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통신이론 관련
대표논문 ("On the General BER Expression of One and Two Dimensional Amplitude Modulations," IEEE Transactions on Communications, Vol.50, No.7, Jul. 2002)이 현재까지 1240 회 이상 피인용 되고 있으며, 해외 주요 통신 서적 및 MATLAB 등에 PAM 및 QAM의 BER 성능 기준식으로 채택되어 제시되어 있음.
- http://www.mathworks.com/help/toolbox/comm/ref/berawgn.html ref[2]
- http://www.mathworks.com/help/toolbox/comm/ref/berfading.html ref[3]
2. 이동통신 관련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삼성전자, LG전자 등과 Mobile WiMax (WiBro), LTE-Advanced 등 최신 이동통신 관련 여러 연구과제를 수행하였으며, 우리 연구실이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같이 개발한 비트 매트릭 계산 방법이 Wibro 시스템에 적용되어 있음.
3. 자동차 IT 관련
Connected Vehicle 개발에 필수적인 차세대 ITS 통신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자동차 IT 융합연구로 진행하고 있으며 정보통신산업진흥원 IT 자동차 융합 고급인력 양성센터(CITRC) 참여 등을 통한 장기적인 자동차 IT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4. 국방통신 관련
LiG Nex1, 한화시스템 등 국내 방위사업체와 어자일 패턴 생성, 고속 항재밍 전술 데이터 링크, 저피탐 신호 파라미터 추정 및 복원 기술 등 여러 국방 통신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국방과학연구소와 파라미터 가변형 레이더 신호 처리 등 장기적인 국방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5. 위성 및 우주통신 관련
우주통신 관련하여 교육과학기술부 국가우주연구실(National Space Laboratory)로 채택되어 국내 최초로 달 탐사를 위한 통신 시스템 기술 연구를 진행하고 있음. 또한 위성통신 및 방송 관련하여 국내 최초로 디지털 위성방송을 위한 계층적 변조 등의 연구를 이미 10여 년 전에 한국전자통신연구원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학연협력사업 성과창출형 과제로 다중대역/다기능 위성통신 플래폼 개발 등 굵직한 위성/우주 관련 연구 과제를 수행함.
6. 신호정보 관련
미지의 신호 복원을 위한 통신신호 파라미터 블라인드 추정, 미지의 텔레메트리 분석 기법등에 대하여 국방과학연구소 등과 기초 연구 개발에 성공하여 전자전 장비에 응용될 토대를 마련함. 특히 2015년부터 2020년까지 총 125.1억의 연구비가 투입되는 방위사업청 신호정보 특화연구센터(Signal Intelligence Research Center) 주관기관으로 선정되어 국가전략정보인 신호정보에 대한 국내연구를 선도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