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Interests: International Relations, Foreign Policy Analysis, East Asian Politics, Multi-Method, and Diplomatic History
* Google Scholar Homepage [link]
[Book]
정성철, 『국가는 왜 싸우는가: 전쟁과 평화의 경계에서 마주한 질문』 (서울: 사회평론, 2025). [aladin] [yes24]
정성철 (편) 『삼각관계로 바라보는 국제정치 (세계정치36)』 (서울: 사회평론, 2022). [aladin] [yes24]
[Academic Article]
"왜 한국인은 핵무장을 원하는가? 북한 위협과 미국 불신," 『통일과 평화』16(3) (2024/12).
"사이버 위협과 미국의 탈냉전기 대외전략: 통합억지와 디지털 생태계," 『사이버안보연구』1(2) (2024/11).
"Middle Powers and Minilateralism against Hybrid Threats in the Indo-Pacific: South Korea, Singapore, and Taiwan," Australian Journal of International Affairs, 78(6) (November 2024): 889-910. [with Erwin Tan]. [ajia]
"Economic Slowdowns and International Conflict," Journal of Peace Research 61(2) (March 2024). [jpr]
"탈냉전기 미중 관계와 북한의 대외전략: 전략적 삼각관계와 핵보유국 지위 추구," 『국방연구』 66(3) (2023/9): 1-22. [link] [kci]
"Sino–U.S. Competition and the Emerging Network of Liberal Coalitions," Asian Journal of Peacebuilding 10(2) (December 2022). [ajp] [pdf]
"Democracy and Diversionary Conflict: External Transparency and Domestic Constraints,"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33(1) (March 2021). [link/pdf] [kci]
"The Indo-Pacific Strategy and US Alliance Network Expandability: Asian Middle Powers’ Positions on Sino-US Geostrategic Competition in Indo-Pacific Region," Journal of Contemporary China 30(127) (January 2021) [with Jaehyon Lee and Ji Yong Lee]. [link] [pdf]
"Religious Identity and the Democratic Peace," East and West Studies(동서연구) 32(1) (March 2020). [link] [kci] [online appendix]
"동아시아 세력전이와 한반도 전쟁: 19세기 청일전쟁과 21세기 미중경쟁," 『담론201』 23(1) (2020/2). [kci] [kiss] Reprinted in 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 편, 『청일전쟁과 근대 동아시아의 세력전이』 (서울: 동북아역사재단, 2020). [yes24]
"자유주의 세계질서의 쇠퇴? 글로벌 패권의 약화와 민주주의 중견국의 규칙기반질서 추구," 『정치·정보연구』23(1) (2020/2). [kci] [dbpia] Reprinted in 김상배 편, 『신흥무대의 중견국 외교: 복합지정학의 시각』 (서울: 사회평론, 2020). [yes24]
"Diversionary Theory of War," Oxford Bibiliographies (31 July 2019, DOI: 10.1093/obo/9780199743292-0265). [link]
"Lonely China, Popular United States: Power Transition and Alliance Politics in Asia," Pacific Focus 33(2) (August 2018). [link] [pdf]
"북한의 핵개발과 북중동맹의 변환," 『사회과학논총』 37 (2017). Reprinted in 김태형 외, 『북한이 핵 보유국이 된다면 어떻게 달라지는가: 핵 보유 이후 국가행동의 변화』 (서울: 사회평론, 2020). [yes24]
"Unified Korea's Policy under Various Scenarios of the US-Sino Relationship,"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20(3) (September 2017) [with Dong-ho Han, Ji Yong Lee, Jae Jeok Park]. [link]
"The Offensive Realists Are Not Wrong: China's Growth and Aggression, 1976-2001," Pacific Focus 32(1) (April 2017) [with Kihyun Lee]. [link] [pdf]
"사례연구방법론의 발전과 동향: 국제 및 비교정치 연구를 중심으로," 『담론201』 20(1) (2017/2). [link] [kci] [kiss]
"Nuclear Aggressors, Nuclearizing Targets: Nuclear Weapon Development and Preventive Conflict,"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Asia-Pacific 17(1) (January 2017). [link] [pdf]
"More Unstable Internally, More Reliable Externally: South Korea's Participation in the Vietnam War,"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14(1) (April 2016). [pdf]
"국내정치의 불안정과 세력균형의 추구: 제1차 북핵위기의 발발원인," 『사회과학논총』 35 (2015). [pdf]
"Searching for Non-aggressive Targets: Which States Attract Diversionary Action?" Journal of Peace Research 51(6) (November 2014). [link]
"Foreign Targets and Diversionary Conflict," International Studies Quarterly 58(3) (September 2014). [link]
"관심전환전쟁이론: 논리와 증거," 『한국정치학회보』 47(5) (2013/12). [kci] [dbpia]
"Democratization and Alliance Commitment: US Democratizing Allies during the Gulf War," Armed Forces & Society 39(4) (October 2013). [link]
[Book Chapter]
"제11장: 사이버 안보와 동맹," 김상배 (편) 『사이버 안보의 국제정치학: 기본 개념의 탐구』 (사회평론, 2024).
"제8장: 인공지능과 동맹정치, 중견국 외교," 김상배 (편) 『인공지능과 국제정치: 연구 어젠다의 발굴』 (사회평론, 2024).
"미래국방과 동맹외교의 국제정치," 김상배 (편) 『미래국방의 국제정치학과 한국』 (서울: 한울, 2023). [yes24]
"서문," "제1장: 삼각관계 국제정치의 이론화 모색," 정성철 (편) 『세계정치36: 삼각관계로 바라보는 국제정치』 (사회평론, 2022). [aladin] [yes24]
"제9장: 디지털 안보 동맹외교의 미중경쟁과 한국: 탈냉전기 미국 대외전략과 ‘디지털 자유연합’의 등장," 김상배 (편) 『디지털 안보의 세계정치: 미중 패권경쟁 사이의 한국』 (한울, 2021). [link]
『세계질서의 재편과 신한반도체제』 공저 (통일연구원, 2021). [link/pdf]
"세력균형이론과 세력전이이론," "상호의존론과 민주평화론," 박건영, 신욱희 (편) 『국제정치이론』 (사회평론, 2021). [aladin] [yes24]
『강대국 경쟁과 관련국의 대응: 역사적 사례와 시사점』 공저 (통일연구원, 2020). [link/pdf]
『주변국 국경안보: 이론과 실제』, 공저 (통일연구원, 2017). [link]
"전쟁과 평화: 기독교, 민주주의, 시장경제," 『평화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 (홍성사, 2016). [link] [yes24]
"다자주의의 이론적 검토," 『동북아평화협력구상과 유라시아 협력추진을 위한 다자주의적 접근』 (통일연구원, 2015). [link/pdf]
"대미국 통일외교의 논리와 전략: 미국의 동맹/안보 딜레마와 한국의 대미국 통일외교," 『통일외교 콘텐츠 개발』 (통일연구원, 2015). [link/pdf]
"쿠바, 이란 북한의 대미관계: 정치체제와 대외경제 중심," 『전환기 쿠바와 북한 비교: 정책적 함의』 (통일연구원, 2015). [link/pdf]
"아시아 패러독스? 동아시아 경제협력과 안보갈등," 『세계정치』 21 (2014). [link/pdf] [kiss]
『신뢰정책의 과제와 추진전략』 공저 (통일연구원, 2014).
『통일한국의 국가상과 한중협력』 공저 (통일연구원, 2014).
『국내불안과 대외도발: 북한에 대한 적용 가능성 탐색』 (통일연구원, 2013). [link/pdf]
『한국의 FTA전략과 한반도』 공저 (통일연구원, 2013). [link/pdf]
『정치·사회·경제 분야 통일 비용·편익 연구』 공저 (통일연구원, 2013). [link/pdf]
"관료정치와 카터행정부의 주한미군철수정책," 『세계정치』 4 (2005). [link]
[Others]
"국제정치와 나," 『명대신문』 1118호 (2023. 8. 28). [link]
"전환의 시대: 복합위기에서 질서전이로," KPI 이슈브리프 31호 (2023. 1. 25). [link]
"한반도의 예정된 미래? 새로운 전략을 위한 전제와 인식," 『글로벌이슈브리프』 Vol. 4 (2022년 10월호). [gif]
"'미중 경쟁' 프레임과 미래의 한반도," KPI 이슈브리프 19호 (2021. 11. 25). [link]
"국제정치에서 을들의 연대가 시작되는가?" 『명대신문』 1056호 (2019. 5. 13). [link]
"중국의 부상과 아시아의 선택: 미중 동맹전이와 지역질서의 미래," 『성균 차이나브리프』 Vol. 50 (2019. 1) [link]
"안보우려와 경제이익 공유하는 비강대국 아시아 연대 만들어야," 『민족화해』 85 (2017. 3/4). [link] [pdf]
"북한변화를 고민한다: 혼합체제와 외교정책," 『KINU 통일플러스』 Vol. 2, No. 3 (2016년 가을호). [link] [pdf]
"합리적 논의와 초당적 협력, 다자외교 통해 세계질서 북확실성 극복해야," 『민족화해』 81 (2016. 7/8). [link] [pdf]
"일극체제와 상호의존을 통해 본 21세기 국제정치," 『KINU 통일플러스』 Vol. 1, No. 3 (2015년 가을호). [link] [pdf]
"민주평화론 이후," 한국국제정치학회 뉴스레터 152호 (2015년 4월) [pdf]
"사드(THAAD) 논란을 통해 본 한국의 통일외교 환경," KINU Online Series CO 15-07 (2015. 3. 31). [link] [pdf]
"2015년 북한의 대외정책과 국제정세: 다각적 외교추진 시도 '희망사항'에 그칠 가능성 커" 『통일시대』 100 (2015. 2): 14-17. [link] [pdf]
"고민하는 미국, 불만스런 중국," JPI PeaceNet 2014-16 (2014. 5. 12).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