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화재 감소를 위한 아크차단기 도입에 관한 연구"가 조명전기설비학회 논문지 2022년 6월호에 게재되었습니다.
<Abstract> This paper proposes the installation of arc-fault circuit interrupters to prevent the electric fires caused by the electric arc. In spite of the positive effects on the installation of arc-fault circuit interrupters, the interrupters have not been required as mandatory apparatus because of the lack of standards for their installation, test, validation, and institutions. To propose the mandatory installation of the apparatus, this paper deals with the regulations for the installation and requirements of the arc-fault circuit interrupter applied in different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Canada, the European Union, Germany, the United Kingdom, and Asian countries. The necessity of the installation of the arc-fault circuit interrupter is proposed based on domestic regulations. The direction of the enactment and revision of the regulations are also reviewed. As a result, the definition of the arc-fault circuit interrupter, establishment of testing and certification standards, and obligation of the installation of the arc-fault circuit interrupters are suggested for preventing electric fires.
(이 논문은 2022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 (No.20 20R1I1A1A01073797)).
2021. 10. 14. 한전 데이터공유센터 방문
한국전력공사에서 운영하는 영남권 데이터공유센터에 방문/견학 다녀왔습니다. 대구본부 전력관리처에서 동아대학교 방문팀을 맞이해주셨으며, 나주 본사 디지털변환처 빅데이터융합실 박종운 실장님, 한신 차장님, 장우주 대리님께서 함께 오셔서 한전 전력데이터 공유플랫폼을 소개해주셨습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AI학부 천세진교수님께서 준비해주셨고 컴퓨터공학과, AI학과, 전기공학과 학생들이 참여했습니다. 도움주신 모든 분께 감사드립니다.
한전의 전력데이터를 활용한 새로운 사업 모델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된 2021 전력데이터 활용 신서비스 개발 경진대회(산업통산자원부 주최, 한국전력공사 주관)에서 동아대학교 컴퓨터ㆍAI공학부와 전기공학과 재학생으로 이루어진 PV2EV(왕수연, 송승훈, 고유리, 박민주), 에너지솔루션(이지훈, 최문봉, 박경용)이 일반 및 학생 부문(공모 총 75개 팀) 최우수상과 우수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습니다. 축하합니다!
최우수상(서울대 DS대학원 원장상) / PV2EV / 태양광 발전 기반 전기차 충전소 실시간 분석 서비스
우수상(한수원 사장상) / 에너지솔루션 / 스마트 컨슈머를 위한 3C 분석 및 제안 서비스
ZnS: V nanoparticles의 구조학적, 광학적, 자기학적 특성, 광효소, 수소 생산 특성 등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Ceramics International의 Volume 47, Issue 18에 발표하였습니다.
<Abstract> In the present study, we fabricate the ZnS: V (0, 2, 4, and 6 at%) nanoparticles (NPs) using the chemical-refluxing technique. We analyzed these samples based on structural, optical, magnetic, degradation, and hydrogen evolution properties. Comprehensive analyses of the chemical, structural, and optical measurements show that the vanadium (V) ions occupied the Zn host site without altering their original structure and without forming new phases. We confirmed the paramagnetic nature of the doped samples via magnetic measurements. We examined the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the fabricated NPs by the degrading Rhodamine-B (RhB) dye in an aqueous solution under the ultraviolet (UV) light, and the ZnS: V of 2 at% displayed higher degradation efficiency than the other samples. Moreover, 2 at% ZnS: V (sample showed a higher H2 evolution rate (1140 μmolg−1h−1) than the other samples and was 17 times greater than that of pure ZnS lattice. The observed efficient photocatalytic organic pollutant degradation and better hydrogen fuel evolution in 2 at% ZnS: V sample could be due to the presence of a large surface area, creation of more defect sites, dislocation sites of the prepared compound, generation, and the presence of a huge number of charge carriers due to the substitution of V-dopant in the Zn host site and non-recombination rate of charges.
IEEE Access에 투고한 "Thermo-fluid Characteristics of Microchannel Heat Sink with Multi-configuration NACA 2412 Hydrofoil Ribs" 논문이 게재 확정되었습니다.
본 논문에서는 Micro Channel Heat Sink (MCHS)의 내부 구조에 따른 열적, 수력학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MCHS의 smooth channel 내부에 NACA2412형 하이드로 포일 구조의 ribs를 적용하여 유체 및 열 전달 거동을 모사하였습니다. ribs의 배치 방식을 조정하였을 때, Re에 따른 △P, fapp, Nu, η 등을 비교하였고, 이들 결과로부터 MCHS의 열적, 수력학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ribs의 크기와 배치 방식을 제안하였습니다.
조명전기설비 학회지의 2021년 7월호 특집은 "LED 산업의 Bio 분야 과제"로 준비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특집에서는 LED 산업의 바이오 분야 확장에 대한 연구 동향과 실증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먼저, HCL의 조광제어 기능을 탑재한 퀀텀닷 조명의 개발에 따른 작물별 맞춤형 인공광원 제작 기반이 갖추어짐으로써, 이를 토대로 한 퀀텀닷조명 기반 작물 재배 기술을 소개하였다. 또한 UV-LED를 이용한 살균과 소독 기술이 코로나 바이러스형 질병의 예방과 치료 기술의 개발로 이어지고 있음에 따라 바이러스의 비활성화 또는 사멸을 목표로 하는 UV-LED 기술의 개발 동향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수확량 개선을 위하여 660nm LED 보광기술을 활용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시스템 연구와 개발에 관하여도 소개하였다. 660nm LED 보광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일몰 후에도 광합성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를 영농분야에 접목하여 실증한 연구자료로써 향후 영농 뿐만 아니라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 가능한 기술로 발전해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ED 광원의 열-전기-광학 특성 관계와 최대 광선속 변화에 관한 연구"가 조명전기설비학회 논문지 2021년 7월호에 게재됩니다.
<요약> 발열로 인한 LED 광원의 광출력 및 광효율 저하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 혹은 이용하기 위해서는 LED 광원에서 일어나는 열-광학 관계, 열-전기 변환 관계, 전기-광학 관계, 나아가 열-전기-광학 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에너지보존법칙에 기초한 LED 광원의 열-전기-광학 특성들의 관계를 도출하고 이를 모사하고 해석하기 위한 단일 칩 LED 광원의 다중 물리 모델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실험 광원의 스펙과 실험 결과로부터 LED 광원의 물리적 특성을 확보하여,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제안한 모델의 시스템 거동을 모사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모델의 특성과 거동을 기반으로 LED 조명 시스템으로부터 최대 광선속을 얻기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고찰한다.
(이 논문은 2020년도와 2021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2017R1 D1A3B03035693, No.2020R1I1A1A 01073797)).
국제학술지 Sustainability(I.F. 3.251)의 Energy Sustainability (에너지 지속가능성) 분야 - 에너지 안보, 에너지 공급 체인 Special Issue의 Guest Editor를 맡게 되었습니다. 관심 있는 연구자분들의 논문을 모집합니다. 감사합니다.
https://www.mdpi.com/journal/sustainability/special_issues/energy_supply#
2021. 03. 01. 동아대 전기공학과 다중에너지통합연구실 홈페이지 오픈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