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 Allonychiurus kimi

The standard model species in ISO11267 Soil quality — Inhibition of reproduction of Collembola by soil contaminants (2014)

Research

생태계 내에 존재하는 생물을 이용한 생태독성학 분야 연구

Research in the ecotoxicology test using organisms present in soil ecosystems.

생태독성학 분야의 주요 연구 업적: a, Yuukianura szeptyckii의 온도에 따른 생물학적 특성연구 (Applied soil ecology, 2016). b, Tebefenozide에 의한 생태독성과 단백질 발현 연구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2018) 및 Toxic contribution rate를 이용한 새로운 생태독성평가 기법 개발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lution Research, 2019). c, Glyphosate-based harbicide의 Multigeneration test를 이용한 생태독성 실험과 fatty acid 영향 연구 (Environmental pollution, 2021).

생물 군집을 이용한 생태건강성평가 분야 연구

Research in the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using soil invertebrate communities.

생태계 건강성평가를 위한 현장연구: a, 전국의 서식 collembolan 종 파악과 환경 인자와의 상호연구 (박사학위논문, 2018), 그 과정에서 규명된 국내 산림 최대 우점종의 재기재 및 미기록종 기록 (환경생물학회, 2019). b, 퍼지모델링을 이용한 서식지 적합도 평가 시스템 및 방법(등록번호 10-1934667, 2018). c, 폐광산 주변 비소 오염 지역의 토양 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통한 비소 상태 별 영향 규명 (Environmental Geochemistry and Health, 2021). d, Site-specific ecological risk assessment를 위한 토양 절지동물을 이용한 생태조사결과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022).

토양생태연구 확장을 위한 Environmental DNA (eDNA) 연구

Environmental DNA (eDNA) research for expanding soil ecology studies.

토양 절지동물 모델종 (Allonychiurus kimi)를 이용한 eDNA연구 (Ecology and Evolution,2023): a, 토양내 Species-specific eDNA 검출 프라이머 개발.  b, 실제 토양에서의 탐지 최적화 연구 방법.

토양생태분야에서의 eDNA연구: a, 각종 생태 연구에 모델종으로서 생물자원으로 사용되고 있는 종의 Mitochondrial DNA 보고를 통한 세계최초의 위치선점 (Mitochondrial DNA, 2021). b, 토양내 Species-specific eDNA 탐지 및 정량을 위한 기술 개발을 위한 초기 연구 (Ecology and Evolution, 2023). 

생태계 복원을 위한 공학적 방법의 실제 생태계복원 가능성 평가

Assessment of the feasibility of engineering methods for ecosystem restoration.

새로 개발된 비소 흡착제의 실제 생태적 효과 판단을 위한 실험 (Environment international, 2023): a, 생물학적 분석을 위한 개략도.  b, Collembola와 Plant를 이용한 Bioassay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