Ergonomic Layout of Multiple Monitors
(다중 모니터의 인간공학적 배치에 관한 연구)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22
장소: 여수 엑스포컨벤션센터
일시: 22.11.09~11
저자: 박지원, 김한울, 강혜민, 백동현
제목: An Ergonomic Study on Operation Method and In-Vehicle Position of the Electronic Gearshift
(전자식 변속 장치의 조작 방식과 차량 내 위치에 관한 인간공학 연구)
2021년도 학부 연구생이었던 최광혁, 김한솔 학생이 1년간 수행한 연구 결과가 Applied Sciences 저널의 Special Issue (State-of-the-Art in Human Factors and Interaction Design)로 게재
Choi, G., Kim, H., Jeong, Y., Son, M., & Beck, D. (2022). A Study on Ergonomic Layout of Automotive Electronic Shift Buttons. Applied Sciences, 12(18), 9222. https://doi.org/10.3390/app12189222
Abstract
Automotive gear shifters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control devices in driving tasks, and their user-centered design has a direct impact on the driving performance and safety. In recent years, shift-by-wire systems with electronic shift buttons have replaced conventional transmission systems due to their advantages, such as the ease of shifting and space utilization inside vehicles. However, there are no minimum requirements or specific regulations for electronic shift button layouts. Thus, different car manufacturers and models have adopted different layouts, and this in turn has induced the risk of driver confusion/error in the shifting 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rgonomic performance of different electronic shift button layouts and examine the variance in performance depending on driving experience. Here, 21 survey respondents with different levels of driving experience subjectively evaluated 12 different shift button layouts for 7 ergonomic evaluation measures (accuracy, convenience, rapidity, learnability, intuitiveness, safety, and preference). The outcomes of the study elucidate ergonomic layouts that receive high rankings in each driving experience group (all, novice, and experienced drivers) and principle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shift button layouts for each group.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rgonomic design and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shift button layouts, thereby preventing driver confusion/errors and improving road safety.
Keywords: design principle; driving experience; electronic shift button; ergonomic design; shift button layout; road safety; driving performance
2021년도 학부 연구생이었던 안세희(현 석사과정), 김경태, 안도훈 학생이 1년간 수행한 연구 결과가 Applied Sciences 저널의 Special Issue (Human Performance Monitoring and Augmentation)로 게재
An, S., Kim, K., Ahn, D., Lee, H., Son, M., & Beck, D. (2022). Effects of Auditory Pre-Stimulation on Cognitive Task Performance in a Noisy Environment. Applied Sciences, 12(12), 5823. https://doi.org/10.3390/app12125823
Abstract
The accident rate due to human errors in industrial fields has been consistently high over the past few decades, and noise has been emerging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human errors. In recent years, auditory pre-stimulation has been considered as a means of preventing human errors by improving workers’ cognitive task performance. However, most previous studies demonstr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auditory pre-stimulation in a quiet environment. Accordingly, studies on the effects of pre-stimulation in a noisy environment are still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1) the effects of noisy environments on the performances of cognitive tasks related to different functions of working memory and (2) the effects of auditory pre-stimulation on the performances of cognitive tasks in a field-noise environment. To accomplish these research objectives, two major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the first experiment, a total of 24 participants performed each of three basic short-term/working memory (STM/WM) tasks under two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quiet-noise environment and field-noise environment)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field noise. In the second experiment, the participants performed each of the three basic STM/WM tasks in a field-noise environment after they were provided with one of four different auditory pre-stimulations (quiet noise, white noise, field noise, and mixed (white and field) noise). The three STM/WM tasks were the Corsi block-tapping, Digit span, and 3-back tasks, corresponding to the visuospatial sketchpad, the phonological loop, and the central executive of WM, respectively. The major findings were that: (1) the field-noise environment did not affect the scores of the Corsi block-tapping and 3-back tasks, significantly affecting only the Digit span task score (decreased by 15.2%, p < 0.01); and (2) the Digit span task performance in the field-noise environment was improved by 17.9% (p < 0.05) when mixed noise was provided as a type of auditory pre-stimulation. These findings may be useful for the work-space designs that prevent/minimize human errors and industrial accidents by improving the cognitive task performance of workers in field-noise environments.
Keywords: human error; cognitive task performance; auditory pre-stimulation; working memory
2021 한국안전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이 인간/시스템안전분야 우수논문으로 선정
저자: 안세희(현 석사과정), 김경태, 안도훈, 백동현
제목: 사전 청각적 자극이 소음 환경에서의 정신적 작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21
장소: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일시: 21.12.01~03
저자: 박기훈, 이혜림, 백동현
제목: A Study on Ergonomic Layout of Camera Monitor System Displays in Mirrorless Truck
(미러리스 트럭 내 카메라 모니터 시스템 디스플레이의 인간공학적 배치에 대한 연구)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21
장소: 메종글래드호텔 제주
일시: 21.12.01~03
저자: 안세희, 김경태, 안도훈, 백동현
제목: Effects of Auditory Pre-Stimulation on the Mental Task Performance in Noisy Environments
(사전 청각적 자극이 소음 환경에서의 정신적 작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21
장소: 여수 엑스포컨벤션센터
일시: 21.07.14~16
저자: 김한솔, 최광혁, 백동현
제목: A Study on Ergonomic Layout of Automotive Electronic Shift Buttons
(자동차 전자식 변속버튼의 인간공학적 배치에 관한 연구)
장소: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39동, 이러닝시스템(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진행)
일시: 21.05.28
제목: 첨단 운전자 보조 시스템의 인간공학적 설계 고려사항
강연 내용: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ADAS)
1. Concepts
2. Key Functions: Lane Keeping Assist (LKA), Lane Following Assist (LFA), Smart Cruise Control (SCC), Highway Driving Assist (HDA)
Function Description (Manual/Video)
Ergonomic Design Issues (User Reviews & Accident Cases)
Camera Monitor System (CMS)
1. Concepts
2. Commercialization & User Reviews
3. Advantages
4. Previous Studies
5. Ongoing Studies
NRF Research Project
Mirrorless Truck
6.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