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t Up
JDK 설치 >> 환경변수 JAVA_HOME 설정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 https://developer.android.com/studio/index.html
프로젝트 생성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실행 >> new >> new project...
새 프로젝트 설정
Application Name : 앱의 이름입니다. 사용자에게 직접 나타나는 이름
Company Domain : package 이름에 사용할 도메인 명
Package Name : 안드로이드 시스템에 깔리게 될 수 많은 다른 패키지와는 중복되지 않도록, 여러분의 패키지 이름은 반드시 유니크한 값을 가져야 합니다.(이 값은 Application Name 이나 company domain 값과는 달라도 괜찮습니다)
기본값은 : Company Domain 이름을 뒤집어 사용(관례적) + application 이름
Project Location : 프로젝트 폴더 위치
Target Device 설정
Minimum SDK : app이 지원하는 최소 API Level (사용하는 기능을 지원하는 최소버전을 선택하여 많은 버전에서 지원될수 있도록 함)
Activity(cf. page) 추가 및 Customize
Activity Name, Layout Name 설정
주요 폴더 및 파일
app/src/main/res/layout/activity_main.xml
layout 파일로 일부 기본적인 세팅과 TextView 엘리먼트(부품)을 갖고 있습니다.
app/src/main/java/com.mycompany.myfirstapp/MainActivity.java
activity를 위한 클래스
app/src/main/AndroidManifest.xml
manifest file 은 앱의 기초적인 속성이나 성질등이 기입된 파일입니다. 그리고 각각의 컴포넌트들의 정의를 가지고 있습니다.
app/build.gradle
“build.gradle”파일 각각의 프로젝트를 위한 파일로 Gradle을 이용해서 컴파일과 빌드를 합니다.
“defaultConfig” 설정과 함께 앱의 빌드 종속성이 세팅되어 있습니다
/res 하위 폴더
drawable<density>/ : drawable 오브젝트들(비트맵같은) 가지고 있는 디렉토리
나머지 drawable 디렉토리들은 assets 을 가지고 있는데, 다른 스크린 해상도를 위해 설계되어 있습니다.
여기서는 ic_launcher.png 파일을 볼 수 있는데요, 기본 앱을 실행할 때 나타나는 파일입니다.
layout/ : 앱의 유저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파일들의 디렉토리입니다.
레이아웃 디렉토리는 UI를 정의한 파일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menu/ : 앱의 메뉴 아이템이 정의된 파일을 갖고 있습니다.
values/ : 리소스들의 모음을 포함하고 있는 XML 파일들을 모아둔 폴더입니다.
string이나 color 정의를 가지고 있을 수 있지요.
구동 테스트 하기
안드로이드 기기에서 구동
안드로이드 기기를 여러분의 컴퓨터에 USB케이블로 연결합니다.윈도우즈에서는 적절한 USB 드라이버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정보는 OEM USB Drivers 문서를 확인)
USB 디버깅 모드 활성화
안드로이드 3.2버전 이상의 거의 대부분은, 디버깅 모드 활성화를 환경설정 > 어플리케이션 > 개발 에서 볼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4.0 이상 버전에서는 환경설정 > 개발자 옵션에서 볼 수 있습니다.
4.2 버전 이상에서는 개발자환경이 숨겨져 있습니다.
활성화를 위해 환경설정 > 디바이스 정보 에서 빌드번호를 7번 누릅니다(아무런 반응이 없을 것입니다)
이전 스크린으로 갔다가 오면 개발자 옵션이 활성화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Android Studio 에뮬레이터 에서 구동
프로젝트 파일을 선택하고 Run 버튼을 클릭합니다
Choose Device 윈도우에서 Choose a running device 를 선택하고, 디바이스를 선택하고 OK를 클릭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