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빛나·김미연·오치옥. (2023). 매체 기반 문화예술관람에서의 감정적 관여가 문화적 자기효능감, 주관적 행복감, 지속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3(3), 533-544. pdf
김남희·오치옥·안소은.(2023).선택실험법을 적용한 습지보호지역의 문화서비스 가치 추정.환경정책,31(2),1-31. pdf
오치옥·한주형(2022). 낚시동기와 자원소비성향에 관한 한국·미국 간 비교 연구 수산경영론집, 53(3), 27-41.pdf
김미주·오치옥·남정호·홍종호(2022). 다이버를 대상으로 한 연산호 서식 해양보호구역 다이빙 관리제도의 지불의사액 분석. Ocean and Polar Research, 44(3), 235-247.pdf
박주영·김미연·오치옥(2022). 코로나19가 문화예술과 생활체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문화예술활동조사와 생활체육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융합과학회지, 11(6), 71-93.pdf
김지수·김남희·오치옥(2022).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고래자원 보전의 대안으로서 고래관광 가치 연구. 수산경영론집, 53(2), 42-57.pdf
김남희·이상권·오치옥(2022). 코로나19 위험지각 및 스트레스와 갯벌의 지각된 회복환경의 관계 연구. 관광학연구, 46(3), 183-201.pdf
오치옥·남정호·한주형(2022). 해상풍력발전단지 설치에 대한 일반국민의 수용성, 지지도, 문화서비스 혜택에 관한 연구. 한국융합과학회지, 11(3), 178-197.pdf
김병석·김미연·오치옥(2022). 관광객의 축제체험과 지역브랜드인지도, 지역애호도와 농산물 구매의도의 구조적 관계: 함평 나비축제 및 국화축제 참여자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4(3), 5-26.pdf
김남희·이광남·오치옥(2021). 낚시이용권제에 대한 낚시인의 지지 및 선호 연구. 환경정책, 29(4), 1-26.pdf
한주형·최윤의·김미주·오치옥(2021). AHP를 활용한 해양생태관광지 평가지표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해수욕장과 갯벌을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33(5), 5-24. pdf
안소은·오치옥·윤태경(2021). 우리나라 국민의 환경인식, 환경태도, 환경실천 현황 및 구조적 관계성 분석: 국민환경의식 조사를 중심으로. 환경정책, 29(1), 47-75. pdf
김남희·오치옥·김현노(2021). 신환경패러다임과 환경태도가 미세먼지 정책기여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 환경정책, 29(1), 211-235. pdf
김미주·오치옥·김남희·주우영(2020). 습지보호지역 생태계서비스지분제 도입에 대한 수혜자의 편익 추정. 환경정책, 28(3), 19-39. pdf
김남희·최성록·오치옥(2020). 선택실험법을 이용한 새만금호 해수유통 정책 선호 연구. 환경정책, 28(3), 87-111. pdf
한주형·최윤의·김미주·오치옥(2020). 해양생태관광지로서 해수욕장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32(3), 91-113. pdf
주여운·오치옥(2020). 여행사 마일리지 프로그램의 속성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진흥연구, 8(1), 267-288. pdf
김남희·최윤의·오치옥. (2019). 야외 여가활동에서의 지속적 참여의도와 여가 제약과 협상, 협상효능감, 여가정체성의 순환 관계 검증: 자전거 라이딩 참여자를 대상으로. 여가학연구, 17(4), 57-76. pdf
오치옥·남정호·한주형. (2019). 낚시참여자의 레크리에이션전문화가 자원소비성향에 미치는 영향. 수산경영론집, 50(3), 43-57. pdf
서리나·오치옥. (2019). 기혼 노동자의 여가생활에서 주관적 시간 웰빙 유형연구. 여가학연구, 17(4), 83-107. pdf
오치옥·정해영·주우영. (2019). 생태계서비스지불제 도입을 위한 국립공원 사찰림 생태계 서비스 가치 추정 연구. 환경정책, 27(1), 217-241. pdf
김남희·오치옥. (2018). 여가전문화, 여가정체성, 협상효능감이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전거 라이딩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42(1), 39-51. pdf
정성문·주여운·오치옥. (2017). 축제의 속성으로 본 광주비엔날레 분석 –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29, 125-151. pdf
장안성·오치옥. (2017). 낚시면허제 지지 영향 요인분석 – 확장된 계획 행동이론을 중심으로. 수산경영론집, 48(2), 67-82. pdf
정윤희·오치옥. (2017). 관광지 선택속성과 지각된 가치, 관광태도와의 관계 연구 – 전주한옥마을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32(3), 57-80, 2017. pdf
서리나, 오치옥. (2016). 일을 할 것인가, 여가를 즐길 것인가 -30대~50대 기혼자의 향후 일-여가 시간투자 의향의 영향요인 분석. 관광학연구, 40, 63-82. pdf
이경선·장안성·오치옥·강신겸. (2016).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에 따른 참여동기, 환경친화적 태도 및 행동의도의 이해: 금오도 비렁길 트레킹 관광객을 사례로. 관광연구논총, 28(2), 101-122. pdf
유지웅·하혜지·오치옥. (2016). 축제이해관계자 집단의 TBL인식, 지지도, 관여도 차이비교 – 광주광역시 중장축제를 중심으로. 지역과문화, 3(3), 1-23. pdf
이영란·김형곤·오치옥. (2013). 캠핑전문화 수준에 따른 제약요인인식과 제약협상전략의 차이. 관광학연구, 37(2), 212-232. pdf
류성옥·오치옥·이훈. (2012). 장애인의 관광활동 제약 협상과정. 관광학연구, 36(1), 287-305. pdf
류성옥·오치옥. (2008). 레크리에이션 전문화와 장소 애착의 관계. 관광연구논총, 20(2), 3-22.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