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교과서 환경 분석
디지털 교과서 활용 환경 구축이 확대되고 있고 국민적 관심사도 높아지고 있음
미국, 캐나다, 독일, 중국 등 주요 국가들에서는 최신의 에듀테크 활용 교육이 확대되고 있음
현재의 디지털교과서는 서책을 기반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서책 교과서의 내용과 차별성이 부족하다는 약점을 지니고 있음
디지털 교과서의 내용이 다른 자료들과 차별화되지 못하거나 효과적이지 못한 점은 약점으로 지적
디지털교과서 연구의 필요성
2007년 추진하여 2008년~2013년 원형 개발 진행, 2014년~2019년 연구 학교 시범 적용 단계 거쳐 2018년 일반 학교 적용 시작
자기주도 학습력, 창의력, 정보 활용 능력, 협업 능력 등 학생의 미래 역량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남
최근 디지털교과서 활용 학교 수가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디지털교과서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및 공감대 형성도 점차 확대되고 있음
2022년 개정 교육과정을 대비하기 위한 교사 그룹의 연구 필요성 대두
디지털교과서 전반에 관한 검토와 분석을 위한 테스크포스 구축을 위한 디지털 교과서 핵심 교원 연수 등이 함께 준비되어야 함
디지털교과서 개념도(KERIS,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