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리길도 한걸음부터 A journey of a thousand miles begins with a single step
산꼭데기까지 가는 길을 드론으로 다 촬영한 다음에 이를 보여주고, ‘자, 이제 가자!’하면 겁이나서 못갑니다.
너무나도 아득하고 멀게 느껴지기 때문이죠.
하지만, 그냥 눈앞에 발앞에 한걸음만 집중해서 가다보면 어느샌가 정상에 도착하게 됩니다.
성실한 하루 하루가 쌓여서 푸르른 하늘을 가득 만끽하는 날이 옵니다.
박사과정 중에 팀미팅 발표하면서, 인용했던 구절이 떠오르네요.
"갈길이 멀다. 그래서 기대가 된다".
If you film the entire path to the mountain peak with a drone and show it to someone, then say, “Now, let’s go!”—they might feel too intimidated to start. It just seems so distant and overwhelming. However, if you simply focus on taking one step at a time, right in front of you, before you know it, you’ll find yourself at the top of the mountain. Each sincere day builds up, and eventually, you’ll have a day when you can fully enjoy the vast blue sky.
This reminds me of a phrase I quoted during a team meeting when I was a PhD student:
“The road ahead is long. That’s why I’m excited.”
과학을 하는 삶이란,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통해,
본인만의 연구 세계를 구축할 수 있고,
끊임 없이 성장하는 자기개발과 함께,
후학을 양성하여 각자의 꿈을 찾는데 기여하고,
돈도 벌수 있기 때문에,
가치있는 직종이라 생각됩니다.
A life in science means
building your own world of research through work you are passionate about.
It allows for continuous self-development and growth,
while also nurturing future generations and
helping them find their own dreams.
Because it is a profession where you can earn a living,
I believe it is a truly valuable career.
KAIST 총장 인터뷰 시 교육철학에 대한 질의를 받았습니다. 처음엔 조금 횡설수설했습니다. 이내 ‘그릇’ 키워드가 떠올랐습니다. “사람은 다 각기 다른 모양의 그릇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학생은 네모난 모양, 어떤 학생은 세모난 모양, 별 모양 학생도 있습니다. 그런데 자기가 어떤 모양인지 잘 모릅니다. 다른 사람과 부딪혀봐야 압니다. 저는 지도교수가 학생들이 본인의 장단점을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우리 사회가 딱 그 그릇이 필요할 때 바로 쓰임받을 수 있도록 깨끗하게 준비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싶습니다”. 성경에 질그릇 관련 말씀이 있어서 연관지어 설명이 가능했습니다.)
During my interview for the KAIST presidency, I was asked about my educational philosophy. At first, my answer was a bit unorganized, but soon the keyword “bowl” came to mind. “I believe that each person is like a bowl of a different shape. Some students may be square, some triangular, and others may be shaped like stars. However, most people do not know what shape their bowl is. It is only through interacting and sometimes clashing with others that they come to understand themselves. I think the role of an academic advisor is to help students discover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and to understand the unique shape of their bowl. Furthermore, I want to help prepare students so that, when society needs a bowl of their particular shape, they are ready and able to serve that purpose.” There is a passage in the Bible about earthen vessel, so it was possible to explain it in relation to it.
인생을 물흐르듯이 살라는 충고를 여러번 들었지만, 아무것도 하지않으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물위에 둥둥 떠다니는 튜브에 누어 유유자적 시간을 즐기면 아주 편안하겠지만, 편안한 상태에서는 새로운 무언가를 창조해 낼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끊임없이 '왜 그렇지? 왜 그래야만 하지?'라고 되뇌이면, 쉽게 대답할 수 없는 문제들이 많습니다.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답해보는 과정에서 그동안 사람들이 발견하지 못했던 것을 발견하고, 새로운 과학을 할 수 있습니다. 개연성이 높은 경험적 증거가 모든 상황에서 항상 맞는 것은 아닙니다. 특수 상대성 이론이 일반 상태성 이론을 포함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이미 출판된 연구결과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면서, 과거 밝혀진 내용을 맹신하지 말고 새로이 도전하는 연구를 추구합니다. 그렇게 만들어진 이야기들이 쌓여 새로운 기후과학의 지평을 열고 싶습니다.
I have often been advised to live life like flowing water, but I’ve come to realize that if you do nothing, nothing will happen. It may be comforting to lie back on a tube and drift leisurely on the water, but I’ve learned that nothing new can be created in such comfort. By constantly asking “Why is that?” or “Why must it be that way?”, we encounter many questions that have no easy answers. It is through this process of critical inquiry and exploration that we can uncover what others have not, and make new contributions to science. Empirical evidence, no matter how convincing, is not always correct in every context. Much like how special relativity is ultimately encompassed by general relativity, existing knowledge must be critically examined. I aim to pursue research that challenges convention and does not accept established findings blindly. By building stories born from such questioning and discovery, I hope to open new horizons in climate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