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멘트]
지난해 우리나라의 평균 초혼 연령이 남자 31.6세, 여자는 28.7세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요, 결혼이 늦어지는 만큼 임신과 출산도 자연스럽게 늦어지고 있죠.
여성들의 경우 고령 임신과 노산에 대한 걱정 많으실텐데요, '건강하게 삽시다' 오늘은 임신부의 나이나 체중 등 신체 상태가 태아와 산모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봅니다.
류현미 산부인과 전문의 나와 있습니다.
[질문1]
먼저, 최근 임신과 출산에 관한 현황을 볼 수 있는 '산모 인덱스'가 나왔다고 하는데요, 고령 임신 얼마나 늘었습니까?
[질문2]
고령 임신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임신 합병증에는 어떤 게 있습니까?
[질문3]
임신성 당뇨병은 어떤 증상을 나타내고, 치료는 어떻게 이뤄지는지요?
[질문4]
임신성 당뇨같은 임신 합병증이 올 경우 조산의 위험성도 커진다고요?
[질문5]
임신 전 비만일 경우에는 임신성 당뇨에 걸릴 위험이 더 크다고요?
[질문6]
임신 기간 중 체중 관리도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체중이 얼마나 불어야 정상이고, 또 지나치게 체중이 늘 경우 어떤 문제가 일어날 수 있는지요?
[질문7]
임신 중에는 면역 기능이 변화하면서 갑상선 질환을 겪을 위험성도 크다고요?
[질문8]
최근에는 인공수정으로 아기를 갖는 부부도 크게 늘면서 쌍둥이를 임신하는 경우도 많고요.
쌍둥이 임신시 특히 주의해야 할 점은 어떤 게 있을까요?
[질문9]
여성흡연율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는 통계가 있는데요, 임신 전이나 임신 중 흡연이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성은 어느 정도인지요?
[질문10]
마지막으로 고령 산모가 건강하게 출산하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운동이나 생활 수칙이 있다면 소개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