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Interests
Diversity and inclusion in the workplace, social policy, organizational management, social inclusion/exclusion, inequality, children and youth, children's rights, child care
Publications
Articles in Peer-Reviewed Journals
(In preparation) Kim, A., Kim, Y., & Sohn, Y. The impact of life-friendly policies and culture on work-family conflict among social workers.
(In revision) Kim, Y., Kim, A., & Sohn, Y. Exploring social work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of work-life balance policies of Korean human service organizations. SSCI Journal.
김아래미, 정소연, 서홍란. (2025). 가족돌봄청소년의 가족특성이 돌봄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사회복지학. 72(3), 181-209.
최권호, 김아래미, 유진선, 배재익, 이종화. (2025). 4⋅16재단의 「재난너머, 일상이 안전한 사회만들기」 프로젝트는 어떤 변화를 만들었는가?. 사회복지연구. 56(3), 89-117.
김아래미, 이해님, 노혜진. (2025). 청년 사회적 고립의 유형화와 영향요인. 한국사회복지정책. 52(1), 187-218.
서홍란, 김아래미, 정소연. (2025). 가족돌봄아동․청소년의 발굴과 지원에 대한 현장전문가의 경험과 인식. 한국사회복지교육, 69, 139-168.
최권호, 임세희, 남찬섭, 김아래미, 임수경, 손영은, 강선미, 김하늘. (2024). 사회복지사업법 시행규칙 개정 이후 사회복지 현장실습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사회복지교육, 65, 27-65.
김성아, 최영준, 김아래미, 임소현. (2024). 팬데믹 위기 속 사회적 고립, 그 양상과 결과. 사회보장연구. 40(1), 147-185.
김아래미, 최영준, 김성아. (2023). 청년 은둔의 사회경제적 비용. 사회복지정책. 50(4), 123-143.
김아래미, 송아영. (2023). 사회복지사의 역할 정체성에 대한 탐색. 사회복지실천과 연구. 20(3), 135-172.
김아래미. (2023).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윤리원칙의 기대불일치가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교육. 63, 179-207.
김아래미. (2023). 사회복지조직의 다양성관리 인식과 가족친화적 조직관리가 종사자의 일가족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복지학, 84, 115-144.
남찬섭, 김아래미, 김하늘. (2022). 코로나19 시기, 간접실습으로 바라본 한국 사회복지실습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사회복지교육, 59, 1-37.
Kim, J., Noh, J., Kim, A., & Kwon, Y. D. (2022). The impact of weekday-to-weekend sleep differences on health outcomes among adolescent students. Children, 9(1), 52; https://doi.org/10.3390/children9010052
Kim, J., Noh, J., Kim, A., & Kwon, Y. D. (2020).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influences on sleep patterns among adolescent stu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7(2), 4378 https://doi.org/10.3390/ijerph17124378
김아래미. (2020). 사회복지조직 내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한국사회복지행정학. 22(1), 23-44.
김아래미, 김민정, 김영우, 김진석. (2019).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의 재개념화: 일자리 질을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65, 7-42.
김아래미, 송아영, 홍영준. (2019).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 기능 재정립 및 실천모델 개발: 지역사회기반참여연구 접근.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 26(3), 163-191.
Kim, J., Noh, J., Kim, A., & Kwon, Y. D. (2019). Relationships between sleep patterns, health risk behaviors, and health outcomes among adolescents: a panel analysis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6, 2278. https://doi.org/10.3390/ijerph16132278
김아래미. (2019). 사회복지조직의 다양성 관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종사자 다양성 인식의 조절효과. 인문사회 21, 10(2), 1-16.
신은혜, 정혜숙, 김아래미. (2017). 아동학대 보호현장의 전문직간 협력 효과와 학대피해아동 지원업무 실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복지사와 경찰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9(3), 209-233.
Cho, S., Kim, A., & Mor Barak, M. E. (2017). Does diversity matter? exploring workforce diversity, diversity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social enterprises.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11(3), 193-204. doi: 10.1111/aswp.12125
송아영, 김아래미. (2017). 지역사회기반참여연구(Community-based participatory research: CBPR)의 사회복지적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비판사회정책, 54, 411-452.
Cho, S., & Kim, A. (2017). Relationships between entrepreneurship, community networking, and economic and social performance in social enterprises: Evidence from South Korea. Human Service Organizations: Management, Leadership and Governance. 41(4), 376.388. doi: 10.1080/23303131.2017.1279094
Mor Barak, M. E., Lizano, E. L., Kim, A., Duan, L., Rhee, M., Hsiao, H., & Brimhall, K. (2016). The promise of diversity management for climate of inclusion: A state-of-the-art review and meta-analysis. Human Service Organizations: Management, Leadership and Governance. doi:10.1080/23303131.2016.1138915
Kim, A., & Mor Barak, M. E. (2015). The mediating roles of leader-member exchange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ole stress-turnover intention relationship among child welfare workers: A longitudinal analysi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52, 135-143.
김아래미, 이민경. (2015). 사회복지조직의 문화적 역량이 종사자의 다양성 인식과 문화간 의사소통 역량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7(3), 135-161.
김아래미, 이경상, 김주일. (2015). 아동청소년복지시설 종사자의 근로시간과 임금이 소진 및 직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아시아아동복지연구. 13(1), 55-75.
Guerrero, E. G., & He, A. S., Kim, A, & Aarons, G. (2014). Organizational implementation of evidence-based substance abuse treatment in racial and ethnic minority communities. Administration and Policy in Mental Health. 41, 737-749. doi:10.1007//s10488-013-0515-3
Guerrero, E. G., & Kim, A. (2013). Organizational structure, leadership and readiness for change and the implement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al competence in addiction health services. Evaluation and Program Planning, 40, 74-81. doi:10.1016/j.evalprogplan.2013.05.002
이영글, 김아래미, 김주일 (2011). 청소년의 사회자본이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연구. 22(3), 231-259.
Published articles
김아래미(2023). 외로움에 대한 영국의 제도적 대응: 연결된 사회. 국제사회보장리뷰. 27, 5-16.
김아래미(2023). 저출생 패러다임의 한계와 대전환. 복지동향 1월호.
김아래미(2023). 2024 보건복지예산분석: 아동청소년. 복지동향 10월호.
김아래미(2020). 혐오가 아닌 관용으로 실질적으로 자유로운 사회. 복지동향 258호.
Books
최상미, 김아래미. (2020). 사회복지행정론. 학지사.
Research and Scholarly Grants
2024 청년고립의 유형화 분석 연구(연구책임)
2023 2023년 서울특별시 아동종합실태조사(연구책임)
2023 청년 고립의 사회적 비용(공동연구)
2023 -2024 디지털 헬스를 활용한 돌봄체계 혁신(SSK 공동연구)
2022 2022년 아동정책영향평가 건강형평성 정책 전문영향평가. 아동권리보장원 (공동연구)
2022 아동정책영향평가 자체평가. 아동권리보장원 (공동연구)
2021 사회복지사 역할 정체성 탐색. 서울시사회복지사협회 (연구책임)
2021 성북구 시민참여도 조사 및 아동청소년친화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 성북구 (연구책임)
2020 지역사회통합돌봄 보건복지협력 활성화방안 연구. 보건복지부.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연구책임)
2020 아동정책영향평가 자체평가. 아동권리보장원 (공동연구)
2020 주거위기가구 상담방안 연구. 중앙주거복지센터 (공동연구)
2020 사례관리 정보표준화 2차 연구.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공동연구)
2019-2020 중구 초등돌봄체계 구축 연구. 중구 (연구책임)
2019-2020 긴급지원주택 연구. 중앙주거복지센터 (공동연구)
2019 통합사례관리 사업 모델 개발.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공동연구)
2019 우리동네키움센터 모델 개발 및 전달체계구축 연구. 서울시.서울시여성가족재단 (공동연구)
2018-2019 지역아동센터 급식 및 자립프로그램 지원 사업 “해피쿡(Happy Cook)” 평가. 한국지역아동센터연합회 (연구책임)
2018 강동구 온종일돌봄모형 구축 학술용역. 강동구 (연구책임)
2018 강동구 사회복지 종사자 이직요인 분석. 강동구 (연구책임)
2018 청년자산형성지원사업 패널구축 기초연구. 한국자활개발원 (공동연구)
2018 시설퇴소자 주거복지상담매뉴얼 개발. 중앙주거복지센터 (공동연구)
2018 제4기 구리시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구리시 (연구책임)
2017 중구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아동실태조사. 중구 (공동연구)
2017 금천구 아동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아동실태조사. 금천구 (공동연구)
2017 서울시아동종합실태조사. 서울시 (공동연구)
2016-2017 사회복지조직의 표면적·내면적 다양성과 다양성관리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2016 사회복지관 지역조직화 기능 재정립 및 모델 구축 연구. 한국사회복지관협회 (공동연구)
2016 강동구 사회복지 종사자 처우 개선 연구. 강동구 (공동연구)
2016 강동구 아동친화도시 추진을 위한 아동 영향평가 및 실태조사 . 강동구 (공동연구)
2015 강동구 어르신종합대책 2020. 강동구 (공동연구)
2014 서울시 사회복지조직의 다문화서비스 역량과 서비스 성과와의 관계: 다층적 접근. 서울시사회복지협의회 (연구책임)
2012 Implementing organizational cultural competence in substance abuse treatment.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C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