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실에서는 고분자, 액정 유기물, 무기화합물들의
Self-assembly 과정을 이해하고,
Polymerization or hydrogen-bonding interaction을 통한 나노구조의 정교한 제어를 통해,
강유전, 압전, 형광, 이온전달과 같은 흥미로운 기능성을 발현하는 유기 고분자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분야는 아래와 같습니다.
1 . Ferroelectric Liquid Crystalline Materials
-비휘발성 강유전 메모리 소자 (FeRAM)에 최적화된 원기둥 강유전 액정 소재 개발-
인공지능 및 사물인터넷의 빠른 발전 속도로 인하여, 앞으로 더 많은 전력 소모가 예상되며, 따라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전력 효율성이 높은 메모리 소자의 개발은 필수적임.
이를 위해, 기존의 “휘발성” DRAM과 다른 “비휘발성” 특성을 갖는 magnetoresistive RAM (MRAM), phase-change RAM (PRAM), resistive RAM (RRAM), ferroelectric RAM (FeRAM)등이 개발되고 있음. 이들 비휘발성 RAM들은 외부 전원이 제거된 상태에서도 writing한 정보가 남아있기 때문에,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음.
1차원(1D) 축 분극을 가진 강유전체 컬럼형 액정 (Ferroelectric Columnar Liquid Crystal, FCLC) 물질은 나노미터 크기의 규칙적인 강유전체 원기둥 도메인을 자발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층 구조 (layered structure)로 구성된 smectic 강유전 액정에 비해, 단일 면적에 고밀도 정보저장이 가능한 FeRAM 구현에 이상적인 후보소재 중 하나임.
강유전 liquid crystals 디자인 및 합성에 click reaction의 산물인 1,2,3-triazole or amide group을 이용.
수소결합 (hydrogen-bonding)을 통한 macrodipole 형성.
Ref) Angew. Chem. Int. Ed., 58, 2749-2753 (2019)
Chem. Eur. J., 26, 6964-6975 (2020)
2 . Polymorphic Liquid Crystalline Materials
-상온 형광 정보 표시 소자 및 압전 소자 구현을 위한 액정 소재 개발-
액정상-결정상의 polymorphism을 나타내는 액정 화합물 디자인
상온에서 안정하게 존재하는 2개의 polymorph를 구현하고, polymorph구조에 따른 압전 (piezoelectricity) 형광 (fluorescence) 특성을 제어
특히, 형광색이 상이한 polymorph를 상온에서 안정적으로 구현하고, 2개의 polymorph들의 상전이를 통해 "형광 정보 표시 소자"를 구현가능함
최근, 본 연구실에서는 상온에서 전기장 인가를 통해 metastable helical columnar 액정상을 thermodynamically stable한 결정상으로 매우 빠른 속도로 전환 가능함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였음
또한, helical columnar polymorph가 piezoelectricity를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반면, 결정상에서는 압전 기능성이 사라짐을 확인하였음
이 같은 특성은 "분자 디자인 과정-액정화합물 합성-정밀 나노구조제어"과정을 통해 구현 가능함
이외에도 동일 ICT chromophore에 특성이 다른 외곽 사슬 도입을 통해 bulk phase에서 상이한 형광색을 유도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음
Ref) J. Am. Chem. Soc, 147 (3), 2309-2314 (2025)
J. Mater. Chem. C, 12, 14685-14693 (2024)
J. Mater. Chem. C, 9, 7967-7975 (2021)
J. Mol. Liq., 399, 124386 (2024)
Dyes Pigments, 215, 111273 (2023)
-이차전지 응용가능한 액정 고분자 소재 개발-
Block copolymer (BCP) 또는 유기 액정 화합물의 liquid crystalline (LC) phase를 이용하여, 이온 전달물질 개발.
LC phase에서 ionophilic block은 segmental motion이 가능하며, 기계적 물성도 기대할 수 있음.
Sphere, Columnar, Gyroid, Lamellar와 같은 다양한 LC 나노구조에서 이온 전도 및 기계적 물성 조사.
1,2,3-Triazolium, imidazolium salts등의 ionic liquid functional group을 이용하여, enhanced ionic conductivity 구현.
Polymerization tool을 이용한, free standing "Solid Polymer Electrolyte" (SPE) 제조.
Ref) J. Mater. Chem. C, 6, 9802-9810 (2018)
Chem. Commun., 48, 6821-6823 (2012)
Soft Matter, 7(8), 4045-4049 (2011)
-자가 치유 Hydrogel Soft Contact Lens개발-
특정 functionality를 갖는 hydrogel contact lens 소재 개발.
Self-healing function을 갖는 단량체 개발
Self-healing crosslinker, HEMA monomer와의 thermal polymerizaiton을 통해 poly(HEMA) contact lens제조
Self-healing 특성을 갖는 소프트 렌즈 개발을 통해 높은 수율 적용이 가능한 제조 공정 최적화
자가치유 특성 뿐만 아니라, 청색광 차단, 고 함수율등의 기능성이 부여된 렌즈 개발
Ref) Macromol. Res., in press (2025)
Polymer(Korea)., 44, 868--874 (2020)
-수전해 촉매 및 고성능 흡착 기능성 소재개발-
가수분해가 가능한 Polylactide와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polystyrene블록을 이용하여 BCP합성.
BCP의 self-assembly를 통해 나노구조 형성 후, chemical etching을 통해 유기 나노다공성 재료 제조.
다공성 재료의 기공 크기 및 표면 기능기에 따른, 선택적인 흡착 및 나노입자 in-situ 제조 및 특성 조사.
Ref) ACS Macro Lett., 1, 1375-1378 (2012)
J. Polym. Sci. Part A: Polym. Chem., 51, 446-456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