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HA Lab
대학원은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사회생활을 배우고 행하는 곳이다 (대학원은 집도 학부도 아니다)
데이터 분석과 측정 전공은 내가 맡은 일을 스스로 독립적으로 진행하여 완성하는 방법을 아는 것은 졸업의 한 요건이다.
데이터 분석과 측정 전공으로 대학원을 졸업하면 사회에서 주요한 위치로 일을 할 것이며, 따라서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으로 성장했을 때 졸업이 가능하다.
석사는 책임감을 가지고 자신의 일을 이끌어나가는 것을 배우며, 박사는 다른 사람을 지도하고 관리할 수 있는 것을 배운다.
대학원은 학습 공동체이다.
지원 받고 있는 연구비와 장학금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말자.
아주대학교 심리측정 및 데이터분석전공은 석사는 40%, 박사는 80%의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장학금의 목적은 랩실에서 다양한 연구활동 및 행정 일을 하는 것을 지원하는 것이지 개인적 학습을 위한 지원은 아님을 명심하자.
장학금 외의 외부 연구비 지원은 더 큰 책임이 있다.
장학금과 외부연구비 지원을 받을 시에 활동했던 연구 및 행정 일로 당연히 논문에 저자가 되는 것은 아니다. 논문은 연구 아이디어에 현저한 기여를 했을 때 저자가 되는 것이다.
운동 혹은 종교를 통해 건강한 마음을 가져야 한다.
학습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적 기술을 익히는 것은 데이터분석 및 측정연구 구성원에게는 더욱 중요한 일이다.
자신의 부족한 점을 인정하고, 다른 사람을 비난하거나 외부귀인을 하지 않는다.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표현하자.
Title: 중년 남성의 가족관계 만족도와 우울의 종단적 변화가 노년기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병렬과정 잠재성장모형(Parallel Process Latent Growth Model)의 적용 (이나헌, 김수아, & 최윤영*)
Title: Developing Career Aspiration Questionnaire for Prisoners (김수아, 이나헌, & 최윤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