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평가로 유럽 중세 시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해야하는데, 인터넷 블로그에 있는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서 써야지.
과학 보고서에 여러 논문 자료를 활용해서 썼는데 어디서 뭘 활용했는지 기억이 안 나네. 귀찮으니까 활용한 논문이 어떤 것들인지 굳이 안 밝혀도 되겠지?
블로그에 우리 동네 맛집 'OO분식'에 대해 쓸건데, 조회 수를 높이려면 사실과 다르더라도 과장되게 써야겠어.
인터넷 게시판 댓글은 내 의견을 표현하는 곳이니까, 다른 사람은 고려하지 않고 내가 쓰고 싶은 대로 다른 의견을 비난하거나 조롱하는 글을 써도 되겠지?
장안중 친구들은 글을 쓸 때, 위와 같은 생각을 한 적이 있나요? 혹은 생각만한 게 아니라 이처럼 행동한 적이 있나요? 안타깝게도 위의 생각과 행동들은 모두
쓰기 윤리에 어긋나는 것들이랍니다.
사진 출처 : https://pixabay.com
쓰기 윤리란 필자가 글을 쓰는 모든 과정에서 지켜야 하는 윤리적 규범을 뜻합니다. 글을 쓰는 모든 과정이란 주제의 선정부터 자료 수집하기, 글의 구조 세우기, 표현하기, 고쳐쓰기를 포함합니다. 이와 같은 글쓰기 과정 전반에 걸쳐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지켜주어야 해요.
1.정직하게 쓰기 : 표절하지 않기, 출처 명확하게 밝히기
2. 진실하게 쓰기 : 필자의 생각과 일치하는 글쓰기
3. 사실대로 쓰기 : 과장, 조작, 왜곡 없이 사실대로 글쓰기
4. 배려하며 쓰기 : 예상 독자의 입장, 생각, 감정 등을 배려하며 쓰기
자료 출처 : 가은아(2009). 중고등학생을 위한 쓰기 윤리 교육의 방향과 지도 방안. 작문연구(8), pp.231-250.
사진 출처 : https://pixabay.com
글은 필자와 독자가 문자를 통해 의사소통을 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글은 필자와 독자가 속한 공동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답니다. 따라서 타인의 권리를 보호하고 피해를 끼치지 않고 윤리 규범을 지켜 글을 작성해야 한답니다.
올바르게 인용하고 명확하게 출처를 표기하는 것은 글쓴이의 기본적인 정직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표절, 왜곡, 과정으로 이루어진 글이 사회에 통용될수록 그 사회는 나쁜 영향을 받아 거짓과 위선에 휘둘리게 된다.
정직하지 않은 글쓰기는 공정한 평가를 왜곡할 수 있다. 다른 사람이 많은 시간을 들여 작성한 글을 적절하게 출처 표기를 하지 않고 가져다 쓰는 표절 행위는 정직하게 글쓰기를 하는 학생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다.
자료 출처 : 이인재 외 7명(2018). 초중등학교 교육을 위한 표절예방 가이드라인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p.126.
사진 출처 : https://pixabay.com
쓰기 윤리를 지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행동들을 지켜주세요!
조사한 자료를 왜곡하거나 과장하지 않고 사실에 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서술하여야 합니다.
다른 사람이 작성한 글이나 자료를 그대로 베끼지 않아야 합니다.
다른 사람이 작성한 글을 직접 인용할 때 반드시 인용 부호(" ")을 하고 출처를 표기합니다.
다른 사람의 글을 요약하거나 말바궈쓰기를 할 때 반드시 출처표기를 해야 합니다.
공동으로 글을 쓴 경우 참여한 사람을 모두 글쓴이로 표기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과 대화를 통해 얻은 중요 아이디어에 대해서도 고마움을 표시해야 합니다.
자료 출처 : 이인재 외 7명(2018). 초중등학교 교육을 위한 표절예방 가이드라인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pp.126-127.
사진 출처 : https://pixabay.com
표절 : 일반 지식이 아닌 다른 사람이 쓴 글이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적절한 출처 표기 없이 자기 것처럼 부당하게 사용하는 행위를 뜻합니다.
가. 이미 발표된 타인의 독창적인 아이디어나 글을 활용하면서 출처를 표기하지 않은 경우
나. 외국어로 된 타인의 글을 번역하여 활용하였으면서도 출처를 표기하지 않은 경우
다. 타인이 쓴 글을 말바꿔쓰기나 요약하면서도 출처를 표기하지 않은 경우
조작 : 관찰, 실험, 설문조사, 인터뷰, 문헌 조사 등을 통해서 나타나지 않은 자료나 내용을 실제로 있는 것처럼 거짓으로 쓰는 행위를 뜻합니다.
가. 설문조사나 인터뷰를 하지 않았으면서 실제로 한 것처럼 허위로 제시하는 경우
나. 실험 및 관찰을 통해 나타나지 않은 자료를 실제로 있는 것처럼 제시하는 경우
왜곡 : 자료, 조사 과정이나 결과 등을 제멋대로 변형(추가 또는 삭제)하여 기술하는 행위를 뜻합니다.
가. 연구 자료나 내용 중 분형하지 않은 것을 의도적으로 그릇되게 설명하는 경우
나. 연구 자료나 내용을 선택적으로 축소, 생략, 변형하여 사실과 다르게 기술하는 경우
과장 : 자료나 조사 과정이나 결과 등을 사실과 다르게 부풀려 기술하는 행위를 뜻합니다.
가. 실제로 한 것보다 횟수나 내용을 부풀려 서술하는 경우
나. 의도적으로 경험이나 생각을 그럴 듯하게 꾸며서 서술하는 경우
자료 출처 : 이인재 외 7명(2018). 초중등학교 교육을 위한 표절예방 가이드라인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pp.127-128.
사진 출처 : https://pixab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