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계약마다 해약시의 예고기간이 정해져 있습니다.
다 똑같이 설정이 되어있는 것은 아니므로, 반드시 계약시 설명을 잘 듣고 기억해 주세요.
일반적으로는 1달~2달전, 혹은 40일, 50일전 이런식으로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해약 예고기간이 지켜지지 않는 경우는 안지켜진 기간의 월세도 발생하므로 계약상의 해약예고기간에 맟춰 늦지 않게 미리 부탁드립니다.
해약 통보는 서면, 인터넷 웹으로 통지등 각 관리회사마다 다르기 때문에, 이또한 계약시에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해약일을 설정하실때에는 단기해약위약금의 유무도 확인을 해주세요.
1년이내 인지 1년미만인지에 따라서도 해약일을 잘못 설정하면 위약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일 좋은 방법은 관리회사의 확인을 받고, 해약일을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보증회사는 집계약이 끝나면 자동적으로 해약이 되기 때문에, 직접 연락할 필요는 없어요.
집 해약이 잘 접수되었는지도 팩스 등으로 신청한 경우에는 확인을 부탁드려요.
팩스등의 오류로 관리회사에 전달되지 않아 접수가 안되어 트러블이 일어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해약이 접수가 되면, 관리회사와 연락을 주고 받아 실제 퇴실날을 정하고 그 날에 룸체크를 하고 열쇠를 반납 후, 퇴실이 되십니다.
화재보험은 집 계약과 동일하게 2년계약인 경우가 많습니다.
월마다 계약인 경우에는 집 계약해지와 동시에 해약이 되는 경우가 많아요.
2년 계약인 경우, 화재보험도 집 해약일과 맞춰서 해약을 해주세요.
남아있는 기간의 보험금이 일부 되돌아오는 경우가 있어요. 계약시에 화재보험증서등 고객ID를 갖고 웹페이지에서 절차를 밟을 수 있습니다.
전기, 가스, 수도도 해약이 필요합니다.
전화 혹은 인터넷 웹페이지, 어플등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개통 당시에는 라피스홈즈에서 대부분 도와드렸던 부분이지만, 해약시에는 고객번호등이 필요하며 개인정보방침때문에 대리신청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아요.
해약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퇴실후에도 계속하여 본인의 명의로 요금이 발생합니다.
인터넷등도 가입이 되어있으시다면 해약 혹은 이전을 해주세요.
퇴실시에는 원래 있던 설비의외의 본인의 소유물은 전부 없는 상태로 해주셔야 합니다.
가구등의 대형쓰레기는 소다이고미(粗大ごみ)로 처리하여 처분하셔야 하며, 구청등의 웹사이트에서 버릴 날을 예약하고, 편의점에서 粗大ごみ処理券(쓰레기 처리권) 스티커를 사서, 버리시는 날 붙이고 내놔주시면 됩니다. 다음 날 바로 버리실 수 있는게 아니므로, 2달전부터 처리할 것은 미리 계획하여 웹사이트등에서 예약을 하고 처리를 해주세요.
냉장고, 티비, 세탁기등의 중대형 가전은 위와 같은 대형쓰레기 처리 방법으로 버릴 수 없고, 각 구청등에서 지정한 리사이클 업자와 마찬가지로 예약을 하고, 당일 현금으로 납부하여 처분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대략 품목당 6천엔~이 발생하기 때문에 다른 분께 양도할 수 있는거면, 미리 찾아봐주시는게 좋아요. 중대형 가전처분도 미리 2달전부터는 예약을 해주셔야 원활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귀국 혹은 다른 지역으로의 이사인 경우, 전출신고가 필요합니다.
14일전부터 가능하며, 귀국의 경우에는 각종세금의 정산도 이때 하시게 됩니다.
전출신고를 하지 않고 공항에서 완전귀국처리를 하게 되면 보험도 자동적으로 해지가 되지만, 구청등의 관할공관에서 신고를 하시는게 좋아요.
가끔 보험료등 초과해서 납부한 금액이 되돌아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일본에서의 생활을 정리하고 귀국하는 경우 은행계좌도 해약을 해주세요.
다만, 시키킹이나 되돌려받을 금액이 있는 경우에는 남겨놓으시는게 좋습니다.
핸드폰도 귀국일에 맞춰 필요에 따라 해약을 해주세요.
임차인은 퇴실할 때, 처음 빌렸던 그 당시의 상태로 원상회복을 하여 퇴실해야 하는 원상회복의 의무를 갖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집이 아무리 깨끗하더라도, 아무리 짧게 지냈다 하더라도 퇴실시에는 기본클리닝 비용이 발생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에어컨 클리닝비용도 청구를 하는 경우가 있고,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입니다.
기본 클리닝으로 커버할수 없는 임차인의 고의나 과실로 인해 발생한 데미지나 오염등의 원상회복비용은 별도로 청구되십니다.
퇴실시 원상회복비용으로 자주 청구되는 항목
・벽지 도배/교환비용
흡연, 향초, 아로마등에 의한 벽지 변색/냄새 베임 (벽지 전체 도배로 4~50만엔 청구되실수 있어요.)
이사 혹은 가구를 옮길 때 벽지에 생겨버린 스크래치나 흔적, 벗겨짐등
벽에 뚫은 못/나사 구멍
부엌쪽의 기름때
결로를 방치해서 생긴 곰팡이, 얼룩
낙서로 인한 훼손, 오염
애완동물 사육으로 인한 훼손, 오염
・바닥 수리/교환비용
이사 혹은 가구를 옮길 때 생겨버린 스크래치나 파임
바퀴달린 의자등으로 인한 스크래치나 파임
냉장고 밑이 녹슬어서 바닥에 오염되어 청소로 안 지워지는 경우
음식물/음료수를 흘려 생겨버린 얼룩이나 곰팡이
낙서로 인한 훼손, 오염
애완동물 사육으로 인한 훼손, 오염
・열쇠분실
열쇠를 분실하는 경우에는, 열쇠교환비용이 청구되십니다.
・에어컨 리모컨등의 분실
에어컨 리모컨등도 설비에 포함되므로, 분실한 경우 별도 비용이 발생합니다.
・세탁기와 하수구를 연결하는 L자형 파이프의 분실
세탁기 처분과 함께 같이 버리시는 분이 많으신데, 보통 1천엔 정도로 청구가 되십니다.
・각종설비 취급설명서의 분실
신축 혹은 고급주택인 경우 설비취급설명서가 파일로 묶여진게 있는데, 퇴실시에 버리는 경우는 별도 비용이 청구될 수 있습니다.
・에어컨 청소비용
필터등의 청소는 에어컨을 사용하는 계절에는 2주에 한번씩은 해주세요. 퇴실시 비용이 청구되실수 있습니다.
흡연을 하실 경우, 에어컨 내부세정비용도 별도 청구되실 수 있어요.
・가스렌지/레인지후드 (환기팬)의 기름때
다이소등에서 파는 필터를 사용하여 관리를 해주시면 청소도 편해져요. 기름때 등이 굳어서 청소로는 제거할 수 없는 경우 별도 비용이 발생합니다.
・욕실 거울의 물때
욕실거울의 물때는 퇴실시 청소를 해도 지워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니, 사용시에는 수시로 청소를 해주세요. 보통 5천엔 정도로 청구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수관 막힘
머리카락등 때문에 막혀버릴 경우에는 2~3만엔 정도의 하수관 뚫는 비용이 청구될 수 있습니다. 다이소에 파는 필터를 사용하여 관리를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