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진행중) 소형 폐이차전지 재활용 순환단계별 물질흐름조사, 국립환경과학원
(2025~, 진행중) 1회용 빨대 종합 실태조사, 환경부
(2023~, 진행중) 목재자원의 자원화 공정 특성 및 순환 공급망 구축 연구, 한국임업진흥원
(2023~, 진행중) Korea-Philippines: Capacity building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an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EPR) system on plastic packaging waste in the Philippines, World Bank
(2024~2025) K-순환경제를 위한 포장재 자원순환 발전 로드맵 마련 연구, 한국포장재재활용 사업공제조합
(2024) 디지털 제품 여권 글로벌 동향 연구, 환경부
(2024) 국내 일회용 플라스틱 컵의 소비 발자국 산정과 전과정평가 연구, COSMO
(2024) 국내 폐전자제품 회수체계 참여 활성화 방안 마련 연구, 환경부/e순환거버넌스
(2024) 해외 선진국의 유해폐기물 관리제도 비교 연구, 환경부
(2023~2024) 플라스틱 재활용지정사업자 제도개선 연구, 환경부
(2023) 일회용 물티슈 최적 관리방안 마련 연구, 환경부
(2022~2023) 품목별 재활용제도 개선방안 연구, 환경부
(2022) 스톡홀름협약 이행 국가보고서 등 마련 연구, 환경부
(2022) 플라스틱 대한민국 2.0 연구보고서 발간, 그린피스
(2022) 제주도내 관광분야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조사와 자원순환 프로그램 개발, 제주관광공사
(2022) 국내외 물질순환 기술 R&D 현황 및 전략 연구, 국회미래연구원
(2021~2022)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 촉진 방안 연구, 환경부
(2021~2022) In-depth Study on 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EPR) and Sustainable Plastic Waste Management in Korea and Assessment for the Philippines, World Bank
(2019~2022) 침적 노면 퇴적입자의 다환방향족 탄화수소의 거동, 분포 및 확률론적 위해성 평가, 한국연구재단
(2019) 생산자 부담 강화를 위한 생산자 재활용 책임 확대 연구, 환경부
(2018) 자원순환 로드맵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17) 브롬화난연제 물질흐름도 작성 및 함유제품 관리체계 구축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2017) 제주 자원순환사회 로드맵 작성 수립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국가 수은 회수 관리 체계 구축 사업, 환경부
(2016) 대전광역시 생활폐기물 재활용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량 산정 연구, 대전녹색환경지원센터
(2016) 전기·전자제품 등 폐기물 재활용 유형 분석을 통한 폐기물처리시설 세부분류방법 마련 연구, 환경부
(2016) 산업용 신규 POPs 물질 전과정 관리를 위한 제도 개선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자원순환사회 전환을 위한 부담금 운영방안 마련 연구(II), 환경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