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무모한 도전으로 창업을 하며 많은 배움을 얻은 후 나의 전문성과 가치를 올리겠다 라는 꿈과 함께 들어온 아트앤테크놀러지 학과를 22년도 졸업하였습니다. 그 후 자대에서 인공지능학 석사를 거쳐 현재는 LG AI Research 의 LLM인 EXAONE을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학부 시절의 이야기, 대학원 시절의 이야기, 회사 이야기 ,, AI의 미래등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습니다
아트앤테크놀로지와 컴퓨터공학을 복수전공하고 한화시스템 데이터링크팀에서 임베디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있는 김건형입니다. 잘하는게 무엇인지, 좋아하는게 무엇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지식융합미디어학부를 2019 정시 입학했습니다. 아트엔테크놀로지에 입과해 다양한 경험으로 개발자를 목표로 컴퓨터공학과를 복수 전공 했습니다. '평범'한 사람의 자신의 길을 찾기 위해 아텍에서 노력한 모습을 통해, 조금이나마 진로 결정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초등학교 때부터 코딩을 했고, 20살부터는 다양한 도메인에서 앱개발, 백엔드, 모델서빙 등 다양한 직무로 일을 하며 경험을 쌓았습니다. 졸업 이후에는 카카오 추천팀에서 개발자, LLM 스타트업 업스테이지에서 테크 리드를 거쳐 AI 어플리케이션 스타트업에서 새로운 시작을 도모하려고 합니다.
인사관리 플랫폼 flex에 재직중이고, 곧 토스에서 프론트엔드 제품을 만들게 될 예정입니다. 재학 시절 처음부터 개발자가 될 생각은 전혀 없었고 내가 뭘 좋아하는지도 몰랐는데, 어쩌다보니 즐겁게 업으로 삼고 있습니다. 관련 직무 또는 스타트업에 대한 관심과 커리어 고민이 있으신 분들께 도움될 만한 이야기들을 많이 들려드릴게요.
아트앤테크놀로지와 융합소프트웨어를 복수 전공하고 네이버 광고 플랫폼 조직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4년동안 일반적인 광고 플랫폼 개발 부터 버티컬 쇼핑 서비스 개발까지 얕고 넓은 프로젝트 경험을 하게되었습니다. 대기업 개발자로서 요구되는 역량을 중심으로 제가 학생때부터 했던 고민들부터 같이 공유하면서 이야기나누면 좋을것 같습니다!
글로벌 IT 벤더사 (AWS, IBM, SAP) 에서 IT Software Sales 직무로일하고 있습니다. 외국계, IT, Sales 라는 키워드에 호기심을 느낀다면 도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트앤테크놀로지와 융합소프트웨어를 복수 전공하고 SK텔레콤의 AI 조직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지난 5년간 AI 서비스 기획팀에서 다양한 AI 서비스를 기획하고 개발했으며, 현재는 글로벌 AI 전략 제휴팀에서 글로벌 파트너십 추진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과 사람들의 니즈를 융합해 실제 서비스를 개발하는 과정을 좋아하며, 현재는 조직의 비전에 맞춘 전략과 실행 계획을 수립할 줄 아는 PM이 되고자 전략제휴 업무를 수행중입니다.
아트앤테크놀로지, 경영학과를 복수 전공하고 SK 텔레콤의 AI 서비스 기획자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재학 중에는 SK 브로드밴드, 네이버 클라우드에서 서비스 기획 인턴을 경험했습니다. 서비스 기획 직무로 취업을 준비하면서 개인적으로는 고민이 많았는데요, 비슷한 고민을 하고 계시는 분들이 있다면 같이 얘기 나눠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아트앤테크놀로지, 심리학, 화학 3전공 졸업 후, 스마일게이트 퓨처랩에서 창의&예술 교육 기획 직무로 일하고 있습니다. 스마일게이트, 게임업계에 관심이 있으시거나 교육 기획, 예술가 협업, CSV 등 관련 직무에 관심이 있는 분들께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최근에는 청소년 대상 창작 어플리케이션 컨텐츠 개발 PM을 맡고 있습니다.
아텍 단일 전공으로 23년 졸업 후, 현대자동차 커뮤니케이션센터(홍보실)에서 기술PR 직무로 일하고 있습니다. 입사 전에는 주로 영상 제작 프리랜서로 활동하며 영상 촬영 및 편집 실무, XR과 ICVFX 등 첨단 미디어 솔루션에 관심을 갖고 (일부) 연구했습니다. 회사에서는 다양한 선행 양산 기술들을 주제로 한 언론 홍보 기획(보도자료 등), 미디어 이벤트 개최, 글로벌 대상 캠페인 기획 및 실행 등의 업무를 맡아 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삼성전자 R&D Future Design Innovation 팀에서 로봇 인터랙션 디자인을 하고 있는 최윤서 입니다. 휴머노이드, 웨어러블 , 배송, 제조 로봇 등 다양한 유형의 로봇을 다루며 로봇과 사람이 조화롭게 어우러질 수 있는 인터랙션을 연구합니다. 로봇을 사용하는 다양한 상황과 유저 기반의 Scene을 정의하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Motion, Voice, Graphic, Sound, 제품 디자인, 동선 등의 인터랙션을 분석하고, 정의합니다. 이전에는 Voice Assistant , 챗봇 등 대화형 AI 인터랙션 연구를 했었고, 메타버스 플랫폼을 기획하고 베타 오픈한 경험이 있어요. 앞으로 10년을 내다보는 미래기술에 관심 있는 분은 편하게 얘기 나눠요!
세일즈포스에서 기업용 No-Code/Low-Code 자동화 툴 서비스를 만드는 6년차 프로덕트 디자이너 권새봄입니다. Art & Technology학과에서 UX 분야를 발견하고 미국 미시건으로 유학 후 캘리포니아로 건너와 이전 직장인 SAP에서부터 디자이너로 일했습니다. 디자인이라는 넓디 넓은 분야에서 대기업 vs. 스타트업, UX vs. UI, 전략 vs. 프로토타이핑, B2B vs. B2C 같은 다양한 And/Or 사이 자신의 강점을 찾아가고 계신 미래 디자이너 분들과 제가 경험한 프로덕트 디자인, 글로벌 기업에서 살아남기, 취업시장 현황 등을 얘기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디자인이라는 말이 가슴을 뛰게 한다면 함께 얘기해보아요!
미국 테크 회사의 UX 디자이너가 되겠다는 꿈을 이루기 위해 시애틀에 위치한 University of Washington 에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석사 과정을 졸업했습니다. 현재는 실리콘 밸리에 위치한 C3.ai 에서 AI 및 머신러닝 기술을 활용한 B2B 소프트웨어를 디자인하고 있습니다. 미국 대학원 석사유학 준비과정과 UX 디자이너로 미국 취업하기, AI, SaaS, B2B 프로덕트 디자인에 관한 경험을 공유해드리고자 합니다.
서강대학교에서 아트앤테크놀로지와 과학기술사회학을 복수전공했습니다. 컬럼비아대학교 인류학대학원 졸업 후 미국자연사박물관 연구직 및 개인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아트앤테크놀로지 1기로, 2020년 학부를 졸업 후, 2022년 미국 Calarts에서 아트앤테크놀로지 (MFA) 석사과정을 졸업했습니다. 3D 기반으로 실험애니메이션 작업을 하고 있으며 자그레브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학생 아카데미상, 시그라프 아시아 등에서 작업을 상영했습니다. 현재 개인 작업을 병행하며 홍익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학부에서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아트&테크놀로지, 컴퓨터공학, 인공지능을 복수전공하고 고려대학교 컴퓨터학과 디지털체험연구실에서 석사과정을 밟고 있습니다. 프리랜서 강사로 중고등학교에서 코딩을 가르치고 있으며, 동시에 인디게임 개발 스크그 팀원들과 창업하여 스튜디오 BBB의 대표와 프로그래머를 맡고 있습니다.
아직도 무엇을 하고 싶은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잘 모르겠는 정종민입니다. 2022년도에 아트앤테크놀로지를 졸업하고, 23년부터 정다샘 교수님 연구실에서 인공지능학과 석사 과정 중입니다. 현재 인공지능 연구자, 테크니션, 개발자, 아티스트, VJ 등의 활동을 하며 살고 있습니다. 저의 돌고 도는, 지금도 진행중인, 진로 탐색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5년차 쇼핑몰 운영(마켓끝판왕, 퍼주는할매, 울엄마농원, 가성비24, 실속있는주부 대표) 11번가, 네이버, 지마켓, 옥션, 쿠팡, 토스, 카카오, 당근마켓, 공구마켓 등 현존하는 e-커머스(쇼핑) 플랫폼에 입점해 쇼핑몰을 운영해오고 있습니다.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터득한 실전압축 노하우로 당장 다음날부터도 매출이 날 수 있게 제 모든 경험을 공유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