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우리 연구실에서 수행한 교량 프로젝트

 (Long span bridge projects in our lab)

우리 연구실에서 풍동실험을 통하여 이순신대교 (가칭 광양대교) 트윈박스 단면 형상을 설계함.

Full aeroelastic model test of Yi Sun-sin Bridge, tentatively named Kwangyang Bridge. Main span length of 1545m.

우리 연구실에서 풍동실험을 통하여  천사대교(가칭 새천년대교)의 삼각형 단면 형상을 설계함.

Full aeroelastic model test of Cheonsa Bridge, tentatively named Saechonyon Bridge. Three tower suspension bridge with main span length of 650m+650m.

EBS 방송에서 초장대교량의 내풍설계에 대하여 설명.

Super long span bridges (media outlet at EBS).

YTN 방송에서 2014년 10월에 발생한 이순신대교 와류진동에 대하여 설명.

Vortex-induced vibration of Yi Sun-sin Bridge (media outlet at YTN)


주요 연구 주제 (Main research topics)

1. Electric transmission towers subjected to wind loads

2. Cable suspended structures subjected to wind loads

3. Fragility assessment for structures subjected to wind borne debris 

4. Extreme wind risk assessment of structures 

5. Energy harvesting from wind and bridge vibrations 

6. Wind energy and wind turbines

7. Floating solar farm structures subjected to wind and wave loads

8. Wind induced vibrations of high-rise structures

바람에 의한 구조 안정성 (Wind-induced aerodynamic stability)

본 연구실의 주 연구 주제는 태풍과 같은 강풍에 의하여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문제이다. 강풍에 의한 교량, 타워, 빌딩 등과 같은 각종 구조물의 내풍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구한다. 송전탑, 풍력발전기, 태양광 발전시설 등과 같은 에너지 시설물의 내풍안정성에 대한 연구도 하고 있다. 아울러 바람에 대한 드론 및 UAM의 비행 안정성, 비산물의 확산, 보행자의 편의성 등과 같은 연구도 진행중이다.

Our group's primary research topic is the wind-induced problems caused by strong natural winds, including ways to improve the wind resistance of various structures like bridges, towers, and buildings. We are also investigating the aerodynamic stability of energy systems like electric transmission towers, wind turbines, and solar farms. In addition, we are studying wind debris, the flight stability of drones and UAM, and pedestrian behavior in windy conditions.

풍력에너지 및 에너지 수확 (Wind energy and energy harvesting)

본 연구실에서는 확률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특정 지역의 풍력 에너지를 추정한 연구와 수직축 풍력 발전기의 후류 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했다. 그리고 교량에 풍력 발전기를 부착함으로써 교량에 작용하는 풍하중을 줄이면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중이다. 아울러 압전 소자를 사용하여 구조물의 진동이나 바람으로부터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도 진행중이다.

Our group has developed a probabilistic approach to assess wind energy potential at specific sites, as well as a wake model for vertical axis wind turbines. We are currently studying electric power generation from small wind turbines attached to bridge girders for the dual purpose of improving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flexible bridges and harvesting wind energy. We are also researching piezoelectric and electromagnetic energy harvesting from structural vibrations and ambient natural wind.

바람 비산물에 의한 구조물의 충격 (Impact of wind borne debris on structures)

We are developing a numerical model to predict the flight initiation wind speed and flight distance of wind-borne debris, which can cause serious damage to pedestrians and nearby buildings when separated from buildings or facilities. This study aims to create a model for estimating the damage to cities during typhoon passage.

교량 진동 (Bridge dynamics)

장대 케이블 교량을 정확히 해석하고 그 동적 거동을 예측하기 위한 해석적 및 수치적 방법을 연구한다. 현재 연구중인 주제로는 현수교의 캣워크 구조 시스템 해석 및 케이블 진동이 있다.

Our group studies analytical and numerical methods for accurately analyzing the dynamic behavior of long-span cable bridges. Currently, we are investigating catwalk structures for suspension bridges and cable vibrations.

진동제어 (Vibration controls)

본 연구실에서는 구조물의 과도한 진동을 줄이기 위한 능동 및 수동 진동제어장치를 개발하고 있다. 이러한 진동제어 장치로는 전통적인 TMD, 금속 댐퍼, 체인 댐터 뿐만 아니라 교량 주위의 기류를 바꿈으로써 진동을 줄여주는 공기역학적 장치를 포함한다.

We develop passive and active vibration control systems to suppress excessive structural vibrations, including conventional tuned mass dampers, metal dampers, chain dampers, and aerodynamic dampers that alter airflow near structures.

이동하중 및 자기부상열차 (Moving loads and maglev vehicles)

자기부상열차는 바퀴식 기차에 비하여 탈선 위험 감소, 승차감 향상, 소음 감소, 교량구조물 유리관리 필요 감소, 전력 절약 등의 장점이 있다. 본 연구실에서는 능동제어되는 자기부상열차와 교량의 동적 상호작용을 해석하기 위한 수단을 개발하고, 이를 사용하여 교량의 설계에 반영한다. (성균관대와 공동연구)

Our group is developing a framework for dynamic interaction analysis between an actively controlled magnetic levitation vehicle and a flexible guideway structure. The maglev system offers many advantages over the conventional wheel-rail system, including reduced risk of derailment, increased riding comfort, reduced noise, reduced need for maintenance of the guideway, and energy savings. (This is a co-research project with Sungkyunkwa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