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BOARD
한국항공대 항공우주기계공학부 박정선 교수가 '우주비행선 아르테미스 1호 발사 연기'에 대해 연합뉴스 '뉴스초점'에 출연하여 기술적 문제에 대한 얘기를 나누었습니다.
한국항공대학교(총장 허희영)는 항공우주산업기술연구소가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주관하는 2022년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에 선정됐다고 최근 밝혔다.
1980년부터 시작된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은 우수한 이공분야 대학부설연구소를 선정해 특성화·전문화된 연구를 장려하고 신진연구인력 양성을 지원하는 교육부의 대표적인 학술지원사업이다. 30일 발표된 대학중점연구소 지원사업 선정과제에는 한국항공대 항공우주산업기술연구소를 포함한 전국 10개 이공분야 대학부설연구소의 연구과제가 포함됐다.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산업기술연구소(소장 이수용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교수)는 이번 사업을 통해 올해부터 9년간 약 70억원의 정부지원금을 받는다.
연구책임자는 연구소장인 이수용 교수이며,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박정선, 곽재수, 박상혁, 배재성, 노진호, 최경후, 장대성, 조문성)와 스마트드론공학과(최영훈) 등의 교수진이 참여할 예정이다.
항공우주산업기술연구소는 1968년 한국항공대 부속연구소로 설립된 이래, 추진·공력·위성·로봇·구조·제어 기술 등 첨단 항공우주분야 연구를 수행해왔다. 항공우주산업기술연구소의 이번 연구주제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전기, 수소, 태양에너지 등 친환경 추진시스템을 이용해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비행하는 '탄소제로 미래비행체'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정부에서 지난 2020년 발표한 '2050 탄소 중립 추진전략'과도 결을 같이 하는 연구주제다.
연구과제는 총 3단계로 나뉘어 진행된다. 1단계에는 탄소제로 미래비행체 개발에 필요한 기반 기술을 연구한다. 생체를 모방한 가벼운 몸체의 비행체를 설계하고, 수소연료전지 추진시스템을 테스트하며, 에너지소비를 줄일 수 있는 최적화된 비행체 운용 방법을 개발한다. 2단계에는 이러한 기반기술을 바탕으로 축소형 시제기를 설계하고, 3단계에는 실제 비행시험을 통해 성능을 검증한다.
(출처 : http://www.koit.co.kr )
일자 : 2022년 04월 28일 (목) 오후 2시
장소 : 여의도 국회의원회관 대회의실
참석자 : 박정선 교수
한국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박정선 교수가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SASE·The Society for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제11대 회장으로 취임했다고 7일 전했다. 임기는 2022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1년간이다.
올해로 창립 16년째를 맞은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는 항공우주시스템 관련분야 연구, 항공기운용기술 및 항공우주정책 개발을 통해 항공우주산업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됐다. 매년 학회 학술지를 발간하고 춘·추계 학술대를 개최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이어오고 있으며 지난해 국내 우주 관련 학회들이 연합하여 창설한 한국우주과학기술연합회에도 회원단체로 가입한 바 있다.
박정선 교수는 취임사를 통해 “학회 활동의 근간인 우수 학술지 발간과 성공적인 춘·추계 학술대회를 위해 노력하는 것은 물론, 학회 운영의 내실화, 심포지움 등 각종 행사 개최, 2023년 학회 주관으로 개최될 APCATS(Asia-Pacific Conference on Aerospace Technology and Science), AJSAE(Asian Joint Symposium on Aerospace Engineering)와 AAME(Advanced Aerospace & Mechanical Engineering)등의 국제학술대회 준비도 충실히 해나가겠다”고 밝혔다.
( 출처 :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03606 )
한국항공대 항공우주기계공학부 박정선 교수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 및 실패'에 대해 SBS Biz 뉴스 '경제 와이드 이슈&직설'에 출연하여 누리호 발사의 의미와 성과, 누리호에 발사 실패에 대한 원인, 우주 개발 예산 등에 대한 얘기를 나누었습니다.
한국항공대 항공우주기계공학부 박정선 교수가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발사'에 대해 연합뉴스 '뉴스1번지'에 출연하여 누리호 발사의 의미, 누리호에 대한 기술적 설명, 나로호와 누리호의 차이 등에 대한 얘기를 나누었습니다.
박정선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교수가 제32대 한국항공우주학회 회장으로 취임했다.
임기는 올해 1월 1일부터 1년간이다.
1967년 창립한 한국항공우주학회는 현재 5천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는 항공우주분야를 대표하는 학술단체다.
그동안 훈련기, 회전익기, 실용위성, 정지궤도위성, 누리호, 무인기, 유도무기 등의 성공적인 연구개발에 기여하는 등 대학, 연구계, 산업계와 함께 과학기술발전을 위해 노력해왔다.
박 교수는 취임 이후 신년인사말을 통해 올해 임기 동안 학회 회원들의 의견을 고르게 반영하기 위해 학회 이사회와 평의원회 구성원을 다양화할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동시에 젊은 연구자들을 위한 학술행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또 학회의 국제학술지인 ‘IJASS’와 국문학술지인 ‘한국항공우주학회지’의 Impact Factor 향상, SCOPUS 등재 등을 추진하며 어려운 항공산업을 타개할 수 있는 발전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등 세 가지 중점과제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 출처 : http://www.kyeonggi.com/20336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