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drogels play a crucial role in tissue engineering and regenerative medicine due to their ability to mimic various cellular microenvironment signals. These gels can be customized to imitate adhesion and degradation sites, possess controlled mechanical properties (modulus and viscoelasticity), and replicate structural elements. Our research is dedicated to crafting and exploring functional natural/synthetic polymeric hydrogel systems with stimulus-responsive properties. Our aim is to unravel the intricacies of cell-matrix interactions by scrutinizing how distinct traits of hydrogels impact 3D cell cultures.
수화젤은 조직 내 세포외기질(extracellular matrix)와 유사한 물리/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조직공학 및 재생의학분야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다양한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수화젤의 물리적(강도 및 점탄성) 및 생물학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의 연구는, 기능성 천연/합성고분자 수화젤 시스템을 이용하여 재생의학 분야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수화젤 시스템을 디자인하는 것입니다. 궁극적으로 3차원적 세포배양을 통해 수화젤의 특성이 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세포-기질 간의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것입니다.
Biofabrication, an interdisciplinary field merging engineering, biology, and material science, offers immense potential across various biotechnological disciplines. It encompasses the automated generation of biologically functional products from living cells, bioactive molecules, and biomaterials through various fabrication techniques such as bioprinting, self-assembly. This definition emphasizes the creation of scaffolds with intricate structural or smart-surface properties as functional biological substitutes. Our focus centers on leveraging 3D printing(extrusion and DLP) to create systems that closely mimic complex tissues and organs for patient specific disease modelling. Concurrently, we're dedicated to formulating functional bioinks and their additives by integrating various fabrication methods.
생물공학은 공학, 생물학, 재료과학을 융합한 기술로 최근 생명공학 분야에서 빠르게 발전해나가고 있습니다. 바이오프린팅, 자가조립 등의 다양한 제조기술을 통해 살아있는 세포, 생리활성 물질 및 생체재료를 이용하여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기능적으로 우수한 생물학적 대체물질을 구현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여러가지 3D 프린팅 기술(압출방식, DLP)을 활용하여 환자 맞춤형 질병 모델링을 위한 복잡한 조직을 모방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동시에 여러 기술을 통합하여 기능성 바이오잉크와 그 첨가제(나노섬유, 나노입자)를 제조하는 데 전념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