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특정 환경에 존재하는 모든 미생물들(Microbes)과 이들의 분자적 구조 물질, 대사체, 환경 조건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다양한 미생물들로 구성된 복잡한 생태계(Biome)를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마이크로바이옴은 한 종(species)이 아닌 여러 종의 미생물들이 공존하며 서로 상호 관계를 맺으며 살아갑니다. 이러한 상호 관계는 다시 사람을 포함한 그들의 호스트(Host)와 서식처(Environment)에 영향을 주고 받으며, 식이(Diet) 및 호스트를 포함한 다양한 외부 요인들은 역시 마이크로바이옴에 영향을 주며 상호작용을 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질병과 건강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며, 마이크로바이옴 변화에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 중 하나는 식이 성분(Nutrition)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미생물들의 상호 작용과 인체와의 상호 작용을 실험과 생물정보학적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 공부하여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개인 맞춤형 질병 치료, 예방, 건강 유지 식품 및 기능성 소재 개발, 식이 성분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의 변화와 영향, 개인 맞춤형 정밀 영양 등 복잡한 마이크로바이옴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시료에서 DNA, RNA를 추출하여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library구축, NGS 운영, NGS data 분석을 직접 수행하여 마이크로바이옴 메타게놈 (Metagenome), 메타전사체 (Metatranscriptome)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유용 미생물의 분리 동정 (Isolation and classification), 분리한 미생물의 전장 유전체 (Whole genome) 분석을 실험실에서 직접 수행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를 통해 세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새로운 모사 시스템 (Mimicking system)을 개발하여 미생물 상호 작용 (Microbe-Microbe Interaction)과 미생물-숙주 상호작용 (Microbe-Host Interaction)을 기초 과학적, 응용 과학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휴먼 마이크로바이옴과 질환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식이를 포함한 외부요인과 마이크로바이옴의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도 수행을 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열정적으로 같이 연구를 할 대학원생 및 연구원을 모집합니다. 본 연구실에서 연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본인의 적성과 부합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일정 시간의 인턴 기간을 거쳐야 하므로, 지원 의사가 있는 분들은 미리 연구책임자인 김봉수 교수에게 (bkim79@ewha.ac.kr) 연락을 하여 면담을 하기 바랍니다. 대학원생 지원 이외에도 본 연구에 관심이 있는 학부 연구생들도 지원하여 연구에 참여할 수 있으니, 연락을 해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