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연구실은 소화기암 전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표적 연구 분야로는,
1. 소화기암 발생 기전 규명(유전체 분석, 프로테옴 분석, 분자생물학적 분석 등)
2. 소화기암에 대한 신약 개발 및 작용 기전규명(초고속 약물 스크리닝, in vitro/in vivo 약제 효용성 평가)
3. 소화기암의 조기 진단 키트 개발 및 예후 예측 마커 발굴(세브란스 병원, 서울대 병원 등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인체 유래 조직을 통한 연구 수행)
4. 간암 발생 기전 규명(세브란스 병원 영상의학과 및 병리과와 공동 연구 수행)
이외에도,
1. 염증성 질환(과민성 대장 증후군, 알러지성 비염/천식 등)
2. 전립선 비대증 및 전립선 암 발생 기전 규명 및 이를 조절하기 위한 치료 물질 개발(세브란스 병원 비뇨의학과와 공동연구)
3. 위점막에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및 이에 따른 위암 발생 기전 규명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성장을 억제할 수 있는 치료/치료보조물질 개발(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연구팀/카톨릭 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연구팀과 공동연구)
4. 기초연구(RNA quality control, protein quality control 등)
5. 오가노이드 기반 질환 모델 제작 연구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Our laboratory is conducting research on the gastrointestinal (GI) cancers.
As a major research field,
1. Identification of mechanism of the GI cancer development (genome analysis, proteome analysis, etc.)
2. Development of novel drugs for GI cancers and identification of their mechanism of action (high-throughput drug screening, evaluation of in vitro / in vivo drug efficacy)
3. Development of an early diagnosis kit for GI cancers and finding prognostic markers for GI cancers (conducting research by using human tissues through collaboration with Severance Hospital)
4. Identification of mechanism of the liver cancer development
As a minor research field,
1. Inflammatory diseases (irritable bowel syndrome, allergic rhinitis / asthma, etc.)
2. Identification of mechanisms on prostate hyperplasia and prostate cancer development and development of therapeutic agents to control these diseases (joint research with Department of Urology, Severance Hospital)
3. Mechanism studies on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in gastric mucosa and development of stomach cancer and development of direct and indirect therapeutic reagents to inhibit the growth of Helicobacter pylori (Collaboration with department of path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department of pharmacology , 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4. Basic research (RNA quality control, protein quality control, etc.)
5. Organoid based disease mode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