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대학교 약학대학 약물대사체학 연구실에서 약물의 체내 동태/대사/분석 및 약물대사체학 연구를 수행할 대학원생을 모집합니다.
최근에 화두가 되고있는 차세대 신약개발과 맞춤치료는 다양한 기술들을 복합한 총체적인 접근 방법이 필요하기 때문에 다 학제적·복합기술적인 연구가 매우 중요합니다.
저희 연구실에서는 주로 크로마토그래피 기반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신약후보물질의 약물성 평가 및 대사체/지질체 프로파일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 구축하고 있는 주요 연구 분야 (기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약물대사/동태 (DMPK) 평가 기술
- 신약후보물질의 약물성 (Druggability) 평가
- 대사안정성/약물대사경로/대사관여효소/약물동태 규명
2. 약물상호작용 평가 기술
- 신약후보물질/기존 시판 약물/한약 등의 약물상호작용 가능성 평가
- In vitro high-throughput drug interaction potential 검색 평가 시스템 확보
- 인체 약물대사효소 효소 활성 저해 여부 검색
3. LC-MS/MS 기반 약물분석/대사 평가 기술
- LC-MS/MS를 이용한 고속 약물분석법 확립
- LC-MS/MS를 이용한 약물의 대사체 구조 동정
- 대사체학 및 분자 네트워킹 기법을 이용한 약물의 대사체 구조 동정
4. 약물유전체, 약물대사체학 연구 기술
- 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대사체 및 지질체 프로파일링 기술 확립
- LC-MS/MS를 이용한 생체 내인성 대사체 프로파일링 기술 확립
- 약물반응 예측 및 질병 진단을 위한 내인성 대사체 생체지표 발굴
♣ 학부전공: 약학, 화학, 농화학, 생물학, 생화학, 응용생물화학, 식품공학, 식품영양학, 환경화학 등 (기기분석에 흥미가 있는 학생 환영)
♣ 문의 및 이력서 제출: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약물대사체학 연구실 / 류광현 교수 이메일: dstlkh@knu.ac.kr
♣ 지원: 생활비 지원, 실험실사고보험
♣ 전형 방법: 서류전형 및 면접전형
♣ 구비서류: 이력서, 자기소개서, 성적증명서, 학위증명서, 논문 목록
♣ 접수기간: 항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