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RI, 웹기반 스마트카 국제표준 선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원장 김흥남)은 웹(Web)기술 국제표준화 단체인 월드와이드웹 컨소시엄(W3C)에 연구진이 에디터에 선정됐으며, 두 건의 표준권고안에 대해 개발을 본격 시작했다고 14일 밝혔다.
ETRI의 성과는 서비스융합연구실 이원석(42) 박사에 의해 주도 되었으며 관련 내용은 W3C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다. 이 박사는 `차량 정보 접근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와‘차량 데이터 인터페이스’등 2건의 표준 초안에 대해 에디터십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웹과 관련된 국제표준화 단체인 W3C는 지난 2013년 2월, 오토모티브 비즈니스 그룹(BG)을 만들어 그동안 국내 자동차 업계를 비롯, 세계의 많은 완성차 업체들이 참여하여 자동차 업계에서 필요한 요구사항 도출 및 기술문서를 개발한 바 있다. 이를 바탕으로 올해 초 W3C는‘오토모티브 워킹그룹’을 신설, 본격적인 표준 개발이 시작됐다.
운전자들은 웹과 통신하면서 날씨, 교통정보, 주차 등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으며 향후 자동차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기반으로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ETRI 창의미래연구소 표준연구센터 이승윤 서비스표준연구실장은 “웹 기반 커넥티드카 표준은 그동안 월드모바일콩그레스(WMC), CES 등 세계유수 전시회의 단골메뉴였다. 이처럼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커넥티드카 시장에서 우리나라 주도로 핵심 표준 개발을 추진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말했다.
ETRI는 앞으로도 국내 주요 기업들과 협력하며 웹 기반 글로벌 커넥티드카와 차량 사물인터넷 분야 핵심 기술표준을 선도할 수 있도록 더욱 더 노력할 계획이다.
커넥티드카 시장은 향후 매우 빠르게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로 시장조사업체인 IHS에 따르면 지난해, 2300만대에서 오는 2020년, 1억5200만대로 성장할 전망이다.
출처 :
http://www.i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2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