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미아 발생은 점점 늘고 있으며 이는 해결해야 할 사회적 문제로 거론됨
넓은 규모와 많은 인파가 있는 공간에서 미아가 주로 발생하기에 이러한 장소에서의 예방과 해결을 위한 방법이 연구하고자 함
기존의 미아 방지 시스템은 실내에서 GPS의 낮은 정확도, 미아가 발생하는 정확한 위치 파악 불가라는 한계점을 개선하고자 함
이를 위해 무선 신호 정보, 모바일 디바이스, 머신러닝을 활용하여 실내 위치를 측위하고자 함
높은 정확도의 실내 위치 측위를 위해 고수준의 데이터 전처리, 다양한 머신러닝 기법을 연구
이를 기반으로 위험 지역 진입, 안전 지역 이탈 아동을 예방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을 연구 및 개발
코로나 19 이후 실제 대화 하는 것보다 SNS, 인스타그램 같은 디지털 공간에서 사람들의 교류가 증가하게 됨
현실과 동일한 안동대학교 공간을 복제하여, 가상과 현실 공간에서 사람들과의 교류를 지원하기 위해 제작
현실 공간의 정보를 수치화 된 가상 데이터로 변환하고 제작하여 다른 메타버스와 달리 실제 공간 비율과 같은 가상공간
2차원과 3차원 공간 구현API를 제공하는 유니티(Unity)를 사용하여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
향후 가상 공간과 현실 공간의 정보를 상호작용 및 실시간으로 구현하여 디지털 트윈 기술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함
복지사가 그룹단위로 활동 범위와 위험 지역 범위를 설정하여 노인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어플리케이션 - OS : Android 10 ~ 14 / 언어: kotlin / IDE: android Studio JellyFish ver. 23.3
서버 - OS : Ubuntu 22.04 / 언어: Java 17 / 프레임워크: Java Spring Boot ver. 3.2.3 DB: PostgreSQL ver. 16.1
배포 - Docker ver. 2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