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Semester
도시통계분석 (Statistical Methods for Planning)
이 과목은 공간계획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 필요한 계량분석 기법을 소개하며, 특히 도시 및 지역에서 나타나는 각종 문제들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통계기법들을 주로 다루게 된다. 이 과목에서는 연구문제의 명시, 가설 검정, 통계분석 결과의 해석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다양한 통계기법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키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과목은 강의와 실습으로 이루어지며, 강의에서는 통계의 활용목적과 통계이론 및 다양한 통계분석방법의 원리를 소개하고, SPSS, STATA, HLM 및 기타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습을 통해 학생들이 통계분석 방법을 직접 실행하고 이를 풀이할 수 있는 능력을 구비하도록 한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basics of research design and quantitative analysis in spatial planning and social science.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give an understanding of the use statistical methods to answer the questions of various problems in urban and regional scale. This course will cover the basics of theory and research design, including how to identify a viable research question, to formulate a theory and derive hypotheses. This course’s emphasis will be on formulating problems as statistical models and the proper interpretation of analytic results. The course will consist of both lecture and lab. The lecture will focus on developing basic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rationale, and usage of the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The lab's primary purpose is to provide students first-hand experience in conducting and interpreting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es using SPSS, STATA, HLM and other statistical software.
도시지역세미나 : 지속가능한 도시계획 (Seminar in Urban & Regional Issues)
이 과목은 다양한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도시·지역문제나 도시·지역계획 관련 이슈 등에 대한 계획가의 이해력과 대응능력을 배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과목에서 다루어지는 주제는 시대적 여건변화의 흐름에서부터 당장 사회적 관심사가 되고 있는 시사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범위를 포괄한다. 이를 통해 계획가가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함과 동시에 단기적이고 전략적인 문제해결(problem-solving)을 도모하도록 하여 도시·지역계획에 대한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course aims at enhancing planners' capabilities to understand and cope with various urban and regional issues which derive from mega trends or current public concerns. It is designed to make urban and regional planning flexible enough to deal with not only long-range comprehensive plan-making but also short-term strategic problem-solving in order to meet diverse social demands.
Fall Semester
도시지역분석 (Urban and Regional Analysis)
본 과목에서는 도시 및 지역계획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개념과 방법론, 그리고 분석기법을 주로 다루게 된다. 특히 지역 인구예측, 지역 경제분석 및 예측, 도시공간구조, 토지수요-공급 분석, 생활권, 공간적 상호작용 모델 등이 포함된다. 이 과목에서는 학생들이 도시 및 지역계획을 수립하는데 선행되어야 할 도시 및 지역의 다양한 현상들을 이해하고 분석하는데 필요한 방법들을 실제 도시 및 지역에 적용하는데 역점을 둔다.
The course aims to provide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main concepts, methods and techniques in urban and regional planning. Topics covered include the population forecast, regional economic analysis and forecast, urban spatial structure, land demand-supply analysis, settlement planning, and spatial interaction models. The emphasis is upon providing students with the skills to use and apply a variety of analytic techniques for urban and regional planning. The course will focus on how these methods have been used in practice to analyze urban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지속가능도시를 위한 시스템적 접근법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해서 장기적이며, 통합적인 접근은 필수적이다. 도시는 자연환경뿐만 아니라 건물, 인프라 등과 같은 인공환경을 포함하고 있는 대표적인 복잡계(complex system)로서, 도시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상호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이들은 다른 요소 또는 관계에 다시 영향을 미치며 도시현상을 복잡하게 만든다. 특히 도시의 다양한 부문(인프라 및 건조환경, 자연환경, 사회경제 부문 등) 및 요소 간 관계 의존성은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과 스마트시티의 확산으로 인해 더욱 심화되고 있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해서는 부문 및 요소 간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통합하고 조정할 수 있는 시스템적 사고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강의는 시간적, 통합적, 피드백 사고를 근간으로 하는 시스템적 사고 배양과 도시 계획 및 정책에서 이를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복잡계 이론, 다양한 도시 시스템의 이해, 시스템 다이내믹스 방법론 및 네트워크 분석 등을 학습하고, 이를 실제 도시 공간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활용 역량을 습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requires a long-term sector-integrative approach. Cities are highly complex spatial agglomerations that consist of natural and human-made built environments including buildings and infrastructure. Urban elements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and they re-influence other elements or relationships, complicating urban problems.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spread of smart cities have further deepened the inter-dependency between sectors including infrastructure and built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and socio-economic sector. Thus, sustainable cities require systematic thinking to understand, integrate and coordinate various sectors and their interactions. In the regard, this lecture will cultivate systematic thinking based on temporal, integrated, and feedback thinking, learn the theory of complex systems, system dynamics and network analysis and apply them to the practical urban planning and policy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