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연구실 연구원들이(홍표길, 고민혁, 이정우, 이성원) 한국동서발전이 지원하는 부울경 화이트해커 양성사업의 프로젝트에 "은닉 영역 탐지를 위한 안티포렌식 대응 프로그램 개발"로 연구 결과를 출품하여 최우수상(상금 1,000,000원)을 수상했습니다.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한국정보보호학회 동계학술대회(CISC-W'21)에 "모바일 정보 은닉 앱에 대한 취약점 분석" 논문을 발표하고 우수논문으로 선정되어 정보보호학회장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정보통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모바일 정보 은닉 앱에 대한 취약점 분석", 고민혁 연구원이 "모바일 랜섬웨어 앱 동향 및 침해사고 대응"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동계학술대회에 "Bootice의 은닉 영역에 대한 안티포렌식 및 안티포렌식 대응에 대한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우수논문상을 수상했습니다.
이성원 학생이 우리 연구실에 학부 연구생으로 참여했습니다. 이성원 학생은 2022년 1학기에 석사과정 진학 예정입니다.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에서 출간하는 KCI 등재지인 디지털포렌식연구에 "이동식 저장매체의 은닉영역에 대한 안티 포렌식 대응 기술 연구" 논문을 게재했습니다.
연구실 환경 개선을 위해 정보공학관 301호를 리모델링 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309호는 머신러닝 및 딥러닝을 위한 서버들을 비치한 AI분석 전용 연구실로 전환하고 301호를 주 연구실로 사용합니다.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WISA 2021에 "A Study on Author Profiling based on Text Mining for Effective Forensic Investigation" 논문 포스터를 투고하여 Best Poster를 수상했습니다.
이정우 학생이 우리 연구실에 학부 연구생으로 참여했습니다. 이정우 학생은 2022년 1학기에 석사과정 진학 예정입니다.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한국디지털포렌식학회 하계학술대회에 "이동식 저장매체의 은닉영역에 대한 안티 포렌식 대응 기술 연구" 논문을 발표하고 우수논문상(경찰청장상)을 수상했습니다.
한국연구재단에서 지원하는 지원하는 "차세대 안드로이드 모바일 포렌식 2.0을 위한 고도화 연구"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1년 6월 1일부터 2024년 2월 29일까지 총 3년동안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총 131,559,000원입니다.
한국정보통신학회 춘계종합학술대회에서 우리 연구실 홍표길 연구원이 "디지털 포렌식 관점에서 이동식 저장매체의 은닉영역 분석 연구", 고민혁 연구원이 "양자키 분배의 개념과 과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국가보안기술연구소에서 지원하는 지원하는 "모바일 암호앱의 암호 알고리즘 안전성 연구"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1년 4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50,000,000원입니다.
연구 내용은 암호화 기능을 포함하는 앱을 분석하기 위한 환경 구축(정적 분석, 동적 분석), 암호화 기능이 포함된 악성앱인 랜섬웨어와 개인정보보호앱을 분석하여 데이터 복호화에 대한 취약점을 분석하고 랜섬웨어의 경우 피해를 복구하기 위한 복호화 방안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한국정보보호학회 디지털포렌식연구회에서 지원하는 "딥러닝 기반 프로파일링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모바일 메신저 데이터 연구" 연구과제를 착수했습니다. 해당 연구과제는 2021년 3월 16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지원되며 지원 금액은 45,000,000원입니다.
김도현 교수가 디지털 포렌식과 취약점 분석을 주로 연구하는 DF&V 연구실을 창설했습니다. 연구실 첫 멤버로 석사 1학기에 진학한 홍표길, 고민혁 연구원이 참여했습니다. 연구실의 위치는 정보공학관 309호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