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이드론] 무당벌레 드론 만들기
[종이드론] 무당벌레 드론 만들기
03.
조립하기 - FC / 모터
📌 FC란? Flight Controller의 줄임말로, 드론의 비행제어장치입니다. 인간의 뇌, 컴퓨터의 CPU와 같은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8. FC 위, 아래에 FC 커버를 씌워 조립합니다.
위, 아래 커버의 모양이 다르니 확인 후, FC의 안테나가 윗 커버 안테나 구멍으로 나오도록 조립합니다.
#9. FC 아래 쪽에는 모터와 연결되는 포트가 있습니다.
✔ 주의 : 각 포트에 연결해야 할 모터 선의 색이 다르니 조립 위치를 확인하여 정확하게 조립합니다.
#10. 커버와 모터 선 조립이 끝난 FC와 모터를 본체에 넣습니다. FC는 본체 중앙에, 모터는 프레임 각 모서리에 위치합니다.
#11. 모터 선을 설명서에 안내된 위치에 걸어 정리합니다. 모터 선이 정리되지 않으면 배터리 조립이 어렵습니다.
#12 ~ 14. 배터리 커넥터 부분을 확인하면서 배터리 공간을 조립합니다.
04.
조립하기 - 프로펠러
#15. 프로펠러는 2가지 타입이 있습니다. 자세히 보면 서로 다른 프로펠러의 방향이 보입니다.
프로펠러의 방향에 따라 연결하는 모터가 다르니, 프로펠러 뒷면에 적혀 있는 타입을 확인하여 모터를 연결합니다.
✔ A 타입 - 빨파선 모터와 연결
✔ B 타입 - 검흰선 모터와 연결
프로펠러까지 조립을 마치면 무당벌레드론 완성!
📌 드론 프로펠러 상식!
A - CW (Clock Wise) : 시계 방향으로 회전
B - CCW (Counter Clock Wise) :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05.
조종기 연결하기
[드론과 조종기 처음 1:1 연결하기]
종이 드론은 조종기를 기억하여 혼선을 줄일 수 있습니다.
1. 종이 드론의 배터리를 연결 후 뒤집은 상태로 놓습니다.
2. 조종기의 '왼쪽 조이스틱(C)'을 누른 상태에서 '전원(F)'을 켭니다.
3. 드론의 LED 깜박거림이 멈추면 조종기 연결 작업이 완료됩니다.
4. 이후 바인딩을 진행합니다.
5. 조종기 또는 드론을 교체할 경우 조종기 연결하기를 다시 진행합니다.
[바인딩 하기]
📌 바인딩이란? 드론 비행을 위해서는 드론 기체와 조종기의 신호를 연결해야 합니다. 이 과정을 '바인딩' 이라고 합니다.
드론 기체에는 전원을 켜면 조종기의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수신기가 들어있지만, 전원을 넣기만 해도 바로 신호를 수신한다면 같은 주파수를 쓰는 다른 조종기와 신호를 구분할 수가 없겠죠. 따라서 바인딩은 '이 조종기의 신호를 받아 움직여라' 라고 약속을 해 놓는 것입니다.
1. 종이 드론의 배터리를 연결 후 평평한 곳에 놓습니다.
2. 조종기의 '전원 스위치(F)'를 ON 합니다.
3. 비프 음이 멈추면 연결이 완료됩니다.
* 주의 : 조종기를 먼저 켜지 말고, 위의 순서를 5초 이내에 완료하세요.
06.
조종기 조작방법
드론 조종기 각 부분의 명칭과 기능을 확인한 후 드론을 날려봅니다.
드론 조종기는 직관적으로 조작이 가능하므로 직접 체험해보면 금방 익힐 수 있습니다.
[종이드론] 더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