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달착륙선 국내 첫 개발...시연 성공!
우주로 향하는 꿈을 실현할 수 있는 원천 기술인 달착륙선이 우리 연구진에 의해 개발돼 시험에 성공했습니다.
우주 선진국들이 기술이전을 기피하는 핵심기술의 자체 개발로 우리의 달 탐사를 획기적으로 앞당길 것으로 기대됩니다.
굉음과 함께 달착륙선이 솟아올랐다가 사뿐히 내려앉습니다.
무게 25㎏, 엔진은 최대 350N까지 출력을 제어할 수 있습니다.
중력이 지구의 1/6에 불과한 달 표면에 20㎏ 이상의 무게를 착륙시킬 수 있는 능력입니다.
KAIST 권세진 박사팀이 국내 벤처기업과 공동으로 개발한 달착륙선이 시험 가동에 성공했습니다.
달착륙선은 달 탐사를 위해 필수적인 장치이지만 로켓기술과 함께 우주 선진국들이 원천적으로 기술이전을 기피하고 있는 우주 핵심 기술입니다.
[인터뷰:안성용, KAIST 항공우주공학과 박사과정]
"촉매반응기 등을 개발해 개발했습니다."
연구팀은 6년에 걸친 연구 끝에 추력 조절이 가능한 우주선 엔진을 개발했고, 이를 달착륙선에 장착한 시험에 성공했습니다.
최대 350N의 추력을 낼 수 있는 액체추진제 로켓엔진이 장착돼 있고, 국내 벤처기업이 개발한 고성능 추진제 밸브가 장착돼 추력제어가 가능합니다.
엔진의 추진제로 친환경 액체 추진제가 사용돼 선진국에 비해 개발 비용도 절반 수준이면 가능해 경제성도 뛰어납니다.
미국 NASA가 국제 달탐사 네트워크용으로 개발중인 달착륙선 한 기의 개발비용이 1억 달러 수준이지만 우리의 경우 5,000만 달러면 개발이 가능하다는 설명입니다.
[인터뷰:권세진,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촉매반응기를 포함한 모든 부품을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했고 경제성도 좋습니다."
무게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강성을 높인 최신 설계기법이 적용된 우리의 달착륙선.
KAIST는 지금보다 효율이 2배 이상 향상된 저장성 이원추진제 로켓엔진 개발과 함께 1,000N까지 추력을 제어할 수 있는 달 탐사선 엔진 개발에 착수했습니다.
출처: YT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