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성 나노 바이오 소재 연구실은 나노 소재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이해하고 이들과 생체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연구함으로써 목적에 최적화되었으며 생체 친화적인 나노 바이오 소재의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4차 산업 혁명은 IT기술과 바이오기술, 기계기술이 결합한 융복합 기술이 혁신을 만들어내는 혁명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 중 나노 바이오 융합 산업은 4차 산업 혁명의 핵심 기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이 효과적으로 개발되기 위하여는 나노 소재 자체의 효과적인 제어 뿐 아니라 주변 환경과의 능동적인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본 연구실에서는 화학, 물리, 생물, 재료, 나노소재, 의료, 코스메틱 등 다양한 학문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함께 이들간의 유기적인 연관성을 바탕으로 실산업에 적용될 수 있는 최첨단 나노 바이오 융합 소재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것입니다.
기능성 나노 바이오 소재는 의료, 센서, 코스메틱, 에너지,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는 최첨단 융합소재입니다.
이들의 물리 화학 생물학적 특성은 크기, 형태, 조성, 표면, 전하, 등 다양한 성질에 의해 변화되는데 이들간의 연관관계를 이해하고 분자 단위에서 제어함으로써 목적에 최적화된 나노 바이오 융합 소재의 개발이 가능합니다.
나노 바이오 융합 소재 개발에 있어서 중요한 고려요인 중 하나는 나노 바이오 인터페이스에서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입니다.
나노 시스템의 물리 화학적인 성질 (크기, 형태, 친수/소수성, 전하 등)에 따른 생체 시스템의 안전도에 변화에 대한 연구가 기초됨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생체 친화적인 나노 바이오 소재의 개발이 가능합니다. 나아가 외부자극이나 생체 환경에 따라 니노 바이오 소재의 물리 화학적 성질이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생체 환경이 하나의 자극 인자가 되어 네비게이팅, 커뮤니케이션, 액션할 수 있는 4차 산업 혁명에서 요구되는 첨단 융합 소재의 개발이 가능합니다.
나노 바이오 인터페이스에서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와 나노 소재의 효과적 제어는 최적화된 응용효과를 가지는 나노 바이오 융합 시스템의 개발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가깝게는 코스메틱, 센서 등의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실생활에 바로 응용이 가능한 나노 바이오 소재를 개발하고 나아가 복잡한 생체 시스템에서도 작용하여 치료, 검침, 진단 등의 의료 분야에서 난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나노 바이오 융합 소재를 개발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