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PU(신경망처리장치) 설계 스타트업 퓨리오사AI는 전날 열린 오픈AI 코리아의 개소식 행사에서 자사의 2세대 반도체 '레니게이드'를 활용해 'gpt-oss 120B' 모델 기반의 챗봇을 시연. 두 장의 NPU 카드로 1200억 매개변수 모델 기반의 챗봇을 구동해 성능과 전력 효율성을 입증한 결과. 오픈AI 코리아 개소식 행사에 AI 인프라 기업 중에서는 유일하게 시연을 초청받았다.
머니투데이 - 2025.09
NPU를 활용하여 AI 서비스를 개발하면서 발생하는 대표 4가지 병목 지점인 Latency, Throughput, 전력 소비, 정확성 4가지 문제를 한 번에 잡을 수 있는 강의
Fast campus - 2024.07
구형일 퓨리오사AI 알고리즘 팀 리더 겸 아주대 전자공학과 교수는 “이번 해커톤은 AI에 관심이 많은 개발자, 기획자들에게 NPU에 대한 저변을 넓히기 위해 기획되었고, 많은 분들이 지원하고 참석해 멋진 모습을 보여주었다”라고 취지를 밝혔다. 행사와 관련해서는 “다음 번에 해커톤을 진행한다면 해커톤 특유의 긴장감은 살리면서, AI 개발에 물리적으로 소요되는 시간까지 고려해보도록 하겠다”라는 뜻을 밝혔다.
동아일보 - 2023.12
활발한 연구 활동으로 우리 학교 기술이전 활성화에 기여한 교수들을 선정해 격려하는 ‘2023학년도 기술이전 우수 교원 시상식'이 열렸다.
<누적 기술료 1억원 이상>
▲정태선 교수(소프트웨어학과) ▲오일권 교수(지능형반도체공학과) ▲구형일 교수(전자공학과) ▲홍지만 교수(의학과) ▲김종현 교수(응용화학생명공학과) ▲권명희 교수(의학과) ▲박상면 교수(의학과) ▲박성준 교수(전자공학과) ▲이종민 교수(지능형반도체공학과)
“대다수의 인공신경망 반도체(NPU)가 모델 컴프레션을 지원하지만, 기업에서 직접 시간과 인력을 투입해 개별 모델을 구축해야 해 활용도가 떨어진다. 퓨리오사AI는 이 문제를 제조사의 과제로 보고 직접 수백에서 수천 개의 모델을 최적화하고 매뉴얼처럼 배포할 계획이다. 이것이 퓨리오사AI가 알고리즘 팀을 운용하는 이유다”
동아일보 - 202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