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 lab 모집공고 & 지원서 양식
스마트ICT융합공학과와 문예창작학과 학생들로 구성된 AI영화제작연구팀 9명은 '2024년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최고상인 "대상"을 수상하였다. 수상팀은 최영희 교수와 박구만 교수 지도하에 ST융합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12월23일 미래이후연구소 콜로키움에서 “AI를 활용한 인공지능 영화 제작사례 –가능성과 한계점-”이라는 주제로 수상 논문의 내용과 연구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우리 연구실의 조형래박사과정이 수원문화재단 수원시미디어센터에서 추진하고 있는 '2024 생성형 AI 미디어아트 영상 제작 지원' 사업에 제출한 미디어 작품 계획서가 최종 선정되어 작품 2편 제작비를 지원받게 되었다.
이로써 생성형 AI 기반 미디어 아트 기술을 꾸준히 개발해온 성과가 인정받는 계기가 되었다. 본 기술은 작가들의 고유 스타일을 확장해주는 역할을 하는 AI이다.
입력: 2024년 10월10일
문예창작학과와 컴퓨터비전연구실은 우리대학교의 ST융합연구 지원사업에 '생성형 AI를 활용한 영화 콘텐츠 창작 및 함의 분석' 주제로 계획서를 제출하여 선정되었다.
2024년 6월부터 2025년 2월말까지 AI 영화 제작을 진행하며 이 과정에서 도출되는 다양한 시사점을 분석하고 대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본 과제는 AI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할 기회를 제공하며, 참여 학생들에게 경험과 실력을 쌓게 할 것이다. 현재, 연구 팀이 구성되어 영화 콘텐츠 제작과 모델 개발에 착수했지만 더 많은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기대하고 있으며 문호를 개방하고 있다.
본 과제는 생성형 AI를 활용한 콘텐츠 개발의 다양한 기회를 만들어 갈 것이다. 본 과제를 기반으로 향후 아트, 영화, 웹툰, 버추얼 휴먼 인플루언서, 3D 애셋, 뮤직비디오, 광고동영상 등을 개발할 예정이다.
CV Lab에서 학부 연구원으로 활동한(2022.08 - 2024.06) 이나연 졸업생이
24년도 상반기 CJ E&M에 합격한 소식을 알렸다.
학부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인공지능 모델, 실감미디어, 유니티 3D 개발 등에서 프로젝트 수행 실적을 꾸준히 쌓았다. 이러한 경험을 인정받아 취업에 성공하였으며 앞으로의 뛰어난 직무 수행이 기대된다.
CV Lab에서 학부 연구원으로 활동한(2022.08 - 2024.03) 김연수 졸업생이
24년도 상반기 인공지능 기업 업스테이지에 합격한 소식을 알렸다.
학부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인공지능 모델 개발 등에서 경진대회 참가, 프로젝트 수행 실적을 꾸준히 쌓았다. 이러한 경험을 기반으로
직무에서 커리어를 성장 시킬 것으로 기대가 된다.
컴퓨터비전연구실에서는 동계방학기간인 23년 12월부터 24년 2월까지 생성형 AI 모델 개발을 하였으며, 생성한 인공지능 아트 작품들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다빈치미술관(2월)과 고척돔전시실(3월)에서 전시하였다. 본 개발과정에는 국내 유명작가들과 연구실의 조형래박사과정을 비롯한 학생 연구원들이 공동으로 참여하였다.
2024년 2월 14일 박구만교수가 한국방송학회 <2024년 미디어 산업 쟁점과 토론> 1차 행사에서 초청 세미나 발제를 하였다. 장소는 동아대 부민캠퍼스 사회과학대학 605호와 온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되었으며 세미나에 이어 참여자들의 열띤 토론이 있었.
2023년 10월 26일 박구만교수가 한국인터넷정보학회 추계학술대회의 특별세션인 디지털트윈연구자포럼에서
"공학분야의 인공지능에술"이라는 주제로 초청강연을 하였다.
2023년 10월 12일 우리 연구실의 남영진, 김연수 학부연구원이 제2회 첨단분야 혁신융합대학과 신한금융그룹이 함께하는 빅데이터 해커톤 대회에서 신한은행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특히, 김연수연구원은 연구실에서 쌓은 실력을 인정받아 네이버랩스에 인턴으로 근무를 시작한다.
2023년 9월 우리 연구실의 조형래 연구원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개최한 AI기술을 활용한 문화콘텐츠 공모전에
"창작자의 작업을 도와주는 인공지능 공방" 프로젝트를 가지고 참가했다.
2차에 걸친 서류, 발표 심사를 통과하여 장려상을 수상했다.
우리 연구실은 2023년 상반기에 박구만교수를 대표로 하여 창업을 한다.
그 전 단계로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시행한 ’2023년도 예비창업패키지 예비창업자 모집’에서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정되었다. 이를 통해 사업 목표의 신뢰성을 인정받게 되었다.
창업할 기업은 (1) 지능형 영상분석, (2) 3D 모델링을 포함한 직관적 이해를 돕는 시각화 기술 및
(3) End-to-End Framework 의 3가지 핵심 보유 기술을 사업에 적용할 계획이다.
우리 연구실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유에스엔케이㈜ 대표 김영언박사가
‘소재·부품·장비 스타트업 100’ 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최대 2억원과 함께,
정책자금 한도 우대와 보증료 감면, 수출 마케팅 지원 우대등을 지원받고,
대·중견기업 및 투자기관과의 상시 교류 프로그램도 제공받게 되었다.
유에스엔케이는 스마트 모빌리티에 적용하는 비전센서와 융합할 사운드 센서인
AI기반 사운드 센싱 모듈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향후 UAM분야의 성장과 함께 발전 가능성이 기대되는 기업이다.
2023년 03월 31일, KBS 미디어미래연구소의 서영우부장,이윤재팀장을 초청하여
인공지능을 적용한 최신 영상 remastering, 자동 편집, vVertigo 기술 개발에 관한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또한 향후 우리 연구실과의 협력방안에 대한 논의도 함께 이루어졌다.
우리 연구실은 산학협력단 기술사업화팀의 도움을 받아 2023년 3월 8일 스마트농장과 유통업체를 연결하는 B2B 농산물 유통 플랫폼 기업인 팜스태프㈜와 기술이전 협약을 맺었다.
향후 딥러닝 기반의 작물 측정 기술을 제공할 예정이다.
CV Lab에서 학부 연구생으로 활동하고 있는 남영진, 오수성 학생이 23년 1월부터 2월까지
두 달 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연구연수생 활동을 진행했다.
두 학생은 학부연구생으로서 수행한 과제 경험을 살려, 각자 관심분야인
인공지능S/W프로세서연구실, 콘텐츠인식연구실에서 2달 간 연수를 마쳤다.
Stable-diffusion Fine-tuning을 적용하여 text to image 실험결과 등을 발표하였다.
2022년 12월27일 부터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에 연구실의 정례 세미나가 시작된다.
화요일에는 pose estimation, smart signage, 3D 영상 인식 등의 주제가 발표되며,
목요일에는 source code 분석 세미나가 진행된다.
CV Lab에서 학부 연구원으로 활동한(2020.06 - 2021.08) 장익준 졸업생이
22년도 하반기 현대 자동차 연구개발본부 합격 소식을 알렸다.
학부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흥미를 느낀 AR/ VR 기술 관련 경험을 기반으로
직무에서 커리어를 성장 시킬 계획이다.
‘대학지성’ 인터넷 신문 기사 ‘인공지능과 함께 하는 예술-AI와 예술의 공존시대 준비해야’(2022.12.24)에
우리 연구실이 참여한 <아트 매치-매시업(Art match-mashups)> 행사가 일부 소개되었다.
기사는 인공지능을 접목한 예술 산업의 예들을 소개하고 있다.
연구실 관점에서 기사 요약:
예술은 과학기술 발달에 따라 변화⋅발전해온 매체와 만나 새로운 예술로 확산⋅발전하고 있다.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하면서 실감콘텐츠, 메타버스, 인공지능이 등장하며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예술창작 환경의 변화⋅발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출처 : 대학지성 In&Out(http://www.unipress.co.kr)
스마트ICT융합공학과 박구만 교수가 2022년 12월 23일에
방송⋅미디어 콘텐츠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장관표창을 수상하였다.
박구만 교수는 약 20여년간 방송⋅미디어 콘텐츠 분야 기술 개발과 방송⋅미디어 콘텐츠 분야의
학술적 발전 및 관련 기술 개발 분야 정부 정책 수립에 기여한 바 장관상을 수상하였다.
2022년 12월20일 연구실 졸업생인 스탠스㈜ 대표 전지혜박사가 첨단안전산업
진흥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표창을 수상하였다.
본교 교수학생 교직원음악동호회 라벨라비타의 정기연주회가
2022년 11월30일 저녁7시 100주년기념홀에서 개최되었다.
박구만교수는 합창과 개인곡에 참여했다.
2022년 11월18일에 개최된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총회에서 박구만 교수가
차기 수석부회장으로 선출되었다. 임기는 2023년 1월부터 2023년 12월31일까지이다.
2022년 11월 2일부터 11월11일까지 <Art Match-mashups_ 예술: 기술: 향유> 전시회에 참여하였다.
연구실의 조형래 연구원이 인공지능 기술감독을, 박구만교수가 인공지능 기술자문을 맡으며 본 전시회에 참여하였다.
2022년 11월 04일, 팜스태프와 딥러닝 기반 작물 측정 협력 미팅을 진행하였다.
2022년 11월 03일, 연세대학교 어영정 교수님을 초청하여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2022년 10월 21일 박구만 교수는 초정밀 시각화 기술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스탠스 본사에서
Michael Reiterer 전 주한 EU대사와 본 기술과 관련한 기술 소개 간담회에 참석하였다.
연구실의 남영진, 오수성 학생이 2022년 09월29일에 2022학년도
디스커버리학기 프로그래밍 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2022년 09월 06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박지영 박사를 초청하여
<GAN을 적용한 패션디자인 생성>에 대한
zoom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2022년 08월 19일,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조병철
교수님을 초청하여 <스마트 도시와 인간>
에 대한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2022년 07월 18일, 동아방송예술대학교 이상운 교수님을
초청하여 <미디어 자산관리 시스템의 이해>에 대한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박구만 교수가 2022년 6월 29일에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선정하는
'제32회 과학기술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다.
연구실의 최진원, 김상준, 박서연, 곽기석 학생이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2년 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이 장려상을 수상했다 .
2021년 12월 22일, 서울시립대학교 김성환 교수님을 초청하여
<메타버스 기반 경제 정책 사례>에 대한 세미나를 진행하였다.
2021년 11월 17일 상암동 스탠포드 호텔에서 제11회 차세대 방송·미디어 기술 세미나가 개최되었으며,
박구만 교수는 session3 방송 · 미디어 기술 콘텐츠 트렌드 및 인사이트의 좌장을 맡아서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