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해는 기계공학의 기초를 다지는 시기로, 수학과 물리학을 깊이 있게 공부하여 공학적 사고력을 키운다. 미적분, 선형대수, 공업수학을 학습하여 수리적 분석 능력을 배양하고, 역학(정역학, 동역학), 열역학, 전자기학, 유체역학 등을 통해 기계 시스템을 이해하는 기초를 닦는다.
전공 필수 과목으로는 재료역학, 기계요소설계, 제조공학, 공학재료 등을 학습하여 기계 부품 및 재료의 특성을 이해한다. 또한, MATLAB과 Python을 활용한 공학 계산 및 데이터 분석 능력을 키우고, 실험실 실습을 통해 이론과 실무를 연결하는 경험을 쌓는다.
이와 함께, 기계 설계 소프트웨어(SolidWorks, AutoCAD)를 익히고 기본적인 CAD 모델링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습을 병행한다. 학업뿐만 아니라 전공 관련 독서를 통해 기계공학의 응용 분야와 최신 연구 동향을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둘째 해에는 실무 능력 향상과 프로젝트 수행을 중심으로 학습을 진행한다. 기초 학습을 바탕으로, 유한요소해석(FEA)을 위한 CAE 소프트웨어(ANSYS, Abaqus) 활용, 열 및 유체 해석, 구조 해석 등을 학습하여 실제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른다.
또한, 기계공학의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여 로봇공학, 메카트로닉스, 제어공학, 인공지능(AI) 응용,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제조 기술 등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기계공학과 다른 분야의 융합을 이해하고, 4차 산업혁명에 적합한 기술을 익힌다.
이론과 실습뿐만 아니라, 직접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실무 역량을 키운다. 예를 들어, 3D 프린팅을 활용한 제품 설계, 열 및 유체 해석을 적용한 설비 개선, 로봇 시스템 설계 등과 같은 과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팀 프로젝트나 공모전에 참가하여 협업 능력과 실전 경험을 쌓는다.
2년 차 후반에는 인턴십, 연구 프로젝트 또는 현장 실습을 통해 실제 산업 환경에서 기계공학을 적용하는 경험을 쌓는다. 공학 관련 학술 대회나 연구 논문 발표를 통해 문제 해결 능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배양하며, 취업 또는 대학원 진학을 위한 포트폴리오를 준비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기초 지식과 실무 역량을 균형 있게 갖추고, 최신 기술을 습득하여 기계공학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학습을 이어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