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공정 참조모델 확장 및 활용 고도화를 위한 연구, 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25.07~12
전자PCB AI 자율제조 공통 프레임워크 연구, 한국전자기술연구원, 2025.03~05
공급망 파트너간 실시간 협업관리 DX 플랫폼 구축(3차년도)[공동],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5.01~12
지능형 산업 데이터 분석 연구(성과활용2차년도), GRRC (경기도/경기대학교), 2024.07~2025.06
공급망 파트너간 실시간 협업관리 DX 플랫폼 구축(2차년도)[공동],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4.01~12
공정 상황별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는 AI기반의 제조공정물류 최적화 기술개발(3차년도)[공동],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24.01~12
스마트제조 혁신을 위한 중장기 공급기업 육성방안 연구[공동],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3.11~2024.06
제조데이터 표준화 중장기 전략 기획 및 참조모델 개발 연구[공동],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3.11~2024.04
지능형 산업 데이터 분석 연구(성과활용1차년도), GRRC (경기도/경기대학교), 2023.07~2024.06
공급망 파트너간 실시간 협업관리 DX 플랫폼 구축(1차년도)[공동],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3.04~12
산업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사업(5차년도),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3.03~2024.02
공정 상황별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는 AI기반의 제조공정물류 최적화 기술개발(2차년도)[공동],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23.01~12
2022년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성과조사·분석 연구[공동],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2.12~2023.05
선도형 산업의 미래형 가상협업공장 개념 설계,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R&D전략기획단), 2022.07~10
지능형 산업 데이터 분석 연구(6차년도), GRRC (경기도/경기대학교), 2022.07~2023.06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역량진단 모델 개발 연구[공동],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2022.05~12
공정 상황별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는 AI기반의 제조공정물류 최적화 기술개발(1차년도),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공동], 2022.04~12
산업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사업(4차년도),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2.03~2023.02
경남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 성과분석조사[공동], 경남테크노파크, 2021.09~2022.05
지능형 산업 데이터 분석 연구(5차년도), GRRC (경기도/경기대학교), 2021.07~2022.06
산업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사업(3차년도), 산업통상자원부/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21.03~2022.02
벨라루스 기계제조업 제조공정모델의 디지털 전환 방안, 한국개발연구원, 2021.01~08
데모공장 고급화 교육과정 개발, 전자부품연구원/한국생산성본부, 2020.09~11
지능형 산업 데이터 분석 연구(4차년도), GRRC (경기도/경기대학교), 2020.07~2021.06
경기도 스마트공장 모델개발 및 확대 구체화 전략 수립, 경기테크노파크/한국생산성본부, 2020.03~05
스마트제조 데이터분석 교육체계 수립 및 필요기술 조사,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2020.04~05
스마트제조로드맵 기반의 인재육성 마스터플랜 수립 연구, 전자부품연구원, 2020.01~02
스마트공장 진단 성과분석 및 교육 확장모델 연구, 한국생산성본부, 2019.09~11
지능형 제조 데이터 분석 연구(3차년도), GRRC (경기도/경기대학교), 2019.07~2020.06
스마트제조 응용 기술 연구(3차년도), GRRC (경기도/경기대학교), 2019.07~2020.06
스마트공장 공급기업 실태조사 및 해외 제조혁신 정책 동향조사[공동], 민관합동스마트공장추진단, 2019.02~07
지능형 제조 데이터 분석 연구(2차년도), GRRC (경기도/경기대학교), 2018.07~2019.06
스마트제조 응용 기술 연구(2차년도), GRRC (경기도/경기대학교), 2018.07~2019.06
대전시 스마트 제조혁신 추진체계 및 기술센터 건립방안 연구[공동], 대전시, 2017.11~2018.01
지능형 제조 빅데이터 분석 연구(1차년도), GRRC(경기도/경기대학교), 2017.08~2018.06
KPS개발과제 성과분석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생산성본부, 2017.01~04
미래 스마트공장 방향 제시 및 스마트제조산업 발전 방안 연구[공동], 산업통상자원부, 2016.07~12
지역 수출입기업의 물류보안 기술 확보 방안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6.06~11
스마트공장 인증모델 검증 및 개선 연구, 한국생산성본부, 2016.02~04
스마트공장 평가모델 프레임워크 연구, 한국생산성본부, 2015.02~04
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컨설팅, 우진공업, 2014.08~12
주요 제조업 사물인터넷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생산성본부, 2014.07~09
현장적응형 공통플랫폼 표준 기술 연구(4차년도), 지식경제부, 2013.04~2014.03
한국형 제조혁신 방법론 업종분류체계 연구, 한국생산성본부, 2012.06~10
글로벌 공급망의 디지털 위조사기 방지 표준 연구, 용인대학교(기술표준원), 2012.06~2013.05
현장적응형 공통플랫폼 표준 기술 연구(3차년도), 지식경제부, 2012.04~2013.03
현장적응형 공통플랫폼 표준 기술 연구(2차년도), 지식경제부, 2011.04~2012.03
현장적응형 공통플랫폼기술 표준 연구(1차년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지식경제부), 2010.07~2011.02
폐전기전자제품 회수정보체계 선진화방안 기획, 한국전자산업환경협회, 2009.04~07
“RFID 지원센터 정보인프라 통합 업그레이드 사업”을 위한 제조업 분야의 ROI 연구, 리테일테크(유통물류진흥원), 2008.12~2009.05
회수물류비 절감 기술동향 및 물류/포장 실태 연구, 국토해양부, 2008.11~2009.08
환경친화적 폐가전 물류표준체계 및 물류관리시스템 개발, 국토해양부, 2008.10~2009.07
파렛트와 물류설비간 인터페이스 특성 분류체계 연구, 한국철도기술연구원(국토해양부), 2007.12~2008.09
분산생산시스템을 위한 확장기업의 데이터 및 프로세스 모델 개발, ㈜소프트파워(한국생산기술연구원), 2001~2002
공급망관리(SCM) 시스템을 위한 DP/SNP 모듈의 설계에 관한 연구, ㈜iBGen(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0
전자상거래 물류 및 유통 현황 분석: 농수산물 및 전자제품을 중심으로, ㈜ 삼보, 2000
폐가전 품목 인식 알고리즘(AI 모델) 고도화 연구, 이순환거버넌스, 2025.04~08
폐가전 수거 과정의 품목 인식 AI 적용 연구, 이순환거버넌스, 2024.04~08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한 폐가전 재활용 공정 스마트화 연구, 동북권자원순환센터, 2023.08~2024.02
디지털 산업혁신 성숙도 진단 온라인 서비스 개발, 한국생산성본부/한국정보화진흥원, 2021.06~10
디지털 산업혁신 성숙도 모델 개발, 한국생산성본부/한국정보화진흥원, 2020.11~2021.01
범죄 빅데이터를 활용한 범죄예방 체계 개선 연구(연구책임: 전지혜),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여대학원생 공학연구팀제 지원사업), 2019.05~10
지상영상장비 배치 효율화 확장 모듈 개발(5차년도), 국토교통부, 2017.06~2018.03
연수사업 개편방안 연구, 중소기업진흥공단, 2016.10~12
지상영상장비 배치 효율화 기술 개발(4차년도), 국토교통부, 2016.06~2017.05
지상영상정보 획득장비 및 배치 효율화 기술 개발(3차년도), 국토교통부, 2015.06~2016.05
미래사회 기술정책 이슈발굴 프레임워크 설계 및 TCM 고도화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5.05~11
지상영상정보 획득장비 및 배치 효율화 기술 개발(2차년도), 국토교통부, 2014.11~2015.05
재사용제품 유해물질 조사 및 재사용활성화 방안수립 연구, 환경부, 2014.06~2015.01
ICT 기술의 성장패턴 분석 및 진화 예측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4.06~10
KRRI 연구개발성과 및 평가지표 관련 자료조사 및 분석,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3.07~12
우편주소 관리 현황 조사 및 방안 분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1.06~11
물류/교통 IT융합 서비스 모델 연구, GRRC(경기도/경기대학교), 2010.07~2011.06
철도 IT 융합 기술 동향 조사,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10.05~09
5자리 우편번호 관련 데이터 수집 및 현장 조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0.05~10
새우편번호 시범 부여 결과 분석 및 효율적인 수작업 구분 방안 연구, 대전대학교(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9.04~11
우편번호 개선안 적합성 검증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8.06~11
다량우편물 제작/접수 프로세스 분석 및 접수업무 개선 방안 연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07.09~11
주소정보 자동처리 통합 기술 개발, 우정사업본부, 2006.01~2007.02
우편배달 순로구분 시스템 개발, 우정사업본부, 2003.12~20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