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mal LID Design for Watershed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Considering Uncertainties from Climate and Land Cover Change
기후 및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을 반영한 유역 내 수량·수질 개선을 위한 최적 LID 설계. 2025. 10. ~ 2027. 09. (Collaborated with Prof Chua, Lloyd (Deakin University, Australia) and Prof Irvine, Kim (Thammasat University, Thailand)
Advancing modelling of compound drought and heatwave events in East Asia and Europe under climate change
기후 변화에 따른 동아시아 및 유럽의 복합 가뭄 및 폭염 현상에 대한 모델링 개선. 2025. 1. ~ 2026. 12. (Collaborated with Prof Tabari, Hossein (University of Antwerp, Belgium)
Developing a runoff prediction model for Korean basins using Transformer and GNN
Transformer 및 GNN을 활용한 국내 유역 유출량 예측 모델 개발. 2024. 9. ~ 2025. 8.
Quantifying the uncertainty in global future meteorological and hydrological drought over SSP scenarios using grid-based runoff analysis
격자 기반 유출분석을 통한 SSP 시나리오의 전 지구 규모 미래 기상학적 및 수문학적 가뭄 불확실성 정량화. 2023. 6. ~ 2026. 5.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송영훈)
Assessment of compound and cascading hazards relating to typhoon and drought in hydrological aspect
수문학적 측면에서의 태풍과 가뭄의 대상으로 한 복합 연속위험 평가. 2023. 6. ~ 2026. 5.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자 한국해양대학교 송재열)
Training program in fields of protection and safety based on construction fusion technologies
건설융합기술 기반 방호·안전 분야 미래인재 양성 교육팀. 2023. 3. ~ 2027. 8. (4단계 BK21사업 미래인재양성사업 (응용과학 분야) 교육연구팀)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strategies under comparative future climate and drought projections for RCP and SSP scenarios
RCP와 SSP 시나리오에 대한 미래 기후 및 가뭄 예측을 통한 적응대책 수립 기법의 개발. 2021. 3. ~ 2026. 2.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
Optimal LID design for water cycle restoration in urban watershed considering future extreme climates
미래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 유역 내 물 순환 복원을 위한 최적 LID 설계. 2024. 4. ~ 2025. 3. (Collaborated with Prof Chua, Lloyd, Deakin University)
Uncertainty analysis of runoff quantity and quality projection under climate change a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유출량 및 수질 예측값의 불확실성 분석. 2024. 6. ~ 2025. 2. (서울과학기술대학교)
Future projection of floods and droughts in Nigeria using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기후변화 시나리오와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한 나이지리아의 홍수 및 가뭄 특성 변화 예측. 2024. 1. ~ 2024. 12. (한국연구재단)
Drought characteristics analysis of African continent to changes in extreme rainfall and temperature induced by 1.5°C and 2.0°C global warming
1.5°C 및 2.0°C 지구 온난화로 인한 극한 강우 및 온도 변화에 대한 아프리카 대륙의 가뭄 특성 분석. 2022. 8. ~ 2024. 12. (한국연구재단)
Assessing the carbon·water·energy impacts of urban green infrastructure to mitigate climate risk for being carbon neutral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시대를 위한 도시 그린인프라의 탄소흡수 증대 및 물열순환 개선 평가 기술 개발. 2021. 4. ~ 2022. 12.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국토교통기술촉진연구사업)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ystematic procedure of sustainable water management plan for Sponge City considering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반영하는 Sponge City를 위한 물 순환 개선계획 수립 절차의 적용. 2016. 11. ~ 2021. 10.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자지원사업)
Multi-users water demand forecasting and uncertainty analysis under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한 다양한 용수수요 예측 및 수자원 관리에 대한 불확실성 분석. 2019. 7. ~ 2021. 6.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제기관간 MOU지원사업, 한중협력연구사업)
Development of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framework considering complete uncertainty
불확실성을 고려한 통합수자원관리 계획수립 방법 개발. 2014. 11. ~ 2017. 4. (한국연구재단 일반연구자지원사업)
Improvement and globalization of Water Management Analysis Module (WMAM)
물 순환 개선계획 분석 시스템의 개선 및 국제화. 2015. 12. ~ 2016. 11. (한국연구재단 연구교류지원사업)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hydrologic cycle restoration projects considering environmental changes of watershed
외부환경 변화에 따른 물 순환 복원 기술 평가 시스템 개발. 2012. 7. ~ 2017. 6.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Water resources vulnerability evaluation of North Korea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북한 수자원에 대한 취약성 연구. 2012. 1. ~ 2015. 1. (한국연구재단 남북교류협력사업)
Development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for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유역통합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적응 전략 수립. 2010. 5. ~ 2015. 4.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