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Papers (KCI & SSCI)
주재원 & 나보라. (2009). 올드미디어는 뉴미디어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언론과 사회>, 17(2), 2-48.
주재원. (2011). 디지털 방송 전환의 효율적 추진 방안에 대한 연구: 영국의 지상파 디지털 전환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9(2), 1-13.
주재원. (2013). 공익광고의 종교적 커뮤니케이션 요소에 관한 연구: IMF 외환위기 당시 공익광고 중심으로. <지역과 세계>, 37(1), 95-117.
주재원. (2014). 방송포맷산업에 대한 연대기적 고찰: 영국 방송포맷산업의 사회역사적 배경을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2(6), 559-568.
Jaewon Joo. (2014). Representation of Others in TV Contents.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8), 40-49.
Jaewon Joo. (2014). Conceptualising Korean Nationalism: Focusing on the Modern History and Societal Context. Journal of Korean Culture, vol. 26, 287-313.
주재원. (2014). 다문화 뉴스 제작 관행과 게이트키핑의 문화정치학.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0), 472-485.
주재원. (2014). 다문화 담론 이면의 타자와 미디어 윤리. <커뮤니케이션 이론>, 10(4), 443-475.
Jaewon Joo. (2015).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discrimination: The representation of migrants in the Korean public service broadcasting news. Asian and Pacific Migration Journal, 24(2), 213-231.
주재원. (2015). 매체 서사로서의 역사와 집합기억의 재현. <한국언론정보학보>, vol. 71, 9-32.
조성동 & 주재원. (2016). 다매체 시대 라디오 방송 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적 제언. <방송통신연구>, vol. 93, 137-167.
Jaewon Joo. (2016). ‘Others’ as Mimesis and ‘Multiculturalism’ as Diegesis.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 503-514.
주재원. (2017). 민주화 이후 한국 언론의 반공 담론 연대기. <언론과 사회>, 25(3), 158-220.
주재원. (2018). 매개된 북한이탈주민과 타자화의 문화정치: KBS와 TV조선의 뉴스 보도를 중심으로. <지역과 세계>, 42(1), 5-40.
주재원. (2018). 사회기술적 상상체로서의 원자력과 미디어 담론. <한국언론정보학보>, vol. 89, 81-118.
주재원, 김부열 & 정종우. (2019). 북한이탈주민들의 미디어 이용과 사회자본 : 신뢰도, 네트워크 그리고 적응도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3(4), 45-82.
주재원. (2019). 디지털 시대의 공영방송 뉴스 전략: BBC의 ‘Digital First’ 사례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7(9), 13-22.
주재원 & 김한울. (2020). 경제뉴스는 왜 불편한가? -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권별 경제뉴스의 감성분석. <문화경제연구>, 23(2), 279-304.
주재원. (2020). 만들어진 지역성 : 상상된 고향과 내부 오리엔탈리즘. <한국방송학보> 34(5), 186-218.
Wooyeol Shin, Chagnwook Kim & Jaewon Joo. (2021). Hating journalism : Anti-press discourse and negative emotions toward journalism in Korea, Journalism. Volume 22 Issue 5, 1239–1255.
주재원 & 임이삭. (2022). 매개된 배타적 담론과 혐오적 공론장의 재생산: 제주 예멘 난민 관련 포털 뉴스와 댓글 분석을 중심으로. <지역과 세계>, 46(1), 97-134.
주재원. (2022). 한중수교 이후 한국 언론의 대중(對中) 담론 연대기. <동북아연구>, 37(2), 5-49.
한선, 주재원 & 양선희.(2023). 공동제작 시스템의 질적 제고를 위한 탐색: 지역방송 생산자들의 작업문화를 중심으로. <방송문화연구>,35(1),135-176.
주재원 & 오예주. (2023). 연성화된 민족주의와 애국적 나르시시즘: 외국인 관찰예능 콘텐츠와 매개된 정체성. <언론과 사회>, 31(4), 90-143.
주재원 & 김창욱. (2023). 저인지(低認知) 과학저널리즘과 관행적 뉴스 담론 : 포항지진과 지열발전에 대한 보도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67(6), 256-297.
주재원, 김예은 & 최예림. (2024). 과학기술의 정치화와 원자력 담론의 양극화: 문민정부 이후 원전 관련 사설을 중심으로. <과학기술학연구>, 24(2), 188-231.
주재원. (2025). 지역방송의 자화상과 자기반영적 지역성: 미디어 모노컬처(Monoculture) 개념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26(2), 49-89.
Books
Jaewon Joo & Myria Georgiou (2009) Media and Cultural Diversity in Europe and North America (단행본, 공저). Paris: Karthala.
주재원 (2013) <게임포비아> (단행본, 공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주재원 외 (2014) <커뮤니케이션의 새로운 은유들> (단행본, 공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주재원 외 (2016) <한국 다문화주의 비판> (단행본, 공저), 서울: 앨피.
주재원 (2016) <민족주의와 미디어의 공공성> (단행본),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주재원 외 (2023) <현대사회와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단행본, 공저), 서울: 한울아카데미.
Research Projects
주재원 외 (2008) 해외 방송통신 통합기구의 운영성과 및 시사점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책임연구자: KISDI 신호철 박사)
주재원 외 (2010) 2010년도 디지털 전환 시범사업 평가결과 보고서. 방송통신위원회. (연구책임자: 경남대 정상윤 교수)
주재원 (2014) 5.18 논문연구 용역사업. 5.18 기념재단. (단독연구)
주재원 & 김부열 (2017) 북한이탈주민들의 미디어 수용과 재현. KDI.
이국운, 손화철, 주재원 & 김창욱 (2017) 한국 사회의 공론장에서 원자력 담론의 위상 연구. 경희대 미래사회에너지정책연구원. (연구책임자: 한동대 이국운 교수)
주재원 & 김창욱 (2020) 신재생 에너지로서의 지열발전과 미디어 담론 - 11.15 포항 지진 전후 언론 보도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포항시 11.15 지진지열발전 공동연구단. (연구책임자: 한동대 주재원 교수)
주재원 외 (2022) KBS 지역방송 TV/Radio 차별화 방안 연구. 한국언론정보학회. (연구책임자: 경북대 김연식 교수)
주재원 (2022-2024) selling korea: 만연한 외국인 관찰 콘텐츠와 연성화된 민족주의. 한국연구재단. (연구책임)
주재원 (2024) 포항시 여성청년 일자리 활성화를 위한 연구. 포항시. (연구책임)
주재원 (2025) 포항시 여성꿈키움센터 조성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연구 용역. 경상북도 & 포항시. (연구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