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e
미국 Accelnet을 비롯한 응집분과에서 제공하는 국제 협력에 지원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응집분과 회원이어야 합니다.
지원을 원하는 PI는 중복지원 및 선정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응집분과 국제간사와 의논해 주시면 감사합니다. 현 국제간사는 분과 부위원장인 박성균 회원(연락처: psk@pusan.ac.kr)입니다.
Accelnet 프로그램 소개
아래 내용은 응집분과 회원들께서 Accelnet 프로그램을 쉽고 빠르게 확인하실 수 있도록 공식 페이지의 프로그램을 한국어로 번역한 내용입니다. 실제 프로그램에 지원, 활용하시고자 할 경우, 직접 Accelnet의 홈페이지 내용을 확인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양자 물질 장기 교류 지원 프로그램 (Quantum Materials Long-term Exchange Awards)
대상: 박사후연구원 및 PI급 연구자
지원기간: 1개월에서 최대 6개월
목적: QMAC 네트워크 소속의 서로 다른 두 기관(‘소속 기관’과 ‘호스트 기관’) 간의 장기 공동 연구 프로젝트를 위한 자금을 지원
제한사항: 두 기관 중 하나는 반드시 미국 내에, 다른 하나는 미국 외에 있어야 함
지원사항: 박사후연구원의 경우 최대 $40,000까지의 생활비(stipend)가 직접 지급. PI급 연구자의 경우 월 최대 $6,600까지의 비용 환급(reimbursement) 형식으로 지원
기타: 호스트 기관의 초청장 제출 필요, 박사후연구원의 경우 호스트 기관에서 연구를 지도(mentor)할 수 있다는 확약 증빙 자료도 함께 제출. 박사후연구원의 경우 전액지원을 위해서는 3개월 이상 호스트 기관에 체류 필수
양자 물질 단기 과학 교류 지원 (Quantum Materials Science Exchanges)
대상: 네트워크 내 모든 주니어 및 시니어 과학자 모두
목적: 2~4주간의 단기 과학 교류
제한사항: 교류는 반드시 서로 다른 국가에 위치한 네트워크 기관 간에 이루어져야 함
지원사항: 일반적으로 약 $4000 규모의 지원금
심사 관련 정보: 한국물리학회 응집분과 운영위원회에 연락 부탁드립니다. 2025년도 심사 일정: 1월16일~6월30일/ 7월1일 ~ 10월31일/ 11월1일 ~ 26년 2월 28일
활용 가능 방안 (예시)
장기교류 프로그램: 연구년, 짧은 빔타임이 아닌 장기 실험 제안서에 활용 (예. 오크리지 CNMS)
단기 과학 교류 지원: 빔타임 등 2주 이상의 실험과 연계, 다양한 국내 학회에 참석하는 해외 초청 연사 지원에 활용, 국제학회 참여 (젊은 과학자 지원 등)
응집물리분과 네트워크와 관계 기관 및 프로그램 웹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