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이용계획, 성장관리, 스마트성장이론
환경계획 및 정책
지속 가능한 개발
환경재난관리
환경영향 평가/전략환경평가
도시(환경)정치학
환경갈등관리 및 사회영향평가
탄소중립도시계획
스마트시티
Saewoom Jang, and Juchul Jung (2025). Urban Form and Green Space Structure as Drivers of Urban Heat Mitigation. Sustainable Cities and Society, 130, 106597.
오상원, 서세교, 정주철.(2025). 도시공간구조의 단핵-다핵 변화와 온실가스 배출 간의 동태적 관계 분석, 환경영향평가, 34(3), 147-169
오상원, 정주철.(2025). 에너지 소비특성 및 영향요인에 따른 지역 유형화와 특성분석, 환경영향평가, 34(2), 47-67
오지운, 정주철. (2025). 도시의 사회적 다양성과 물리적 건조 환경 특성이 도시 활력에 미치는 영향 , 국토계획, 60(2), 91-106.
서세교, 오상원, 정주철. (2024). 기능 연속성 관점의 침수 재해 임계치 및 회복력 추정, 국토계획, 59(7):148-159.
Hansol Mun, Juchul Jung. (2024). Relationships between Vehicle Kilometers Traveled and Carbon Emissions based on Urban Size,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00112.
문한솔, 정주철. (2024). 취약성 평가에 기반한 PM2.5 취약지역 유형화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33(5): 187-203
Jiwoon Oh, Mengying Li, Juchul Jung. (2024). Response to shrinking cities: Cultural urban regeneration, Cities,155:105447
오지운, 정주철. (2024). 도시의 사회적 다양성에 대한 체계적 문헌 검토, 국토계획, 59(4):85-96
오지운, 성진, 김연주, 정주철. (2024). 인구감소지역의 유형별 공간적 분포와 영향요인 분석, 국토계획, 59(4):25-37
Hansol Mun, Jaeweon Yeom, Jiwoon Oh, Juchul Jung. (2024). Does a compact city really reduce consumption-based carbon emissions? The case of South Korea, Environment and Planning B: Urban Analytics and City Science, 23998083241263898.
서세교, 정주철. (2024). 침수취약지역의 주거선택 요인분석: 위험인식에 대한 장소애착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4(3), 51-60.
오지운, 김연주, 이선경, 문한솔, 정주철. (2024). 도시 단위 수변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사례 연구 - New York City Comprehensive Waterfront Plan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영향평가, 33(3):116-130
Kang, Seung-Won, Moon-Suk Lee, and Ju-Chul Jung. "Analysis of sustainable urban form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and mitigation." Environmental and Sustainability Indicators 22 (2024): 100337.
오지운, 문한솔, 김연주, 한지우, 정주철. (2024).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연안완충구역 정책 개선방안 : 미국 연안도시와 지중해, 카리브해 연안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영향평가, 33(1)
김연주, 문한솔, 정주철. (2023). LCZ 유형이 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환경영향평가, 32(5)
문한솔, 염재원, 정주철. (2023). 야간 위성영상 기반 도시단위 탄소배출량 추정과 영향 요인 분석, 국토계획, 58(5), 5-19.
하동오, 염재원, 정주철. (2023). 도시 경관관리를 위한 개발권양도제 정책도입에 관한 연구: 리츠 접목을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 32(4).
오상원, 하동오, 정주철. (2023). 환경정의 관점에서 본 폭염 취약 지역과 사회・취약계층 간의 공간적 패턴 분석. 한국방재학회, 23(4), pp.31-41
오상원, 박지용, 정주철. (2023). 지역별 온실가스 배출량에 따른 지역유형화 및 특성분석 연구. 환경정책,31(1), 1-30
강승원, 문한솔, 박혜민, 정주철. (2023). 토지이용/피복(LULC) 데이터를 이용한 도시기후구역의 적용가능성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26(1), 69-88.
오지운, 성진, 정주철.(2023).문화기반시설의 지역 간 격차와 영향요인 분석.국토계획,58(1),5-15.
서세교, 장새움, & 정주철. (2022). 지역 침수피해 특성에 따른 재해 회복력 지수 분석.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2(6), 55-67.
Hansol Mun, Mengying Li, Juchul Jung. (2022). Spatial-Tempora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ing Factors of Particulate Matter: Geodetector Approach, Land, 11(12), 2336
Mengying Li, Juchul Jung. (2022) Assessing Impacts and Determinants of Urban Sustainability in Improving Air Quality Based on Entropty Weight Method in Coastal Cities, Chin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장새움, 정주철, & 하경준. (2022). 소방서비스 분석을 통한 소방관서 입지분석 방법론 탐구: 골든타임 데이터를 중심으로. J. Korean Soc. Hazard Mitig, 22(5), 133-142.
Sunmin Jun, Mengying Li, Juchul Jung. (2022) Air Pollution(PM2.5) Negatively Affects Urban Livability in South and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19(20), 13049.
Kang, S., Lee, D., Park, J., & Jung, J. (2022). Exploring Urban Forms Vulnerable to Urban Heat Islands: A Multiscale Analysis. Sustainability, 14(6), 3603.
전선민, 윤정우, 박지용, 정주철 (2021). 도시 리버빌리티(Livability) 측정 지표 도출에 관한 연구: 주제범위 문헌고찰을 통해,「한국방재학회논문집」, 21(5):1-12.
박지용, 강승원, 전선민, 정주철 (2021).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따른 도시열섬의 형성 가능성 연구: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한국방재학회논문집」, 21(5):1-9.
Seungwon Kang, Jaeweon Yeom, Juchul Jung (2021). Urban Form and Natural Hazards: Exploring the Dual Aspect Concept of Urban Forms on Flood Damage, 「Sustainability」, 13(16), 9007.(SCI)
리멍잉, 정주철. (2021). 도시화 발전 수준이 대기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중국 31개 성・직할시(省・直轄市)를 대상으로, 「환경정책」, 29(3)
장새움, 염재원, 정주철. (2021). 도시형태가 자연재해 피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patial 2SLS를 이용하여. 「국토계획」, 56(2): 208-217.
염재원, 장새움, 하동오, 강승원, 정주철. (2021). 포스트 COVID-19 시대의 비대면 시민참여형 도시계획 비전수립 과정에 관한 시사점 고찰 : 부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6(1): 1-10.
강승원, 장새움, 박지용, 이달별, 정주철. (2021). 부산시 응급의료서비스 접근성의 지역 간 불균형 및 사회적 형평성에 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1(1): 35-46.
염재원, 강승원, 하동오, 정주철. (2020). “The Impact of Urban Form on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Focusing on COVID-19 Outbreak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환경정책」, 28(5): 73-95.
염재원, 하동오, 정주철 (2020). “도시계획과 환경영향평가 제도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시민 참여 확대 방안: 케냐 ODA 사업 사례를 바탕으로”, 「환경영향평가」, 29(5): 338-349.
박형준, 서세교, 이달별, 정주철. (2020). 침수지역 내 노인 인구의 취약성에 관한 사례연구: 부산시 기장군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0(4): 33-41.
장새움, 정주철 (2020). “Segmentation of Control Area and Land Fragmentation in Non-Urban Area: Focusing in Hwaseong”, 「국토계획」, 55(3): 17-28.
전선민, 박형준, 염재원, 김지현, 정주철 (2020). “연안지역 취약성을 고려한 리버빌리티(Livability) 분석”, 「환경정책」, 28(2): 21-48.
Juchul Jung, Jaeweon Yeom, Hyunsuk Shin, Youngsu Jang, Robert Paterson, Stephen Zigmund, Hyungjun Park (2020). “Applying Scenario Planning Technique to Urban Planning to Mitigate Natural Hazards: The Case of Myung-ji in Busan, South Korea”, 「Disaster Advances」, 13(4): 1-9
Hyungjun Park, Robert Paterson, Stephen Zigmund, Hyunsuk Shin, Youngsu Jang, Juchul Jung (2020). “The Effect of Coastal City Development on Flood Damage in South Korea”, 「Sustainability」, 2020, 12, 1854. (SSCI)
하동오, 정주철 (2020). "비구조적 접근을 통한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 사고 피해 저감 방안 연구: 토지이용계획을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0(1): 79-91.
염재원, 강승원, 정필성, 정주철 (2020). "광역 단위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의 공간적 범위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20(1): 61-70.
강승원, 이달별, 정주철 (2019). “도시개발 패턴이 자연재해 피해에 미치는 영향”, 「환경정책」, 27(4): 189-210.
박지용, 김시현, 전선민, 정주철 (2019). “스마트시티는 스마트하고 지속가능하게 성장하는가? 두 스마트시티계획의 스마트성장 및 지속가능한 성장 평가”, 「환경정책」, 27(S):17-49.
염재원, 박형준, 하동오, 이달별, 정주철 (2019). “연안지역주민의 위험 인식이 풍수해보험 가입 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9(5): 55-64.
박종식, 조성윤, 정주철 (2019). “환경갈등에 있어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 부산 사상구 주례 3지구 민간임대주택사업사례를 대상으로”, 「국토계획」, 54(4): 109-121.
Sunmin Jun, Jaeweon Yeom, Juchul Jung (2019). “The Impac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n Livability: Focusing on Urban Regeneration Priority Areas in South Korea”, 「환경정책」, 27(1): 27-54.
염재원, 정주철 (2019). “지진 발생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2016년 9월 12일 경주 지진 사례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54(1): 148-158.
Gyoungjun Ha, Juchul Jung (2018). “Applying conservation easement policy to river spaces to mitigate natural hazards in South Korea”, 「Natural Hazards」, 1-18. (SCIE)
박형준, 전선민, 정주철 (2018). “공공도서관 주변 공공시설이 도서관 서비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부모 이용객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3(4): 23-38.
박형준, 정주철 (2018). “GIS기반의 수계분석을 통한 현재 상수원보호구역 조정방안: 부산시 회동 수원지 사례연구”, 「환경정책」, 26(2): 99-119.
한승욱, 박형준, 정주철 (2018). “도시재생사업의 자연재해 예방기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18(4): 65-72.
서혜정, 정주철, 이달별 (2018). “지방정부 재정이 자연재해피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8(3): 381-390.
배경완, 박형준, 전선민, 정주철 (2018). “안전취약계층을 고려한 지진해일 긴급대피소 입지 적정성 평가”,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8(1): 113-123.
박형준, 하경준, 이달별, 정주철 (2017). “연안지역별 자연재해 위험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환경정책」, 25(3): 21-46.
하경준, 정주철 (2017). “도시화와 강우량이 도시홍수 피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2(4): 237-252.
하경준, 이달별, 정주철 (2017). “도시계획 비전수립에 있어 시민참여 과정 및 결과에 관한 시사점 고찰”, 「국토계획」, 52(1): 5-20.
Juchul Jung, Gyoungjun Ha and Kyungwan Bae (2016).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carbon emissions and absorption on a university campus – focusing on Pusa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Carbon Management」7(1-2): 55-65. (SSCI)
박배선, 정주철, 하경준 (2015). “도시계획과정에서 참여자의 역할에 따른 지속가능성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환경정책」, 23(4): 57-76.
배경완, 정주철 (2015). “상수원관리지역 주민지원사업에 있어서 중 · 장기계획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50(7): 75-86.
정주철 (2015). “도시계획가의 역할 인식에 관한 연구-부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국토계획」50(6): 21-32.
송슬기, 이달별, 정주철 (2015). “개발제한구역 해제에 따른 지역의 환경적 영향분석”, 「국토계획」50(6): 33-51.
김자은, 박형준, 이성호, 정주철 (2015). “풍수해저감종합계획의 제도적 개선방안 연구-국가차원의 종합계획 수립을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11(7): 35-49.
구유성, 이성호, 이달별, 정주철 (2015). “폭설 위험요인의 지역 유형화를 통한 설해 저감방안 연구 -부산광역시의 도로를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15(2): 393-398.
이달별, 정주철 (2015). “Evaluating the Rebuilding Policies for New Orleans after Hurricane Katrina”, 「한국위기관리논집」 11(4): 99-121.
강상준, 정주철, 이달별 (2014). “한국의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제도운영 개선방안 연구”, 「한국방재학회논문집」14(5): 395-406.
하경준, 정주철, 이달별 (2014). “도시개발사업에 있어서 비점오염원저감시설의 유형별 효율 비교연구”, 「환경정책」22(2): 183-201.
임용균, 정주철, 신현석, 하경준 (2014).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을 통한 비점오염원 저감 및 비용효율 분석에 관한 실증적 연구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환경복원녹화」17(2): 1-14.
Juchul Jung, Dalbyul Lee (2014). “ The Growth of Low Income Population in Floodplains: Austin, TX Case Study”,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8(2): 683-693. (SCIE)
정주철, 이달별 (2013). “Sustainable Flood Mitigation through Land Use Planning and Management”, 「한국방재학회논문집」 13(1): 361-369.
구유성, 이성호, 정주철 (2013). “도심의 설해취약지역 선정 및 위험도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33(3): 1077-1086.
강상준, 정주철 (2012). “수해지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토목학회」32(5D): 507-517.
정주철, (2012). “자연재해완화정책에 있어 계획의 제도적 영향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47(1): 223-242.
김동현, 정주철 (2011). “상수원관리지역의 토지이용가치 손실 평가에 관한 연구: 한강수계 하남시 상수원보호구역을 중심으로”, 「지방행정연구」25(3): 383-402.
김동현, 정주철 (2011). “다층모형을 활용한 상수원 관리지역 주민지원사업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31(3D): 469-476.
강상준, 정주철, 권태정 (2010). “도시유형에 따른 저탄소 도시계획요소간의 상대적 중요도”, 「환경정책」18(1): 27-52.
정주철, 박정일, 이달별 (2010). “환경친화적 토지이용계획수립을 위한 환경평가의 역할과 특성: 환경평가 검토의견분석을 중심으로”, 「환경복원녹화」13(2): 8-23.
정광석, 신해수, 정주철, 김익재, 최종윤, 정인철, 주기재 (2010). “공간분석 및 현장조사 평가기법을 활용한 4대강 강변저류지 조성 후보지 선정”, 「한국하천호수학회지」43(1): 44-54.
정주철 (2009). “상수원관리지역 주민지원사업에 관한 평가 및 정책적 시사점: 낙동강수계를 중심으로”, 「환경정책」17(3): 57-79.
정주철, 임재영 (2009). “환경갈등관리의 제도적 접근방안: 사회영향평가를 중심으로”, 「환경정책」17(1): 65-86.
정주철 (2008). “Evaluating the Effects of Sprawl on Evacuation Time: An Exploratory Analysis from Texas Coastal Counties”, 「한국방재학회논문집」8(3): 43-49.
정주철, 임재영 (2007). “사회영향평가의 원칙 및 지침에 관한 연구: 미국사례를 중심으로”, 「환경영향평가」16(1): 45-58.정주철 (2006). “신제도주의 모델을 이용한 재난완화 정책 채택의 요인에 대한 분석”, 「지역연구」22(2): 199-224.
정주철 (2006). “The Effectiveness of Land Use Planning in Hazard Mitigation: The experience in the 1994 Northridge earthquake”, 「국토연구」49: 93-108.
정주철 (2006). “From Environmental Movement to Smart Growth Policy: The Case of Austin, Texas” 「환경정책연구」5(1): 71-97.
정주철 (2023). 레질리언트한 도시형태를 위한 이론, 프레임워크, 실증, 가이드라인 연구: 기후변화 시대, 컴팩트한 도시형태가 대안이 될 수 있는가?, 한국연구재단, 연구기간: 2023.03.01 - 2024.02.29(2차년도)
정주철(2022), 메가시티 현황 분석과 균형발전정책의 진단평가와 과제, 한국환경연구원, 연구기간: 2022.08.02- 2023.08.01
정주철 외 (2021).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기후변화대응 탄소중립도시모형 개발 연구, 환경부, 연구기간: 2022.12.01.-2023.11.30(2차년도)
정주철 (2022). 레질리언트한 도시형태를 위한 이론, 프레임워크, 실증, 가이드라인 연구: 기후변화 시대, 컴팩트한 도시형태가 대안이 될 수 있는가?, 한국연구재단, 연구기간: 2022.03.01 - 2023.02.28(1차년도)
정주철 외 (2021). (기후변화특성화대학원) 기후변화대응 탄소중립도시모형 개발 연구, 환경부, 연구기간: 2021.12.01.-2022.11.30(1차년도)
신현석, 정주철 외 (2020). 녹색 융합기술 인재양성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기간: 2021.12.01-2022.11.30(2차년도)
정주철 외 (2021). 환경영향평가에 대한 효과성 평가 연구, 환경부, 연구기간: 2021.10.21-2022.06.20
정주철 외 (2021). 환경영향평가 공탁제 확대 타당성 검토 연구, 환경부, 연구기간: 2021.07.26-2021.12.24
정주철 외 (2021). 2050 탄소중립을 위한 부산광역시 기후변화대응계획 수립 용역, 부산광역시, 연구기간:2021.05.-2022.02.
정주철 (2020). 복합위험사회의 도시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도시계획 전문가 양성 교육팀, 한국연구재단, 연구기간:2020.09.01-2021.02.28
정주철 (2020). 부산광역시 도로건설 관리계획 수립 용역 중 시민협의회 부문, 부산광역시, 연구기간:2020.12.01-2021.01.31
신현석, 정주철 외 (2020). 녹색 융합기술 인재양성 특성화대학원 지원사업,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기간: 2020.10.01-2021.11.30(1차년도)
정주철 (2020). 2040년 부산도시기본계획수립 중 시민계획단 구성 운영, 부산광역시, 연구기간:2020.07.22-2020.10.31
정주철 (2020). 도시형태와 자연재해피해 간 영향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기본연구, 연구기간: 2020.06.01-2022.02.28
정주철 (2020). 스마트시티형 생활권계획을 위한 과학기술적 해법 모색 -도시쇠퇴 대응을 중심으로-, 부산산업과학혁신원, 연구기간:2020.04.01-2020.11.30
정주철 (2020). 기후변화 적응형 안전도시 구축을 위한 도시계획 전문인력양성, 교육부, BK21+ 사업, 연구기간: 2016.03. - 2020.08. (5차년도)
정주철 (2020). 기후변화 적응형 그린인프라 도시정책모형 개발 연구, 환경부∙한국환경공단, 연구기간: 2016.12.19-2021.12.18. (5차년도)
정주철 (2020). 청년도시재생사 일반과정 운영_부산재생학, 부산광역시, 연구기간:2020.03.26-2020.12.31
정주철 (2019). 균형발전을 위한 생활권계획(부산시범구역) 수립에 따른 퍼실리테이터 운영용역, 부산광역시, 연구기간:2019.11.26-2019.12.25
이태호, 정주철 (2019). 스마트 워터시티 구현을 위한 미래형 수처리 기술 및 스마트 워터 그리드 연구회, 부산광역시, 연구기간: 2019.10.07-2020.01.07
정주철 (2019). 도시 레질리언스 강화를 위한 도시계획 전문가 양성 교육연구단, 부산대학교, 연구기간: 2019.10.28-2020.06.04
이달별, 정주철 외 (2019).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사업 적정성 재검토 기획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기간: 2019.09.25-2020.03.24
이상돈, 정주철 외 (2019). LH환경경영체계 정립 및 친환경 개발 가이드라인 수립, 한국토지주택공사, 연구기간: 2019.08-2020.05
유재우, 정주철 (2019). 청년도시재생사 일반과정 운영_부산재생학, 부산광역시, 연구기간:2019.08-2019.12
정주철 외 (2019). 지역 안전수준 측정 프레임워크 개발 및 컨설팅, 행정안전부, 연구기간: 2019.06-2019.12.
정주철 외 (2019). 스마트시티 혁신인재육성사업, 국토교통부, 연구기간: 2019.03-2023.12.
정주철 (2019). 기후변화 적응형 안전도시 구축을 위한 도시계획 전문인력양성, 교육부, BK21+ 사업, 연구기간: 2016.03. - 2020.08. (4차년도)
정주철, 신현석, Robert G. Paterson (2019). 한국-미국 간 재난 및 그린 인프라 연구 교류를 통한 Envision Tomorrow Plus 개발 및 전문 인력 양성, 부산대학교 Global Star-5 연구시설 혁신사업, 연구기간: 2018.12-2020.01.
정주철 (2019). 몽골 울란바타르 대기질 개선을 위한 도시교통 정책모형 개발 및 인력 양성, 한국연구재단 2019 개도국 과학기술지원사업(기관간협력), 연구기간: 2019.01-2022.06.
정주철 (2019). 기후변화 적응형 그린인프라 도시정책모형 개발 연구, 환경부∙한국환경공단, 연구기간: 2016.12.19. - 2021.12.18. (4차년도)
정주철 (2018). 119구급대의 적정한 배치를 위한 정책연구, 부산광역시 소방안전본부, 연구기간: 2018.04-2018.09.
정주철 (2018). 기후변화 적응형 안전도시 구축을 위한 도시계획 전문인력양성, 교육부, BK21+ 사업, 연구기간: 2016.03. - 2020.08. (3차년도)
정주철 (2018). 기후변화 적응형 그린인프라 도시정책모형 개발 연구, 환경부∙한국환경공단, 연구기간: 2016.12.19. - 2021.12.18. (3차년도)
정주철 (2017). 기후변화를 고려한 연안지역 도시계획 레질리언스 강화 방안,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기간: 2017.11. – 2021.10.
정주철 (2017). 국가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수립방안 연구, 국민안전처, 연구기간: 2017.06. - 2017.12.
정주철 (2017). 기후변화 적응형 안전도시 구축을 위한 도시계획 전문인력양성, 교육부, BK21+ 사업, 연구기간: 2016.03. - 2020.08. (2차년도)
이달별, 정주철 (2017). 동구 안전관리 역량 강화 연구, 부산광역시 동구, 연구기간: 2017.07 – 2017.11.
노지현, 정주철 (2017). 공공도서관 리모델링 타당성 분석 및 실행모형 개발 연구용역, 부산광역시 교육청, 연구기간: 2017.04. - 2017.09.
정주철 (2017). 기후변화 적응형 그린인프라 도시정책모형 개발 연구, 환경부∙한국환경공단, 연구기간: 2016.12.19. - 2021.12.18. (2차년도)
신현석, 정주철 외 (2017). 한국형 그린인프라 수환경 성능검증 및 인증기술 개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기간: 2017.02.01-2017.12.31.
정주철 (2016). 기후변화 적응형 그린인프라 도시정책모형 개발 연구, 환경부∙한국환경공단, 연구기간: 2016.12.19. - 2021.12.18. (1차년도)
정주철 (2016). 기후변화 및 도시계획 시나리오에 따른 재해위험지역의 미래 자연재해 피해 영향분석,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분야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연구기간: 2016.07.01. - 2019.06.30. (1차년도)
정주철 (2016). 관리지역세분화 계획 이후 비도시지역의 파편적 개발현상에 관한 실증연구: 파편화지수에 따른 시계열 분석 및 공간적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이공학 개인기초연구지원사업, 연구기간: 2016.11.01-2019.10.31. (1차년도)
정주철 (2016). 기후변화 적응형 안전도시 구축을 위한 도시계획 전문인력양성, 교육부, BK21+ 사업, 연구기간: 2016.03. - 2020.08. (1차년도)
정주철 (2016). 국내 연안지역 자연재해 위험 인식 조사를 통한 레질리언스 정책 탐색 및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ology)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일반지원사업, 연구기간: 2014.11.01-2017.04.30. (3차년도)
정주철 (2016). 기후변화 및 지역별 복원탄력성을 고려한 지역별 방재역량 강화 연구, 행정안전부, 연구기간: 2016.05.01-2017.04.30
신현석, 정주철 외 (2016). 한국형 그린인프라 수환경 성능검증 및 인증기술 개발,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연구기간: 2016.05.20-2017.01.31.
이성호, 정주철 (2016). 강서구 명지동 3245-6번지 지구단위계획(건축물 지정용도) 변경 수행, 호산나교회, 2016.09.01-2016.12.31.
정주철 외 (2016). 기후변화에 따른 풍수해 대응 지역별 방재역량 강화연구개발, 국민안전처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 (4차년도)
정주철 외 (2015). 기후변화에 따른 풍수해 대응 지역별 방재역량 강화연구개발, 국민안전처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 (3차년도)
정주철 외 (2015). 지역사회의 사회적 취약성이 자연재해피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검증 및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방재정책 제안을 위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분야 신진연구자지원사업. (3차년도)
정주철 외 (2015). 국내 연안지역 자연재해 위험 인식 조사를 통한 레질리언스 정책 탐색 및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ology)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2차년도)
정주철 외 (2015). 부산대학교 학술림 마스터플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 부산대학교.
정주철 외 (2014). 지속가능한 캠퍼스를 위한 교통정책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정주철 (2014). 기후변화에 따른 풍수해 대응 지역별 방재역량 강화연구개발, 국민안전처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 (2차년도)
정주철 (2014). 국내 연안지역 자연재해 위험 인식 조사를 통한 레질리언스 정책 탐색 및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혼합연구방법(Mixed Methodology)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1차년도)
정주철 (2014). 집중강우 피해 저감을 위한 도시계획 용도지역별 LID요소중심의 환경설계 적용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일반연구자지원사업. (2차년도)
정주철 (2014). 지역사회의 사회적 취약성이 자연재해피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검증 및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방재정책 제안을 위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분야 신진연구자지원사업. (2차년도)
이성호, 정주철 (2014). 국가 풍수해저감 종합계획수립 개발, 소방방재청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 연구기간: 2014.04.02. -2015.04.01.
강정은, 정주철 (2014). 안전하고 품격있는 해수욕장 조성 마스터플랜 수립을 위한 기반연구, 해양수산부.
이종필, 정주철 (2014). 부산항 미항만들기 시행계획 수립용역, 해양수산부.
우신구, 정주철 (2014). 친환경 지속가능한 도시 조성 개발계획 수립, 부산시 서구·환경부.
강형식, 정주철 외 (2014). 국가 물안보 체계 구축을 위한 중장기 정책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주철 (2013). 집중강우 피해 저감을 위한 도시계획 용도지역별 LID요소중심의 환경설계 적용방안 연구, 한국연구재단 이공분야 일반연구자지원사업.
정주철 (2013). 지역사회의 사회적 취약성이 자연재해피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론적 검증 및 지역사회 특성을 고려한 방재정책 제안을 위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인문사회분야 신진연구자지원사업.
정주철 (2013). 기후변화에 따른 풍수해 대응 지역별 방재역량 강화연구개발, 소방방재청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
정주철 (2013). 해수면 상승 적응을 위한 연안 커뮤니티 레질리언스 고려 방안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기간: 2013.03.04-2014.09.30.
정주철 (2013). 홍수관련 레질리언스 확보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연구기간: 2014.08.14-2014.10.14.
이성호, 정주철 (2013). 국가 풍수해저감 종합계획수립 개발, 소방방재청, 연구기간: 2013.04.02-2014.04.01.
안재훈, 정주철 외 (2013).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친환경 LID 및 신재생에너지 기반시설구축 기술 연구, 한국연구재단.
최희선, 정주철 외 (2013). 2018평창동계올림픽 환경관리 마스터플랜 및 실행계획 수립 연구, 2018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안재훈, 정주철 외 (2012).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친환경 LID 및 신재생에너지 기반시설구축 기술 연구, 한국연구재단.
이성호, 정주철 (2012). 국가 풍수해저감 종합계획수립 개발, 소방방재청, 연구기간: 2012.04.02. - 2013.04.01.
조공장, 정주철 외 (2011) 사회영향평가 지표개발 및 운영가이드라인 마련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우신구, 정주철 외 (2011).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나노대학 대외홍보전략 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신현석, 정주철 외 (2011).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친환경 LID 및 신재생에너지 기반시설구축 기술 연구, 한국연구재단.
신현석, 정주철 외 (2011). 수자원 수급 전망에 따른 합리적 용수 배분 체계와 제도 개선,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주철 외 (2011). 부산 Envision Test Bed Project, 부산발전연구원.
정주철 (2011). 부산광역시의 재난/재해 분야의 기후변화 적응 대책 발굴 및 세부시행계획 수립, 부산발전연구원.
정주철 외 (2011). 부산대학교(부산캠퍼스) 그린캠퍼스 조성계획안: 그린캠퍼스 인증대비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정주철, 임업 (2011). 수변개발 및 하천공간 조성 유형별 주민의식 조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주철 (2009). 낙동강·금강·영산강수계 주민지원사업 추진결과 공동평가, 낙동강·금강·영산강수계관리위원회.
정주철 외 (2009). 저탄소 녹색도시 모델개발 및 기본구상 연구, 환경부 및 강원도.
정주철 외(2009). 환경평가를 고려한 토지이용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주철 외 (2009).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적절한 하천공간 확보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정주철, 이주희, 김동현 (2009). 오염총량관리를 위한 개발사업 및 사업장 비점오염원 최적관리방안 연구, 국립환경과학원.
정주철, 김동현 (2009). 상수원 관리지역 주민지원사업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환경부.
조공장, 정주철 외 (2008). 환경평가제도 30년의 성과분석과 발전방향,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박용하, 정주철 외 (2008). 국립공원 타당성조사 기준 및 자연공원 제도개선 마련, 환경부.
이재준, 목종훈, 이관규, 정주철 (2008). 지역개발사업의 사전환경성검토 및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제도 개선방안, 건설교통부.
정주철 외 (2007). 자연친화적인 자연재해완화정책에 관한 연구: 토지이용계획 및 관리를 통한 홍수피해완화방안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이상범, 정주철(2007). 생태축 분석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방법론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문유리, 정주철 외 (2007). 한-싱 지속가능한 개발 및 환경관리 과정, 한국국제협력단.
정주철 외 (2007). 2003~2005년도 낙동강수계 상수원관리지역 주민지원사업 평가, 낙동강수계관리위원회.
이영수, 정주철 외 (2007). 사업유형별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지침(안) 개발연구, 환경부.
권용우, 변병성, 정주철 외(2007). 도시계획의 환경성 검토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환경부.
최상기, 정주철 외(2007). 한강수계 주민지원사업 종합평가 (2000-2005년도), 한강수계관리위원회.
송영일, 김호석, 정주철(2007). 친환경적 홍수관리방안연구, 환경부.
정회성, 이관규, 정주철(2007). 국립공원내 집단시설지구 층고규제 개선방안, 국립공원관리공단.
최상기, 정주철 외 (2006). 2005년도 금강수계 상수원관리지역 주민지원사업평가, 금강수계관리위원회.
유헌석, 이상범, 정주철(2006). 행정복합도시 광역도시계획수립(환경계획부문), 국토연구원.
Paterson, P. Handy, S., Bhat, C., Kockelman, K., Song, J., Rajamani, J., Banta, K., Desai, U., Waleski, J. and Juchul Jung (2004). Techniques for Mitigating Urban Sprawl CTR Report 0-4420-2, Final Research Report Austin TX: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
Paterson, R, Robert H. W., and Juchul Jung (2003). Innovative Initiatives in Growth management & Open Space Preservation. A National Study, Policy Research Project Report. Austin TX: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Lyndon B. Johnson School of Public Affairs.
Handy, S., Paterson, R., Bhat, C., Kockelman, K., Song, J., Rajamani, J. and Juchul Jung (2002). Techniques for Mitigating Urban Sprawl CTR Report 0-4420-1, Research Report I Austin TX: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
Lindell, M. K., Sanderson, W. G., Hwang, S. N., Wu. J. Y., Lee, H. M., Jeong, C. H. and Juchul Jung (2000). Local Emergency Management Agencies’ Use of Hazard Analysis Information College Station TX: Texas A&M University Hazard Reduction & Recovery Center.
국정기획위원회 자문위원
2025년도 제1회 경상북도 지방공무원 공개경쟁임용시험 시험위원
2025년도 제1회 인천광역시 지방공무원 임용 필기시험 문제 출제위원
부산광역시 북항재개발 범시민추진협의회 위원(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29대 이사(현)
동래구 재해영향평가심의위원회 위원(현)
낙동강유역환경청 환경영향평가전문가 자문단 위원(현)
부산도시공사 도시재생 자문위원회 위원(현)
금정구 금정구 2050 탄소중립 녹색성장위원회 위원(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28대 신임 지역부회장(현)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편집이사(현)
한국수출입은행 EDCF 환경사회자문회의 자문위원(현)
해양수산부 해역이용영향검토 자문위원(전)
부산광역시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원(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부회장(지역) 상임이사, 부울경지회 지회장(전)
한국방재학회 학술위원장(전)
환경부 자체규제 심사위원회 위원(전)
부산교통공사 재산심의위원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미래유산보존위원(전)
해운대구 재해영향평가심의 위원(전)
지방소멸대응기금심의위원회 광역지원계정 심의위원(전)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국제이사(전)
부산광역시 북항재개발 범시민추진협의회 위원(전)
해양수산부 부산항 북항통합개발추진협의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제3대 민간공원조성 특례사업 라운드테이블 위원(전)
한국자산관리공사 공공개발 자문위원(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방재안전분과위원회 위원장(전)
부울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운영위원(전)
글로벌 ESG 포럼 ESG전반 분야 조직위원(전)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학술위원장(전)
한국지역학회지 「지역연구」편집위원(전)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사회영향평가포럼 위원(전)
부산광역시 지역혁신협의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강서구 경관위원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남구 경제기반형 도시재생 활성화 계획 수립 용역 자문위원(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편집위원(전)
행정안전부 기후재난 전문가 협의체 위원(전)
부산광역시의회 의정 자문위원(전)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자문위원(전)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포용성장분과 자문위원(전)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지속가능분과 자문위원(전)
부산광역시 북항 통합개발연계 도심재창조 마스터플랜 자문위원(전)
경상남도 사전재해영향성검토 위원회 위원(전)
경상남도 재해영향평가 심의위원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기장군 경관위원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정책연구용역심의위원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도시계획정책자문단 위원(전)
한국방재학회지 국문논문집편집위원회 편집위원(전)
한국지리정보학회 이사(전)
한국지역학회 이사(전)
행정안전부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검토위원(전)
충청북도 풍수해저감종합계획 협의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기후변화적응협의회 자문위원(전)
부산광역시 학술용역심의위원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건축정책위원회 위원(전)
울산광역시 북구 도시계획위원회 위원(전)
부산대학교 국제화위원회 위원(전)
한국연구재단 국책연구본부 공공기술 분야 전문위원(RB) (전)
국토교통부 지역혁신 컨설팅 자문단(전)
부산광역시 기업형임대주택 통합 심의위원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도시계획위원회 위원(전)
부산항만공사 제4기 기술자문위원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도시계획위원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민선7기 부산시장직 인수위 스마트도시 분과위원(전)
한국토지주택공사 기술심사평가위원(전)
부산광역시 도시∙건축 공동위원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공공주택통합심의위원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미래전략자문단 명품도시 워킹그룹자문단 위원(전)
부산광역시 「제1, 2기 시민계획단」분과위원장(전)
부산광역시 건축위원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수영구 도시계획위원(전)
부산광역시 시민계획단 분과위원장(균형도시 분과) (전)
국민안전처 지역안전도 진단 중앙진단반 위원(전)
낙동강유역환경청 자연경관심의위원(전)
국민안전처 풍수해저감종합계획과정 강사(전)
부산광역시 미술작품 심의위원회 위원(전)
양산시 도시경관위원회 위원(전)
부산대학교 입학사정관전형 위촉사정관(전)
부산대학교 미래발전위원회 위원(전)
낙동강유역환경청 환경성평가검토자문단 자문위원(전)
부산광역시 건설기술심의위원회(도시계획분야) 위원(전)
부산광역시 도시균형발전위원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창조도시정책자문위원(전)
부산광역시 발전협의회 위원(전)
부산광역시 교통영향분석 및 개선대책 심의위원회(전)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편집위원(전)
KEI 학술지「환경정책연구」편집위원(전)
서울시 강서구 도시계획위원회 위원(전)
서울특별시 투자심사위원회 심의위원(전)
인천광역시 환경영향평가 심의위원(전)
국토해양부 전략환경평가위원회 위원(전)
환경부 기업도시 환경성평가단 평가위원(전)
환경부 지방자치단체 환경보전계획 수립지원단 자문위원(전)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대상분야 환경도시 평가위원(전)
재정경제부 경제자유구역 추가지정 평가단 평가위원(지속가능한 발전부문) (전)
07’IAIA (국제환경영향평가학회) 추진위원회 위원(전)
경기도 하남시 환경성검토협의회/도시개발위원회 위원(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