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브로 `음성`탑재 논의 급물살
새로운 형태의 휴대인터넷전화 도입 통해
경쟁촉진 요소 추가ㆍ요금인하 유도 '복안'
이동통신 요금인하를 유도하기 위한 중장기 과제로 와이브로서비스에 음성을 지원하는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13일 정보통신부 및 통신업계에 따르면, 이 달 말까지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보고될 통신요금인하 방안 가운데 이동통신 재판매(재판매의무화법), MVNO 뿐만 아니라 와이브로 음성지원 내용이 추가될 것으로 알려졌다. 새로운 형태의 휴대인터넷전화(MVoIP) 도입을 통해 현재 이동통신 3사간 경쟁구도에 새로운 경쟁요인을 추가하겠다는 포석인데, 향후 와이브로를 기반으로 한 이동전화서비스가 현실화 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정통부 관계자는 "요금인하 방안에는 단기적인 처방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으로 이통요금 인하를 유도할 수 있는 대책들이 모두 망라될 것"이라면서 "휴대 인터넷전화 등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조기에 도입하는 방안도 담길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와이브로 음성지원 문제가 `이동통신 시장변화나 와이브로 산업활성화'라는 중장기적인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와이브로에 음성탑재로 요금인하 경쟁촉진=이는 차기정부가 직접 이동통신 요금체계에 직접 손을 대기보다는 경쟁촉진을 통해 시장 친화적으로 요금인하를 유도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주무부처 역시 경쟁촉진을 위한 정책마련에 주안점을 두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정통부는 그동안 "와이브로에서의 음성지원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면서 유보적인 입장을 나타내 왔는데, 경쟁촉진, 통신요금 인하 공약을 앞세운 신 정부가 들어서면서 정책적인 변화가 이뤄지고 있는 셈이다.
통신업계는 휴대인터넷 전화 도입논의를 계기로, 와이브로 서비스 및 산업촉진을 위한 큰 그림이 그려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현재 기술적으로 와이브로를 통한 음성지원에 큰 문제가 없는 만큼 이를 국내에서 선도적으로 시행할 경우, 이동통신 시장내 경쟁을 촉진하는 효과는 물론 관련 업체들의 해외 시장진출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기술 도입에 전향적 자세 필요=삼성전자 한 임원은 "와이브로에서의 음성지원은 규제정책 이슈만 해결되면 당장에라도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수준"이라며 "구글이 이동통신시장에 진출하겠다고 선언하는 등 세계 통신시장 자체가 격변하는 상황에서 국내에서도 와이브로 음성서비스 지원 등의 새로운 서비스, 신기술 도입에 보다 전향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노키아를 비롯해 글로벌 단말기업체들도 와이브로(모바일와이맥스) 음성지원 단말기 개발에 나서겠다고 밝힌 만큼,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차원에서도 국내에서 먼저 음성서비스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정통부와 와이브로 관련업체들은 지난해 말 와이브로 활성화 추진협의회를 구성하고 KT, SK텔레콤 등 와이브로 업체들의 조기 인프라 투자를 유도하고 웨이브2 신기술 장비 상용화, 신규 와이브로 사업자 선정, MVNO 제도도입 등을 논의 중이다.
최경섭기자 ks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