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비만 기능성 제품의 시장 증대에 따라 고기능성 제품 개발 및 빠른 제품 출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 그룹에서는 항비만 기능성 제품들을 대상으로 비만 바이오 마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방세포 분화 과정의 핵심 전사 인자 활성 동역학 을 측정하여 항비만 기능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 최근 정부가 기능성 화장품 확대에 나서면서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화장품 소재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요소는 화장품기능성을 신속하면서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의 확보이다. 이러한 평가 기술은 화장품 소재의 임상 시험 단계 이전에 여러 후보 물질들을 스크리닝 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 그룹에서는 대표적인 화장품 기능성인 미백과 항염증 효과를 신속하면서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자 한다.
- 차세대 감미료의 항비만 기능성 연구, 2018 여대학(원)생 공학연구팀제 지원사업,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2018.04~2018. 10)
- 화장품 신소재 의 미백 기능성 연구, 2018 여대학(원)생 공학연구팀제 지원사업,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 (2018.04~2018. 10)
- 화장품 소재의 미백 및 항염증 기능성 평가 기술 개발, 수원대학교 (2018.01-2018.12)
- 지방 세포 분화 전사 인자 네트워크 동역학에 기반한 항비만 기능성 평가, 한국연구재단 (2017.03~2020.02)
- 천연 또는 합성 유래의 미백 기능성 신소재 개발, 수원대학교 (2017.01-2017.12)
- Prof. 노호식 (수원대학교, 화학공학과)
- Prof. Arul Jayaraman (Texas A&M University, Chemical Engine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