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21. 박예원, 이창석, 김지현*, 전종수 (2025). 지진하중을 받는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비선형 응답 모사를 위한 집중소성모델 매개변수 예측.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9(2): 99–105.
D20. 김민선, 박예원, 왕길환, 전종수* (2024). 기계학습법을 활용한 도로시설물의 시간 의존적 안전등급 예측.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36(6): 625–635.
D19. 김민선, 이창석, 김병민, 전종수* (2024). 전단파 속도가 중저층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지진 응답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8(5): 249–255.
D18. 박예원, 김민선, 전종수* (2023). 제1종 및 제2종 도로교량의 사용성능 평가를 위한 신규 세부지표 제안.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35(6): 665–671.
D17. 김태현, 전종수, 노화성* (2023). 지반-기초 영향을 고려한 교통신호등주의 지진응답 분석.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7(6): 237–244.
D16. 윤장혁, 이재철, 강태원, 이민재, 전종수, 양현익* (2021). 수직-수평 팬 배치에 따른 라디에이터 냉각 효과 분석. 한국생산제조학회지; 30(6): 487–494.
D15. 이창석, 전종수* (2021). 초탄성 NiTi 형상기억합금의 이력모델 개발.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33(6): 373–381.
D14. 황성훈, 전종수, 박태영, 이상열* (2020). 지진 위험도범주 II와 IV로 설계된 철골모멘트골조 건물의 지진 위험도 평가.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32(3): 179–187.
D13. 강태원, 윤장혁, 양현익, 전종수* (2020). 수직 지진파 성분을 고려한 강재 물탱크의 유체 압력 응답 거동.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32(3): 149–159.
D12. 신지욱, 전종수*, Timothy R. Wright (2019). 고강도 표면매립용철근과 탄소섬유시트로 보강된 비연성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실물 진동기 실험.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3(1): 43–54.
D11. 신지욱, 전종수*, 김준희 (2018). 초기 손상을 입은 비연성 철근콘크리트 골조의 FRP재킷으로 보수된 기둥의 수치해석모델.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2(5): 291–298.
D10. 전종수, 이도형* (2018). CFRP 교각 재킷 보수를 적용한 손상된 철근콘크리트 교량 교각의 여진 취약도 분석.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2(5): 271–280.
D9. 윤장혁, 강태원, 양현익, 전종수* (2018). 지진하중을 받는 정사각형 강재 액체저장탱크의 벽면 압력 응답 해석.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2(5): 261–269.
D8. 허광희, 김충길*, 유달리, 전종수, 이진옥 (2018). 적재설비 안정성 확보를 위한 FE 해석 기반의 연결부 모델 개발.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38(2), 349–359.
D7. 전종수, 최형석, 서영득, 김충길, 허광희* (2018). 국내 발생지진에 의한 물류창고 강재 적재설비의 내진성능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2(3): 149–160.
D6. 이도형, 전종수* (2016). 2016년 경주지진에 의한 중층 RC 건물의 내진 성능 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0(7): 473–483.
D5. 이도형, 심재엽, 전종수* (2016). 2016년 경주지진에 의한 국내 도시철도 교량의 잠재적 손상평가.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20(7): 461–472.
D4. 전종수* (2016). 비내진 상세를 갖는 철근콘크리트 교량의 응답에 대한 수직방향 지진파의 영향.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7(4): 115–121.
D3. 이도형, 전종수, 박대효* (2004). 연속지진하중에 의한 철근콘크리트 교량 교각의 응답해석. 한국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6(3): 357–367.
D2. 이도형, 전종수, 박대효* (2003). 지진하중을 받는 RC 교량의 비탄성 거동에 대한 단순화된 응답해석(II): 모델의 응용.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3(6A): 1287–1294.
D1. 이도형, 전종수, 박대효* (2003). 지진하중을 받는 RC 교량의 비탄성 거동에 대한 단순화된 응답해석(I): 모델의 검증.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23(6A): 1277–12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