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해 해저지형은 해안지형의 침퇴적, 해안선 후퇴, 구조물 설계, 재난 대응 등 해안관리에 있어 핵심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다양한 다양한 해안프로세스 해석을 위해서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기존의 측량 방식은 선박이나 장비를 이용해 직접 접근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고, 구조물 인근, 얕은 수역 등의 공간적으로 계측이 제한적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해안공학 연구실에서는 드론 영상을 통하여 근해의 해저지형을 계측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드론으로 취득한 파랑장 영상으로부터 파랑 매개변수를 원격으로 계측하고, 파랑-지형 상관관계에 대한 이론적 해석으로 해저지형을 추정합니다. 이러한 물리 기반 원격 계측 방식은 강건하고 효율적인 해저지형 계측 솔루션을 제공하여 해안프로세스 해석에 높은 활용성이 기대됩니다.
Further Information (Author Information, Open-access Data, Algorithms)
파랑 모드 추출을 위한 EEMD 기법과 파랑 매개변수 계측을 위한 PIV 기법을 활용한 수심역산법 개발
Kim, B., Noh, H., Park, Y. S., & Lee, M. (2023). Non-spectral linear depth inversion using drone-acquired wave field imagery. Applied Ocean Research, 138(June), 103625. https://doi.org/10.1016/j.apor.2023.103625
조사 윈도우 최적화를 통한 수심역산법의 정확도 증대
Kim, B., Park, Y. S., Noh, H., Lee, M., & Kim, B. (2025). Improving accuracy of image-based depth inversion with an adaptive window optimization. Coastal Engineering Journal, 00(00), 1–13. https://doi.org/10.1080/21664250.2025.2469957
수심역산법과 사진측량 기법을 연계한 육역 및 해역 통합 지형자료 구축
Noh, H., Kim, B., Lee, M., Park, Y. S., Bang, K. Y., & Yoo, H. (2023). Survey of coastal topography using images from a single UAV. J. Korea Water Resour. Assoc., 56(S-1), 1027–1036. https://doi.org/10.3741/JKWRA.2023.56.S-1.1027
효율적인 반복적 드론 측량을 위한 고정 구조물 지상기준점을 활용 방안 연구
Noh, H., Kim, B., Park, Y. S., & Lee, M. (2025). Enhancing Efficiency while Maintaining Accuracy in Repeated Coastal Drone Monitoring through the Use of Fixed Structures as Ground Control Points. 8192(1), 1–14, https://doi.org/10.9765/KSCOE.2025.37.1.1.
드론과 컴퓨터 비전 기술을 활용한 쇄파대 지형 및 파랑장 재구축
수자원, 수생태계, 친수공간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 하천 관리를 위해서는 하천 변화 프로세스 이해가 중요합니다. 특히, 다양한 수리수문 조건에 따라 이동하는 유사이동에 의한 하상변동 그리고 유기물, 영양염류, 오염물 등의 이송에 의한 수질 및 하상 퇴적물 오염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혼합 및 유사이송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우리 연구실에서는 하천 혼합 및 유사이송에 대한 수리학적 현상 이해를 위해 현장조사, 실험, 수치해석에 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주요 하천(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에서 다종 센서를 활용한 유속, 부유사농도, 수질, 지형 계측을 통해 실제 하천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을 이해하고, 그 특성에 대한 시공간적 상세 메커니즘 분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하천 유사이송 분석을 위한 마찰계수 및 바닥전단력 분석 – 하상분석을 통한 형상조도계수 산정 및 바닥전단력 분석
Lee, M., Park, Y. S., Lee, M., Song, Y. S., & Park, C. (2024). Estimation of friction factor and bed shear stress considering bedform effect in rivers.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49(13), 4154-4167. https://doi.org/10.1002/esp.5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