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 세포, 조직 수준의 구조-기능 상관관계를 연구합니다.
특히, 환경과 피부, 외피계, 관련 신경계 및 내분비계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인터페이스 바이오시스템의 디자인을 연구합니다.
단백질 구조와 생리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구조 기반 신약 설계를 진행합니다.
아울러, 피부 항상성 유지에 유용한 단백질, 피부세포 및 피부조직, 나아가 인공피부 시스템을 설계 제작합니다.
Physiology of Skin
and Biological Interfaces
분자에서 개체 수준까지 - 피부와 외피계의 항상성 유지 메커니즘, 그리고 이와 연접한 근골격계, 내분비계, 신경계가 협업하는 바이오시스템의 구조 및 기능을 이해합니다.
생화학, 분자생물학, 세포생물학, 생리학
Structural Biology
for Biological Interfaces
원자 수준에서 분자 수준까지 - 분자기계 및 세포 내외의 거대 구조물이 갖는 형태와 기능을 이해하고, 나아가 구조기반 신약설계 연구를 진행합니다.
구조생물학, 구조기반 신약설계
BioDesign and BioEgineering
of Integumentary System
피부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에 기초하여, 피부 단백질과 피부세포 및 피부조직, 인공피부 모델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합니다.
단백질공학, 세포공학, 조직공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