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볼 지도자 연수

안녕하세요? 본 페이지는 넷볼 지도자 연수를 위한 교육용 자료를 탑재 하였습니다.

대한넷볼협회 넷볼 지도자 교육자료(netball rule)를 기초로 제작하였습니다.

넷볼을 지도 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시길 바라겠습니다.

djnetball@naver.com

Ⅰ. 넷볼의 개요

1. 넷볼이란

넷볼(Netball)은 19세기말 농구를 모방하여 만든 스포츠로, 주로 영연방 국가와 지역을 중심으로 경기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 70개 이상의 국가에서 2,000만 명이 넘는 경기 인구를 가진 스포츠이다.

2. 넷볼의 탄생과 역사

1895년 미국을 방문한 영국여성들은 당시 미국에서 네이스미스가 1891년 처음 창안하여 행해지던 농구를 보게 된다. 영국으로 돌아온 후 이들은 농구 경기방법을 모방하여 새로운 스포츠를 만들고 Ostenberg여자대학에서 처음 넷볼을 시작했다. 이후 영연방 국가와 지역을 중심으로 넷볼이 보급되면서 경기인구가 증가하고 1924년에 뉴질랜드 농구협회 (현재 뉴질랜드 넷볼협회), 1926년에 브리티시 넷볼협회, 1927년 전 오스트레일리아 여자농구협회 (현재 호주 넷볼협회), 1957년 자메이카 넷볼협회가 탄생했다. 당시에 경기규칙은 지역에 따라 달랐으며 국제적인 기준의 경기형식은 존재하지 않았다.

1938년 뉴질랜드 팀이 오스트레일리아에 원정 경기를 하였고, 1956년에 잉글랜드 팀의 오스트레일리아 원정을 계기로 국제적인 기준의 규칙 제정이 제창되어 1960년에 잉글랜드, 호주,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서인도 제도, 스리랑카가 모여 국제 기준의 규칙 제정과 국제연맹의 설립을 협의하여 국제넷볼연맹(INF : International Netball Federation)이 설립되었다. 이후 경기인구가 계속 증가하여 1985년 월드게임 런던대회가 개최되었으나, 1993년까지만 행해졌다. 한편 영연방국가들의 올림픽경기라고 할 수 있는 Common Wealth Game에서는 1990년 시범종목으로 열렸고, 1998년 쿠알라룸푸르 대회부터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세계선수권대회는 4년마다 개최되는데, 1963년 영국에서 첫대회가 열린 이후 1967년 호주, 1971년 자메이카, 1975년 뉴질랜드, 1979년 트리니다드토바고, 1983년 싱가포르, 1987년 스코틀랜드, 1991년 호주, 1995년 영국, 1999년 뉴질랜드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는 호주가 계속 우승하다가 2003년 자메이카 킹스턴에서 열린 대회에서 처음으로 뉴질랜드가 우승하였다. 2007년에는 피지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정치 쿠데타로 인해 뉴질랜드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에서 호주가 다시 우승하였으며 이후 2011년 싱가포르, 2015년 시드니에서 연속 우승하여 넷볼을 가장 잘하는 나라라고 볼 수 있다.

3. 한국 넷볼의 역사

1998년 뉴질랜드를 방문했던 김수홍 씨는 뉴질랜드 여학생들이 넷볼경기 하는 장면을 보고 귀국하여 한국에 넷볼을 처음 소개하였다. 당시에는 그가 살던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보급되었는데, 2000년 전국체육교사모임 여름연수에 넷볼이 소개되면서 전국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했다. 대회는 2001년에 전라북도 지역 최초 넷볼대회가 열렸으며, 2002년에는 서울에서도 넷볼대회가 열렸다. 2009년부터는 체육교과서에도 실려 초중고 학생들이 넷볼을 배우기 시작했다. 2012년에는 전국학교스포츠클럽대회의 정식종목으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국민생활체육 서울특별시넷볼연합회가 창립되어 범국가적인 체육단체에 의한 넷볼 보급과 대회가 열리기 시작했다.

2014년 대한넷볼협회(KNF : Korea Netball Federation)가 창립되어, 제1회 협회장기전국넷볼대회가 대전에서 열린 후 2018년 현재 재5회 대회까지 열렸다. 지역 협회는 2018년 현재까지 서울, 대전, 인천, 제주지역 넷볼협회가 창립되었으며, 지역대회 및 전국대회, 지도자 및 심판연수 등이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4. 넷볼의 특징

넷볼은 19세기말 미국에서 개발된 농구를 모방하여 시작된 종목이기는 하지만 현재의 농구와 매우 다른 방식으로 경기를 한다. 그리고 비록 농구를 모방했다고 하나 유럽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에 유럽에서 유행하던 스포츠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된다. 7명의 선수가 경기를 하는 것, 반칙 등에 의해 경기가 중단되었을 때 시간이 정지되지 않고 계속 흐르는 것, 반칙이 일어났을 때 심판이 공을 갖고 있다 선수에게 전해주며 경기를 재개하는 농구와 달리 소유권을 갖는 팀 선수가 곧바로 공을 잡아 경기를 재개하는 방식은 핸드볼경기와 유사한 것이 그것이다.

실제 농구경기는 네이스미스가 처음 농구를 개발했을 때와 달리 계속 변해왔다. 경기장 라인, 공, 골대, 드리블 허용, 바이얼레이션 도입 등. 한 예로 ‘드리블’을 보면, 네이스미스가 처음 시작한 농구에는 드리블 개념이 없었다. 공을 잡은 선수는 곧바로 패스를 해야 했다. 이렇게 드리블을 허용하지 않다가 1896년 예일대학교에서 처음 이 기술을 허용하기는 했으나 1898년까지 금지되다가 1913년에 이르러 공식적인 경기방법으로 허용되었다.

따라서 1895년 미국에 가서 농구를 처음 본 영국인들은 드리블이 없는 농구를 보았을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영국인들이 만든 넷볼도 드리블을 허용하지 않았는데, 이런 역사를 볼 때 넷볼은 네이스미스가 처음 창안한 농구의 원형과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넷볼은 영역형스포츠에서 많이 발생하는 몸싸움에 대해 매우 엄격한 규정을 적용한다. 그것은 ‘옵스트럭션’과 ‘컨택’이라는 규칙에서 잘 나타난다. 넷볼은 어떠한 경우에도 몸싸움을 금하는데, 공을 갖고 있는 선수에 대한 밀착수비 및 신체접촉은 물론이고 공을 갖고 있지 않는 선수들간에도 신체접촉이 허용되지 않는 점은 다른 스포츠 종목에서 볼 수 없는 넷볼 만의 독특한 경기방법이다. 이렇게 신체접촉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는 점에서 넷볼은 매우 안전한 스포츠로 평가받는다.

그리고 국내에 처음 넷볼이 소개될 때 여자들만 하는 것으로 잘못 알려져 현재 여자들만 주로 하고 있으나, 사실 외국에서는 남자들도 넷볼을 많이 하고 있으며 국제적인 규모의 남자대회도 열리고 있다.

Ⅱ. 경기장, 용구, 포지션

1. 경기장

가. 코트 : 가로(사이드라인) 30.5m, 세로(골라인) 15.25m의 직사각형 모양의 단단한 재질의 바닥

(1) 경기장의 사이드라인을 같은 크기로 3등분하는 곳에 골라인과 평행하게 횡단선을 그려 센터서드와 골서드를 구분

(2) 골라인의 중간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 4.9m의 반원을 그려 골서클 표시

(3) 코트 중앙에 직경 0.9m의 원(센터서클)

2019년 영국 리버플에서 열린 월드컵 넷볼 경기장

나. 골포스트

(1) 골라인 중앙지점에 높이 3.05m, 직경 380mm의 링 설치

(2) 골포스트 직경 65mm-100mm

2. 용구 : 공(4호공)

가. 둘레 : 690mm – 710mm

나. 무게 : 400g-450g

다. 재질 : 가죽 혹은 고무


3. 선수

가. 인원 : 한 팀 7명

Goal Shooter (GS), Wing Defence (WD), Goal Attack (GA)

Goal Defence (GD), Wing Attack (WA), Goal Keeper (GK)

Centre (C)

- 경기를 하기 위해서 한 팀은 센터를 포함하여 최소 5명이상 확보

나. 포지션 별 경기구역

4. 복장

가. 허리 위 가슴과 등에 플레잉 포지션을 표시한다.

나. 반지, 보석, 팔찌, 귀걸이 등 장신구 착용을 금지한다.

다. 긴머리는 뒤로 묶어야 하며, 손톱은 짧고 부드럽게 한다.

Ⅲ. 경기 방법 및 규칙

1. 경기 시간

가. 국제경기 시간 : 15분 4쿼터

나. 2-4쿼터 사이 하프타임 : 8분 혹은 12분 (대회 주최 측에 의해 결정)

2. 경기시작 : 센터패스(Center pass)

가. 센터패스 방향은 양 팀 주장의 동전토스로 정하며, 센터패스 시 센터(C) 포지션을 제외한 모든 선수는 골서드에 위치한다.

나. 센터패스 : 심판의 휘슬이 울린 후 센터가 처음 패스하며 경기를 시작하는 것을 센터패스라 하며, 심판의 휘슬이 울리면 3초 안에 센터서드에 들어온 자기

편 선수에게 첫패스를 하면서 경기를 시작한다.

다. 심판의 휘슬에 의해 센터서드에 들어올 수 있는 포지션(GA, GD, WA, WD) 선수에게 패스하는 것으로, 센터패스를 받는 선수의 한 발(축발) 혹은 양 발이

완전히 센터서드 안에 위치해야 한다. (위반 시 프리패스)

라. 센터패스 시 센터의 양 발 혹은 한 발은 센터서클에 완전하게 들어가야 한다.

마. 상대팀의 센터는 센터서드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바. 센터를 제외한 다른 선수들은 자신이 들어갈 수 있는 골서드에 자유롭게 위치하며, 휘슬이 울려 경기가 시작되기 전까지 센터서드에 들어올 수 없다.

사. 골이 들어가면 센터패스로 재개하며 센터패스 기회는 양 팀이 교대로 갖는다.

☆ 센터패스

❍ 쿼터 종료 시 휘슬을 불기 전 센터가 공을 갖고 있고 그 팀이 벌칙을 받지 않았다면 센터패스를 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

❍ 센터패스 시 공을 가진 센터의 발의 위치가 잘못되면 상대팀에게 프리패스(센터패스)부여

❍ 휘슬 전에 양 팀 선수가 동시에 센터서드 안에 들어갔을 경우

➭ 둘 중 누구도 공을 터치하지 않았다면 경기 계속

➭ 센터서드 안에서 어느 한 쪽이라도 공을 터치하는 경우 그 지점에서 토스업

➭ 두 명의 심판 중 한 명이 반칙 선언, 다른 한 명이 어드밴티지를 선언한 경우 반칙 선언으로 진행

❍ 경기시작 휘슬을 불었을 때, 공을 갖고 있는 센터의 발은

➭ 한 발은 완전히 센터서클 안에 있어야 하며 이 발을 축발로 본다.

➭ 양 발이 완전히 센터서클 안에 있다면 처음 움직이지 않은 발을 축발로 본다.

❍ 센터패스는 휘슬 후 3초 안에 실시 : 위반 시 프리패스

3. 득점(Goal)

가. 골서클 내 어느 지점으로부터 GS나 GA가 던진 공이 링을 완벽하게 통과한 것

나. 만일 다른 선수가 링을 통과하도록 던졌으면 득점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경기는 계속된다.

다. 수비의 몸을 맞고 링을 통과하면 득점으로 인정한다.

라. 골서클 내에서 토스업을 할 경우, 볼을 잡은 GS나 GA는 슛이나 패스 모두를 할 수 있다.

마. 휴식이나 ‘타임’을 위한 휘슬이 링을 완벽하게 통과하기 전에 울렸다면 득점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바. 골서클 안에서 페널티 패스/슛에 해당하는 반칙이 일어나면 ‘휴식’이나 ‘타임’ 휘슬이 울린 후라도 페널티 패스/슛이 주어진다.

☆ 어드밴티지(advantage)

심판이 휘슬을 불어 경기를 중단하면 반칙하지 않은 팀이 불리하게 되어 해당반칙에 대해 휘슬 부는 것을 자제하고 경기 흐름을 유지하도록 진행시키는 것

❍ 심판은 휘슬과 반칙선언 혹은 어드밴티지 수신호를 이용하여 진행한다.

❍ 상대선수가 옵스트럭션을 한 상황에서 슛하여 득점이 된 경우 옵스트럭션 보다 득점을 우선 인정하는 어드밴티지를 적용한다.

7. 공을 다루는 선수에 관한 규칙

가. 공을 3초 이상 소유할 수 없으며 공을 가진 선수는 3초 안에 패스나 슛을 해야 한다.

나. 공을 갖고 걷거나 뛸 수 없다.

다. 공을 갖고 드리블 할 수 없다.

라. 공을 가진 사람에게 90cm 이내로 접근하여 수비할 수 없다.

마. 슛은 골서클 내에서 GA 혹은 GS만 할 수 있다.

바. 슈터는 한 걸음 이동하며 슛을 할 수 있는데, 이때 상대 수비가 먼저 자리를 차지하고 있을 경우 90cm 이내로 가까워져도 상관없다.

☆ 플레잉 더 볼(playing the ball)

다음과 같은 경우 ‘플레잉 더 볼’을 선언하고 상대팀에게 프리패스 부여

❍ 소유한 공을 다른 선수에게 고의적으로 던지거나 굴려주는 경우

❍ 볼을 던지고 나서 다른 선수의 터치나 골포스트와의 접촉 없이 본인이 다시 잡는 경우(리플레이드 볼)

❍ 공을 소유하지 않은 선수가 다른 선수를 향해 공을 고의로 치는 경우

❍ 공을 소유하기 위해 몸을 던지거나 공을 발이나 주먹으로 치는 경우

❍ 몸의 균형을 잡기위해 골포스트를 이용하는 경우

8. 프리패스(Feee pass)가 주어지는 경우

가. 페널티패스에 해당하는 반칙을 제외한 대부분의 모든 반칙에 주어지며, 상대는 90cm 떨어져서 수비할 수 있다.

나. 스테핑 : 발의 움직임이 잘못되었을 때 (예, 3보 이상 걸었을 때)

다. 헬드볼 : 공을 갖고 패스나 슛을 하지 않은 채 3초 이상 서 있을 때

라. 숏 패스 : 패스를 하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손 사이에 상대팀 선수가 들어가서 공을 가로챌 수 있을 만큼의 충분한 공간이 나올 수 없는 거리에서 패스를 하는 경우

☆ 풋워크(footwork)

경기 중 공을 소유하면서 처음 디딘 축발이 바닥에서 떨어지면 그 발이 다시 바닥에 닿기 전에 패스나 슛을 해야 한다.(위반 시 프리패스)

❍ 패스를 받아 착지한 경우 축발을 이용하여 피봇이 가능하다.

❍ 한 발로 먼저 착지한 경우, 처음 디딘 발이 축발

❍ 두 발로 동시에 착지한 경우 두 발 중 하나를 축발로 선택가능

❍ 볼을 소유한 이후 발을 끌거나 미끄러지는 경우, 또는 한 발로 깡충깡충 뛰는 경우 스테핑으로 판정

❍ 볼을 소유한 채 양 발로 점프하는 경우 한 발로 착지는 가능하나 양 발로 착지하는 경우 스테핑으로 판정

9. 페널티 패스(Penalty pass)가 주어지는 경우

가. 옵스트럭션 : 공을 가진 상대로부터 90cm 이내에서 수비한 경우

나. 컨택 : 공을 가진 선수의 신체에 접촉하거나 공을 터치한 경우

다. 수비가 골포스트를 움직여 링을 향해 떨어지는 공을 비껴나가게 하거나 네트를 관통하여 위로 공을 터치하는 경우

라. 반칙을 한 선수는 상대가 경기를 재개할 때까지 공격자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측면이나 후방)에 서 있어야 하며, 어떤 방법으로도 경기에 참여할 수 없다.

10. 옵스트럭션(Obstruction)

가. 수비를 할 때 발을 기준으로 공을 갖고 있는 선수로부터 90cm 보다 적게 떨어진 경우를 말한다.

나. 거리는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1) 선수의 착지 혹은 피봇발이 바닥에 있을 때는 그 발과 수비의 가까운 쪽 발까지의 거리로 한다.

(2) 선수의 착지 혹은 피봇발이 바닥에서 떨어졌을 때는 수비의 가까운 쪽 발과 떨어졌던 발이 원래 있던 지점으로부터의 거리로 한다.

(3) 선수가 양 발을 동시에 딛고 서 있을 때는 해당 선수와 수비의 가까운 쪽 발의 거리로 한다.

(4) 선수가 서 있거나 양 발로 동시에 착지한 후 어느 한 발이 바닥에서 떨어지면 다른 한 발이 90cm를 재는 기준이 된다.

☆ 공을 소유하지 않은 선수의 옵스트럭션

가까운 쪽 발 사이를 기준으로 0.9m안에 있는 선수는 공격이나 수비를 하면서 자연스러운 자세를 제외하고 팔을 벌려 상대선수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어떠한

행동도 할 수 없다.

11. 컨택(Contact)

가. 어떤 경우에도 상대의 플레이를 방해하기 위해 상대선수와 접촉할 수 없다.

나. 선수는 공격과 수비를 위해 다음과 같은 것을 할 수 없다.

(1) 자기 자리를 확실히 차지하고 있는 상대 선수 쪽으로 움직이는 것

(2) 접촉 없이는 움직일 수 없도록 상대선수를 방어 하는 것

(3) 밀고, 다리 걸고, 잡는 등의 신체를 이용한 움직임

(4) 상대에게 손을 대거나 상대가 잡고 있는 공에 손을 대는 것

(5) 상대가 소유한 공을 두드리거나 빼앗는 행위

(6) 공으로 상대를 미는 행위

12. 드로우인(Throw in)

가. 공이 코트 밖으로 나간 경우 마지막으로 터치한 선수의 상대팀이 볼을 경기장 안으로 패스한다.

나. 드로우인은 다음과 같이 한다.

(1) 다른 선수들이 경기장 안에 모두 들어왔을 때 한다.

(2) 공이 나간 지점에서 적어도 한 발을 라인에서 15cm이내에 위치시킨 후 3초 안에 드로우인 한다.

(3) 공을 던지기 전까지는 코트(라인도 코트에 포함) 안에 들어오지 못한다.

(4) 골라인 뒤에서는 가까운 서드로, 사이드라인 밖에서는 가장 가까운 혹은 인접한 서드로 공을 던질 수 있다.

다. 드로우인 위반 시

(1) 3초 안에 볼을 던지지 못하거나 풋워크, 혹은 플레잉 더 볼 규정 위반 시 상대팀에게 드로우인을 준다.

(2) 오버서드 규정 위반 시 상대팀에게 공이 들어간 서드에서 프리패스를 부여한다.

13. 토스업(Toss up)

경기 중 양 팀 두 명의 선수가 동시에 공을 잡았을 때, 심판은 토스업을 선언한다. 그러면 양 팀 선수가 자기 골대를 뒤로 하고 90cm간격으로 마주서서 심판이 양 선수 사이에 공을 던져 토스업을 시행하여 어느 팀이든 공을 먼저 잡아 경기를 속개한다.

가. 토스업을 하는 경우

(1) 양 팀 선수들이 동시에 공을 잡았을 때

(2) 양 팀 선수들이 동시에 공을 쳐서 코트 밖으로 나갔을 때

(3) 양 팀 선수들이 뒤섞여서 심판이 마지막으로 터치한 선수를 알 수 없을 때

(4) 양 팀 선수들이 동시에 오프사이드를 범했을 때, 한 명이 공을 잡거나 터치한 경우

(5) 양 팀 선수들이 동시에 컨택을 한 경우

(6) 누구의 공 인지 판단하기 힘들거나 공이 바닥에 정지되어 있는 경우

나. 토스업은 상황이 일어난 지점에서 두 명의 양 팀 선수들 사이에서 실시하되 모든 다른 선수들은 그들의 구역에 서 있거나 움직일 수 있으며 토스업을 방해

할 수는 없다.

다. 두 선수가 자신의 골대를 뒤로하고, 팔을 펴고 손을 옆에 붙인 상태에서 마주보고 선다. 두 선수의 가까운 쪽 발이 0.9m 거리가 된다.

라. 심판은 서있는 자세에서 둘 중 작은 선수의 어깨 높이 정도로 두 선수의 중간에 공을 던진다. 심판은 한 손 손바닥에 공을 올려놓고 정지해 있다가 수직으

로 60cm 보다 낮게 휘슬을 불면서 순간적으로 공중으로 던진다.

마. 이 공을 잡거나 혹은 상대선수에게 향하지 않는 어느 방향으로든 칠 수 있다.

바. 토스업 규정 위반 시 상대팀에게 프리패스 부여

사. 골서클 안에서 토스업으로 공을 잡은 GS나 GA는 슛과 패스 무엇이든 할 수 있다.

☆ 토스업 자세

- 양 선수는 무릎을 약간 굽히고 양 손을 옆으로 자연스럽게 내려 다리에 대고 있어야 한다.

- 심판은 허리에서 60cm 이내 높이로 키 작은 선수의 어깨 높이로 던진다.

- 한 손 또는 두 손을 위로 올려 치거나, 한 번에 잡아 소유권을 갖고 온다.

☆ 선수교체 / 팀교체

양 팀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선수교체(경기장 안과 밖의 선수 교체)와 팀교체(경기장 안의 선수들간 교체)를 할 수 있다.

❍ 인터벌(휴식시간), 부상(아픔) 혹은 출혈로 경기가 중지되었을 때 명단이 제출된 선수들에 한해 제한 없이 할 수 있다.

❍ 경기가 부상 등으로 중지되었을 때 공이 있던 곳에서 프리패스를 실시한다.

Ⅳ. 지도법

1. 공 다루기

* 신체의 다양한 위치에서 양 손으로 공 번갈아 빠르게 주고받기

* 신체 주위로 공 잡고 돌리기

* 공을 벽에 가까이 대고 튀기기(양손, 한손 - 배구 토스처럼)

☆ 신체 균형 유지 연습방법

- 양 발을 모은 상태에서 밀어서 한 발만 멀리 디뎌 넘어지지 않기

- 달리다가 휘슬 신호에 정지(양 발 동시 착지 또는 한 발 씩)후 축발이 떨어지지 않도록 보폭을 넓혀서 균형 잡기

- 조깅하다 휘슬 신호에 가볍게 점프하여 한 발로 착지한 채 균형 잡기

2. 패스

가. 체스트 패스 : 패스의 기본이며, 속공 시 꼭 필요한 기술

- 농구의 체스트패스와 동일한 동작으로 초보자가 가장 먼저 익히는 패스

- 공을 잡는 양 손의 위치가 삼각형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 공을 던지는 동작에서 양 팔이 좌우로 벌어지지 않도록

- 공을 던진 후 손등이 서로 마주하도록

- 처음에는 제자리에서 실시하고 차츰 앞뒤로 무게중심을 이동하며 실시

- 공을 던질 때 받는 사람이 가슴에서 머리까지 영역에서 받도록 던진다.

☆ 초보자 연습

- 팔꿈치를 옆(수평)으로 벌리는 것이 손목 꺾는 동작을 이해하기 쉬움

- 검지와 중지로 공을 튕기듯이 던지도록 지도(배구의 오버토스)

- 연습방법 : 양 손바닥을 붙이고 팔꿈치는 어깨높이를 수평으로 만든다

- 서서 벽밀기로 손목사용(벽으로 부터 90cm 정도 떨어져서 선다)

- 체스트 바운드 패스 : 자세를 낮추고 수비자 발 옆으로 낮게 바운드

나. 체스트 바운드 패스

- 체스트패스와 동일한 동작으로 공의 방향을 자신과 상대의 2/3 지점에 던진다.

- 공을 눌러준다는 기분으로 끝까지 손목을 이용하여 던진다.

- 바닥에 바운드된 공은 받는 사람의 허리부분까지 올라와야 한다.

다. 오버헤드 패스

- 공을 체스트 패스와 같은 방식으로 잡아 머리 위에서 던진다.

- 양 손이 자신의 머리 위로 지나 앞쪽에서 공을 놓아준다.

- 손목 스냅을 사용해야 하며, 손끝은 공 진행 방향을 향한다.

- 한 발을 앞으로 딛어 체중을 실어 던지는 연습도 함께 실시한다.

- 동작순서 : 어깨회전 – 팔꿈치 눈높이, 팔꿈치 펴기 – 손목꺾기(스냅)

(확인 : 손목 스냅을 이용하여 던진 후 머리 위에서 손목이 아래로 꺾인 동작 확인 후 팔을 아래로 내린다

- 초 중급에서의 한 손 패스는 던지는 중 멈출 수 없고 부정확하여 권장하 지 않는다.

☆ 업그레이드 연습

* 숄더 패스(원핸드, 투핸드) : 어깨 위에서 던지기

* 힙 패스(원핸드, 투핸드) : 허리 옆에서

* 훅 패스(원핸드) : 한 발을 옆으로 내딛으며 낮은 자세로 무릎 옆에서 던지기

라. 숄더패스

- 야구에서 공을 던지는 동작처럼 한 손으로 공을 잡고 어깨의 회전을 이용하여 던진다.

- 공을 손가락에 올려놓고 엄지와 새끼는 방향을 잡아주고, 가운데 3개의 손가락을 이용한다.

- 어깨 → 팔꿈치 → 손목의 동작으로 던지고 나서 손목을 끝까지 접어준다.

- 공의 회전방향이 좌우가 아닌 앞뒤로 회전하도록 어깨가 뒤에서 앞으로 이동해야 한다.

- 정확하고 멀리 던지기 위해 던지는 손과 반대 발이 앞으로 이동하며 던진다.

3. 캐치

가. 기본자세

- 손가락이 위를 향하고 검지가 주가 되게 하며 중지와 엄지가 보조역할을 하며 새끼손가락이 공 중심 근처에 위치

- 손을 앞으로 내밀었다가 공을 잡은 즉시 가슴 앞으로 끌어당겨 패스 자세 유지

- 한손받기, 양손받기, 탭 해서 잡기 등의 기술이 있다.

- 공을 받기 위해 양 손을 삼각형의 형태로 자신의 얼굴 앞에 만든다.

- 처음부터 공을 받기 보다는 얼굴 앞에서 캐치 손모양을 만들어 손바닥으로 공을 막아 공포심을 없앤다.

- 양 손을 앞으로 멀리 뻗어서 준비하여 공을 자신의 가슴으로 끌어온다.

- 양 발 중 한 발을 앞으로 내밀었다 공을 잡으며 뒤쪽으로 무게중심을 이동시킨다.

나. 캐치방법

<한 손 받기>

머리 위나 좌우로 벗어나는 공을 잡을 때 한 손을 길게 뻗어 잡는다.

공을 능숙하게 다룰 수 있어야 잡을 수 있다.

<양 손 받기>

학생들이 가장 쉽게 잡을 수 있는 방법이다.

안전하게 공을 소유할 수 있어 권장한다.

<탭 해서 잡기>

머리 위의 공을 수비자와 경합할 때 한 손을 사용하여 공을 친 후 잡는다.

리바운드 상황에서 많이 발생한다.

다. 팔 뻗어서 잡기(Reach and Catch)

4. 패스와 캐치 연습법

가. 좌우 이동 캐치 : 체스트 패스, 체스트 바운드 패스 연습

나. 랜덤(Random)패스 : 4~5m 간격, 마주보고. 다양한 패스를 연속적으로 주고받기

다. 노룩 트라이앵글 : 2명이 공을 각각 갖고 1명에게 번갈아 패스

라. 인터셉팅(가로채기) : 2:1, 3:1, 뒤에서 나오며

마. 러닝 앤 점프 캐치

- 5m 간격으로 마주보고 선 상태에서 고정위치의 사람은 패스하고 받는 사람은 이동위치에서 뒤편 3m 지점의 목표에 왕복하여 달려와서 점프스텝으로 공을

캐치한다.

- 착지 후 피벗 동작을 함께 연습하고 체스트로 패스한다.

바. 러닝 캐치 앤 패스

- 5m 간격으로 마주보고 선 상태에서 고정위치의 사람은 패스하고 받는 사람은 이동위치에서 뒤편 3m 지점의 목표에 왕복하여 달려와서 스트라이드(러닝)스

텝으로 공을 캐치한다.

- 스트라이드(러닝)스텝으로 공을 잡은 후 1스텝 후 체스트로 패스한다.(스텝핑 주의)

사. 터치 앤 점프 캐치

- 러닝 앤 점프 캐치의 반대개념으로 고정위치의 사람에게 전진하여 공을 터치 후 백스텝으로 2m 정도 뒤로 던져진 공을 점프스텝으로 캐치한 후 패스한다.

- 백스텝 또는 사이드크로스스텝을 사용한다.

- 로빙패스는 상대의 머리만 넘겨 패스하는 방법이다.

아. 좌우 사이드 스텝 캐치

- 3m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선 상태로 고정위치의 사람은 패스하고 이동 위치의 사람은 사이드 스텝을 이용하여 좌우로 5m 정도를 왕복하며 볼을 캐치 후 패

스한다.

- 패스는 체스트패스와 바운드패스를 이용한다.

- 움직이는 방향의 안쪽 발을 축발로 삼고 바깥 발을 움직여 캐치하고 패스한다.

자. 리액션 패스 : 등지고 서서 돌아설 때 다양한 방향으로 패스 캐치

차. 백턴 이동 캐치

카. 캐치 백턴 패스

타. 에잇(8) 런 패스 캐치

파. GS 캐치 연습

하. 3인 8자 가로채기

- 두 명(⓵, ⓶)이 5~6m 간격에서 패스를 주고받을 때 한 명(⓷)이 8자모양으로 왕복하며 공을 가로챈다.

- (A)와 같이 ⓷이 ⓵뒤를 돌아 나올 때 ⓶가 ⓵에게 패스하면 ⓷은 그 공을 가로채 ⓶에게 돌려주고 달려 나가 ⓶뒤를 돈다.

- ⓷으로부터 공을 받은 ⓶는 ⓵에게 빠르게 패스하고, 공을 받은 ⓵은 ⓷이 ⓶ 뒤를 돌아 나올 때 ⓶에게 패스하며, 이때 ⓷은 공을 가로채 ⓵에게 돌려준다.

- ⓷은 (B)와 같이 ⓵과 ⓶ 사이를 8자 모양으로 돌며 가로채기를 한다.


거. 3각 편대 패스

- (A) : 세 명(⓶, ⓷, ⓸)이 시계방향으로 돌면 한 명(⓵)이 연속적으로 앞에 나온 사람과 공을 주고 받는다.

- (B) : 여섯 명이 각각 세 명씩 양 방향으로 나누어 회전하며 패스한다.

- 도는 방향은 시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 움직일 때 사이드 스텝으로 움직인다.

너. 교대로(2명) 캐치 패스(공1, 2, 컷백병행) : 1명씩 패스하고 좌우로 번갈아 이동 후 패스 받기

더. 컷백(Cut Back)

: 4m 정도거리에서 패스하고 빠르게 2m 앞까지 나오다 뒤쪽으로 이동 하여 공중에서 공받기

: 뒤로 이동 시 가능한 사이드 크로스 스텝(백스텝은 속도가 느림)

: GS의 골밑에서 패스를 받기 위한 기본플레이

5. 슛

가. 원 핸드 슛

- 가장 기초적인 슛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 원 핸드 슛을 할 때 신체의 움직임과 균형을 잡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슈터의 자세는 다음과 같이 한다.

- 슛 동작 순서

나. 투 핸드 슛

- 두 손으로 공을 잡고 오버헤드 패스와 같은 형태로 슛한다.

- 머리 위에서 배구 토스하듯이 하거나, 머리 뒤로 넘겨 축구의 스로인하듯이 실시한다.

- 슈터의 자세는 원 핸드 슛과 동일하게 실시하며 몸의 균형을 잡도록 한다.

◇ 슛 연습

- 1단계 : 원 핸드(다른 한 손은 내리고) - 공을 손바닥 전체에 닿도록 지도

- 2단계 : 무릎을 굽혔다 펴고 양 발끝으로 서기

- 3단계 : 점프 슛을 통해서 무릎과 발목의 펴기가 슛 비행거리와 안정성에 대한 이해

- 4단계 : 숙달 후 한손 보조해야 함(한손이 적당, 양손 사용 시 한쪽으로 밀림)

◇ 페이크 슛

- 슈터는 수비자의 방해를 피해 3초 이내에 슛을 해야 한다.

- 수비자의 블로킹을 위한 점프 타이밍을 피해서 슛한다.

- 옆으로 한 발 이동하여 수비를 따돌린다.

다. 슛 위치 선정을 위한 연습법

- 서클 주변에 5개의 목표를 지정하여 왕복한다.

- 이때 서클 밖에서 C가 공을 던져주면 슈터는 공을 잡아 슛을 하고 리바운드 한다.

- 리바운드 한 공을 서클 C에게 패스하고 다음 목표로 이동하여 반복한다.

- GS의 움직임은 1번 러닝스텝/ 2번 사이드스텝/ 3번 백스텝으로 연습한다.

- C의 패스는 1번 체스트패스/ 2번 바운드패스/ 3번 로빙패스로 연습한다.

6. 리바운드

- 리바운드는 슛한 공이 골대에 맞고 튕겨 나오는 것을 잡는 것이다.

- 공이 노골 되어 낙하할 때 볼을 잡기 좋은 위치를 선점하는 것도 중요하며, 낙하 순간 점프하여 볼을 잡는 동작이 매우 중요하다.

- 슛한 사람이 공의 움직임에 대해 가장 정확하게 알 수 있으므로 슛을 던지고 나서 동료에게 공의 방향에 대해 알려줄 수 있다.(예 : 짧아, 길어 등)

가. 공격 리바운드를 위한 위치 선정

나. 수비 리바운드를 위한 위치 선정

- 수비 시 리바운드 위치는 골대에서 1m 정도 지점에 공격자보다 앞에 있어야 한다.

- 공을 두 손으로 완벽하게 캐치하도록 한다.

7. 풋워크

가. 스플릿 스텝

(1) 동작 및 자세 : 캐치할 때 가볍게 점프 또는 발뒤꿈치를 들었다가 [무릎을 굽히며] 자세를 낮춰 다음 동작을 위한 준비자세 유지

(2) 연습방법

- 약간 점프하여 공중에서 공을 받아 양 발을 넓게 벌려 동시에 지면에 착지하도록 한다.

- 두 발 동시 착지 : 동시에 착지하면 피봇 선택이 자유롭고 제자리에 서서 받는 경우도 동일하다.

- 한 발 씩 착지(스트라이드 스텝) : 먼저 착지한 발을 축으로 피봇할 수 있다.

- 축 발을 떼어서 들 수 있으나 바닥에 닿으면 스텝핑 반칙이다.

- 자세 : 방향 전환 시 무릎을 굽히고 발을 벌려 중심을 앞에 두고 앞꿈치를 축으로 한다

- 축발 지정 후 시계방향 또는 시계반대 방향으로 방향전환 연습한다.

- 움직이는 발로 한 바퀴를 쓰리 스텝, 투스텝, 원 스텝(발레리나)으로 도는 연습을 한다.

나. 풋워크 연습법

- 벽 통과 : 2명이 막고 3명이 통과하기(수비범위 3명의 양 팔 간격)

- 방향 전환 런 : 서드 등 좁은 공간에 여러 명이 계속해서 달리며 부딪히지 않기

- 파이어 볼 : 패스 되는 공보다 더 빨리 돌아오기

다. 서클 패스 게임(5인 이상) : 1명 건너서 패스하기(인원 홀수 공1, 2개 / 짝수 공2개)

라. 슛 릴레이 : 원뿔, 바, 스텝래더 등 장애물 설치하여 풋워크 패턴 후 골밑에서 패스 받아 슛

마. 서클 착지 : 패스 후 달려 나오며 공중에서 패스 받아 서클 내 착지

자. 스텝 래더

- 다양한 스텝 연습으로 움직임 향상

8. 수비

손을 앞으로 뻗어 공의 움직임을 방해할 수 있으며, 먼저 움직여 터치하지 않아야 한다. 공격자의 패스 의도 및 방향에 따른 수비자가 양 팔을 들어 수비한다.

가. 슛에 대한 수비 동작

- 한 손을 앞으로 뻗어 공에 닿을 듯이 가까이 댄다.

- 앞으로 뻗은 손 반대 다리를 뒤로 들어 균형을 유지한다.

- 3초 이내에 슛을 해야 하므로 슛 타이밍을 잡아내고 필요에 따라 점프하여 블로킹한다.

나. 수비자 간격유지 연습

- 키가 비슷한 2인 연습

- 공을 공중으로 높이 던져 바운드 된 공이 정점에 도달한 이후에 리바운드

- 공을 받지 못한 선수는 즉시 두 걸음 물러나서 90cm 간격을 유지하고 수비자세

- 센터서클 이용 거리 유지연습(한 발 뒤로 들고 팔을 뻗어 공격자 몸에 닿지 않을 정도)

9. 팀 연습

라. 일렬(1자) 패스

- 4인 이상이 5m 간격으로 마주보고 서서 일렬로 패스 후 자기 뒤편 또는 맞은편으로 이동한다.

- 1번 위치만 고정하고 반대 방향의 사람만 패스 후 1번을 돌아 자기 위치로 돌아가는 방법도 있다.

- 모든 패스방법을 연습할 수 있다.

마. 3인 패스(삼각 패스)

- 삼각형의 꼭짓점에 1명씩 위치하고 오른쪽(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며 패스를 캐치한다.

- 공을 패스한 후 이동하는 방법과 이동 중 공을 캐치하여 패스하는 방법이 있다.


기본패스(1~8번)

넷볼연습 기본패스1


넷볼연습 기본패스2


넷볼연습 기본패스3


넷볼연습 기본패스4


넷볼연습 기본패스5

넷볼연습 기본패스6


넷볼연습 기본패스7


넷볼연습 기본패스8


자. 스퀘어 라인 러닝 패스(사각대형, 공1~2)

: 패스와 동시에 출발하여 캐치하여 다시 패스, 5인 이상

차. 스퀘어 크로스 러닝 패스(팀 패스, 사각대형, 공1~2) : 패스-캐치-패스 후 대각선으로 이동, 수준에 따라 공 2개 사용

파. 2인 이동패스

- 3m 간격으로 마주보고 20m를 이동하며 패스를 주고 받으며 왕복한다.

- 갈 때는 체스트패스, 올 때는 바운드패스를 사용한다.

하. 4인 대각패스

- 4인이 5m 간격으로 마주보고 서서 대각선 방향으로 패스 후 일정한 장소로 이동한다.

- 패스가 자기 위치를 지나치면 다음 장소로 이동하고 마지막 사람은 슛을 한다.

거. 4인 사각패스

너. 5인(10인) 사각패스

- 4개의 사각형 꼭짓점과 중앙에 1(2)명이 위치하여 공 1(2)개로 실시한다.

- 패스는 꼭짓점에서 중앙으로 시작하고 첫 패스를 한 사람은 패스 후 중앙으로 이동한다.

- 중앙에 위치한 사람은 첫 패스를 받아 오른쪽(왼쪽)으로 패스한 후 자신에게 패스한 사람의 위치로 이동한다.

- 한 쪽 방향으로 먼저 실시한 후 반대 방향으로도 실시한다.

10. 패턴플레이

나. 2:2패스 게임 이동(서드 활용) : 사이드라인→사이드라인까지

다. 3:2패스 게임 이동(서드 활용) : 사이드라인→사이드라인까지. 수비 3명 활동범위 1/3 제한

라. 센터패스 기본 패턴

: GA WA 직선 이동 받기 / 방향 바꿔서 받기 / GD WD 받기

센터패스 기본패턴 8가지

마. 드로우인(위치별) 패턴 : 오버헤드 패스가 효과적

- 골서클 골라인 / 골서드 사이드라인 / 센터서드 사이드라인

바. 골서드 및 골서클 패턴플레이 : 골서드에서 골서클 패스 및 이동

사. 공격 패턴플레이(센터패스에서 슛까지)

센터패스에서 슛까지 패턴 1

센터패스에서 슛까지 패턴 2

센터패스에서 슛까지 패턴 3

센터패스에서 슛까지 패턴 4

아. 골대 근처에서 공격선수 움직임

자. 노 리턴 게임 : 공이 다시 돌아오지 않고 1번씩만 터치하여 슛까지

차. 골서클 지역 패턴플레이

: GA, GS 방향 뒤집기 패스 및 C, WA 움직임 연습

카. 패스게임 및 훈련

- 2:2 / 3:3 / 4:4 / 5:4 : 서드 조절, 패스 횟수 다 같이 외치기

타. 골라인에서 골엔드(상대팀 골라인)까지 : 수비수 없이 자유롭게

파. 패스횟수 제한(3~10회)하여 슛까지 : 패스 횟수 다 같이 외치기

■ 다양한 조건 경기 방법

가. 센터(C) 집중 경기 : 모든 패스는 센터에게 다시 주기

나. 패스 제한 경기 : 체스트 바운드, 원핸드 바운드 패스, 오버헤드 패스 등으로 만 수준차이 고려

다. 골 점수 배점 차등 경기 : 하위수준 팀 2~3점 / 상위수준 팀 1점 등

라. 상대팀 포지션 정해주기

마. [골 서클 투입 득점 경기]

- 경기를 처음 배워 슛 기능 부족할 때

- 골서클 내 GA와 GS와 골서클 주변 지역 C와 WA움직임 향상

- 골대 없이 / 점수 차등

- 득점 조건 성립 : C(WA)→GA(GS)가 골서클 내에서 받아야 함

1점 : C(WA)-GA-GS

2점 : C(WA)-GA-C(WA)-GS

3점 : C-GA-WA-GS

기타 : C-GA-WA-GA / C-GA-C-WA-GA / C-GA-C-WA-GS

바. 남녀 혼성 경기(동성별 매치업) : 여성 4명(GK GD GA GS)

남성 3명(C WA WD)

사. Fast 5 경기 : 양 팀 모두. GK GD C GA GS 경기 – WA WD 제외

아. 하프게임

- 경기장 절반만 사용하여 공격 • 수비 연습

- C(C) WA(WD) GA(GD) GS(GK)로 매치 업 경기

- 4대 4경기 : 양 팀 모두 C WA GA GS 로 하여 공격과 수비 구분 없이 경기하기

11. 전술

가. 센터패스 1

- C는 WA에게 패스한 후 코너로 뛰어간다.

- WA는 돌아서 코너에 있는 C에게 패스한다.

- GS(GA)는 상대 수비를 따돌리고 골대 밑으로 이동하여 패스를 받은 후 슛한다.

나. 센터패스 2

- C는 뒤에서 뛰어오는 GD에게 패스한다.

- GD는 공을 잡은 후 골포스트 주변으로 이동하는 GS(GA)에게 롱패스 한다.

- GS(GA)는 뒤에서 날아오는 공을 잡아 슛한다.

다. 센터패스 3

- C는 뒤에서 뛰어오는 GD에게 패스한다.

- GD는 공을 잡은 후 골서클 밖으로 이동하는 GA에게 롱패스 한다.

- GA는 엔드라인을 따라 뛰어오는 GS에게 패스한다.

- GS는 수비를 따돌리고 엔드라인을 따라 골대 주변으로 뛰어와 공을 잡은 후 슛한다.

라. 골라인 패스 1

- 골서클 밖에서 C가 자신에게 다가오는 GS에게 패스한다.

- GS는 런지자세로 공을 잡은 후 슛한다.

마. 골라인 패스 2

- 골서클 밖에서 C가 서클 밖의 WA에게 패스한다.

- WA는 자신의 가까운 방향으로 이동하는 GA에게 패스한다.

- GA가 공을 잡은 후 슛한다.

바. 골서클 패스 1

- 골서클 안에서 GS가 자신에게 다가오는 GA에게 패스한다.

- GA는 런지자세로 공을 잡은 후 슛한다.

사. 골서클 패스 2

- 골서클 안에서 GS가 서클 밖의 WA에게 패스한다.

- WA는 골대 뒤로 돌아들어오는 GS에게 패스한다.

아. 드로인 1

- 센터서드에서 아웃이 된 경우 드로인 전담 선수를 정해두는 것도 효과적이다.

- C가 이동하는 GD에게 패스하고 골서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GA에게 패스한다.

- GA는 골서클 안쪽에서 움직이는 GS에게 패스한다.

자. 드로인 2

- 센터서드에서 아웃이 된 경우 드로인 전담 선수를 정해두는 것도 효과적이다.

- C가 이동하는 GD에게 패스하고 골라인을 따라 골서클 밖으로 이동하며 리턴패스를 받는다.

- C는 골서클 안쪽에서 움직이는 GS에게 패스한다.

12. 체력 훈련

가. 골서클 셔틀런

- 그림과 같이 골서클 밖으로 왕복 이동하는 선수와 패스 주고받기

- 코치가 주는 패스는 바운드패스, 선수가 돌려주는 패스는 체스트패스

- 이동순서 : 원뿔1-2-1-3-1-4-1-5

- 체력에 따라 왕복 : 원뿔5-4-5-3-5-2-5-1

나. 셔틀런 대각선 패스(사각대형, 공1, 체력요함)

: 2명이 번갈아 앞으로 나오며 캐치 후 대각선의 선수에게 패스 후 제자리로 돌아가기

다. 공 신체 터치 게임(서드 다양하게 활용, 공 1~2개)

■ 체력운동 프로그램 예 (90분)

- 준비운동 및 스트레칭 - 10분

- 러닝 : 800m - 8분

- 2인 러닝 패스(2m간격) 5회 왕복 : 300m - 3분

- 3인 크로스 러닝 패스(폭 6m) 5회 왕복 : 300m - 4분

- 다양한 패스 연습 외 : 15분

- 경기 : 45분(3~4경기)

- 정리운동 : 5분

Ⅴ. 심판의 수신호


넷볼 심판 시그널

대전광역시 넷볼협회 홈페이지 http://netbal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