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곤충학 및 실험
(M1698.000400)
전선 | 2학년 | 학점-강의-실습 : 3-2-2
본 과목은 산림, 임산물 및 생활권 수목을 가해하는 각종 해충의 제반 영향을 이해하고 이러한 해충들의 밀도(개체수)가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지 않도록 조절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제법을 배우는데 목적을 둔다. 본 과목에서는 곤충 분류, 형태, 생리, 생태 등 곤충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산림 곤충들의 발육단계별 형태, 월동 충태, 가해 습성 등에 대해 강의한다. 그리고 산림 해충의 밀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화학적, 생물적, 기계적, 물리적, 임업적 방제법에 대해 공부한다.
The aim of this subject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everal insect pests on forest and learn several control methods for managing the population of forest insect pests. For this purpose,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verwintering stage, and damage habit of forest insect pests will be introduced with the basic knowledge of insect taxonomy, morphology, physiology and ecology. Furthermore, several kinds of control methods such as chemical, biological, physical and silvicultural control methods practically used in field will be introduced.
산림보호학 및 실험
(M1698.000200)
전선 | 3학년 | 학점-강의-실습 : 3-2-2
산림과 수목에 피해를 주는 다양한 원인과 성질을 공부하고 이를 예방, 구제 또는 치유하는 이론과 방법을 공부한다. 구체적으로는 물리적인 원인인 저온과 고온, 가뭄과 홍수, 눈과 비, 바람, 해풍 등 기상 조건에 의한 피해 기작과 피해 방지법, 동물과 다른 식물에 의한 피해 양상 및 방지법, 인위적인 요인인 산불에 의한 피해와 예방 및 산불의 진화 방법, 산불에 의한 수목의 피해와 산림 토양 및 산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산성비와 지구온난화, 대기오염에 의한 피해양상, 피해 기작과 피해 방지 대책 그리고 수목의 외과 수술 방법 등에 대하여 공부한다.
Students will elarn the various symptoms resulted by freezing temperature, non-freezing low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and also the types of damages resulted by drought, flooding, snow, wind, and salty wind and the machanism of causing damages and tolerance and/or resistance to the damage causing facotrs and hot to protect trees from those damage causing factors in the nuseries, gardens and forest. Students will also learn about the types and cause of forest fires, the influence of forest fires on forest trees, soil and ecosystem and forest fire prevention and fire fighting methods and equipments. This course also teaches the types and symptoms of damages of forest and trees due to air pollution including acid rain and global warming and the tolerant and sensitive trees to the pollutants. This course also introduces the various treatment methods of damaged trees including surgery of root systems and main trunk.
산림곤충학 특강
(M1698.000300)
전선 | 0학년 | 학점-강의-실습 : 3-3-0
본 과목은 산림, 임산물 및 생활권 수목을 가해하는 각종 해충의 제반 영향을 이해하고 이러한 해충들의 밀도(개체수)가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지 않도록 조절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제법을 배우는데 목적을 둔다. 본 과목에서는 곤충 분류, 형태, 생리, 생태 등 곤충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산림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산림 곤충들의 발육단계별 형태, 월동 충태, 가해 습성 등에 대해 강의한다. 그리고 산림 해충의 밀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화학적, 생물적, 기계적, 물리적, 임업적 방제법에 대해 공부한다.
The aim of this subject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everal insect pests on forest and learn several control methods for managing the population of forest insect pests. For this purpose, morph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verwintering stage, and damage habit of forest insect pests will be introduced with the basic knowledge of insect taxonomy, morphology, physiology and ecology. Furthermore, several kinds of control methods such as chemical, biological, physical and silvicultural control methods practically used in field will be introduced.
산림보호학 특강
(M1698.000500)
전선 | 0학년 | 학점-강의-실습 : 3-3-0
산림에 피해를 주는 요인에는 생물적 요인과 비생물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본 과목에서는 산림에 피해를 주는 생물적, 비생물적 요인에 대해 공부하고 이를 예방, 구제 또는 치유하는 이론과 방법을 공부한다. 구체적으로는 소나무재선충병, 참나무시들음병, 솔잎혹파리, 솔껍질깍지벌레 등을 비롯한 주요 산림병해충에 대한 생태 및 화학적, 생물적, 물리적, 기계적, 임업적 방제법 등에 대해 공부한다. 또한, 기후, 대기오염, 토양, 화학물질 등 비생물적 요인에 의한 산림 및 수목 피해 증상, 예방, 치료에 대하여 공부한다.
Several biotic(plant pathogen, insect, wild animal) and abiotic agents(climate, air pollution, soil, chemicals) could cause forest damage. In this subject, students will elarn the various forest and tree damages caused by biotic and abiottic agents. For this purpose, ecologica lcharacteristics of main forest insect pests and disease including pine wilt disease, oak wilt disease, pine needle gall midge and black pine bast scale will be introduced. Students will also learn aobut several control methods of forest insect pest and diseases such as chemical, biological, physical, mechanical and silvicultural control methods. This course also introduces symptom, prevention and treatment methods of forest damages caused by climate, air pollution, soil and chemic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