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Goal
CMT: Advancing Research in Composites, Interface, and Fracture.
Composites: We investigate a wide range of composite systems, recognizing that their performance is largely governed by the interaction of their constituent materials.
Interface: Interfaces are pivotal in determining composite properties. Our research emphasizes adhesion, delamination, and surface preparation, aiming to optimize interfacial characteristics and unlock new material performance levels.
Fracture: All materials ultimately fail. We study fracture mechanisms to develop advanced diagnostic and evaluation methods, enabling accurate lifetime prediction and sustainable material design for next-generation structures.
At CMT, our research is driven by three critical perspectives: Composites, Interface, and Fracture. In today’s world, single materials are virtually nonexistent; most are composites formed by bonding dissimilar materials. With this in mind, we focus on developing advanced composites that address the challenges of modern engineering.
CMT Lab은 복합재료(Composites), 계면(Interface), 파괴(Fracture) 세 가지 핵심 관점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현대의 재료는 대부분 이종 재료 간 접합으로 이루어진 복합재료 형태를 띱니다. 따라서 CMT Lab은 다양한 복합재료의 개발과 성능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복합재료의 특성은 구성 재료 간 계면에 크게 좌우됩니다. 우리는 계면을 이해하고 최적화함으로써 성능을 극대화하고자 하며, 특히 접착·박리 현상과 표면조절을 통한 계면 형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모든 재료는 사용 과정에서 파괴에 이르게 되므로, CMT Lab은 파손 전 단계의 진단·평가 기술을 개발하고, 복합재료의 파괴 원인을 규명하여 수명 분석과 지속가능한 재료 설계로 연결하고자 합니다.
Dong-Jun Kwon - Google 학술 검색 Please visit the Google Scholar link above for all peer-reviewed papers.
◎ Projects
Active
2023.03 – 2029.02 그린에너지융합연구소, 한국연구재단, 중점연구소 (참여)
2023.03 – 2027.02 전기저항 측정법을 이용한 구조용 복합재료의 실시간 진단기술 연구, 한국연구재단, 신진연구 (책임)
2023.06 – 2025.12 탄소복합소재 적용 수소 연료전지 스택 BOS 부품의 UAM 상용화 실증, 한국탄소기술진흥원 (참여-책임)
2024.04 – 2028.12 연료탱크 보호 및 에어프레임 적용 가혹환경 부식방지용 실란트 제품 개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참여)
2025.04 – 2027.12 폴리에스터 복합섬유로부터 이종 섬유의 제거·분리 기술개발,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참여-책임)
2025.04 – 2027.03 지속사용 가능한 돔텐트 및 고속제조공정 기술개발 2단계,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에이티앤시 (위탁)
2026.01 – 2027.12 동적 에폭시 기반 재성형 가능한 건설용 복합 보강재 개발,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세라믹기술원 (참여-책임)
GNU 내부 사업: 글로컬 사업, RISE 지역 사업, 경남진주강소특구 사업, 반도체특성화인력양성 사업 등 (참여)
Completed
2023.06 – 2023.12 지속 사용 가능한 글램핑용 조립식 돔텐트 제조공정 가속화 기술개발 1단계, 중기부(TIPA, 산학연 Collabo 사업 1단계), 에이티앤시 (참여-책임)
2023.04 – 2024.03 Semi-Injection 기술을 이용해 Carcaqss와 EPDM 소재를 포함한 재활용 복합소재의 Trimming 성능을 대폭 개선시킨 Mower용 바닥재와 낙하 가이더 개발, 중기부(경남TP, 지역스타기업육성사업), (주)반석인더스트리즈 (참여-책임)
2023.03 – 2023.10 동력분산식 고속철도 차량용 경량 냉각팬 개발을 위한 소재/부품/접합 특성평가, 기업용역, 바스텍 (위탁)
2023.06 – 2024.12 항공 및 모빌리티용 안티아이싱/디아이싱 코팅기술, 산업부, 한국세라믹기술원 (위탁)
◎ Patents
층간 소음 방지용 조립식 발광 매트
출원 번호 (일자): 1020230082967 (2023.06.27)
등록 번호 (일자):
커피박을 이용한 블라인드 및 그 제작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230082961 (2023.06.27)
등록 번호 (일자):
탁상형 컵홀더
출원 번호 (일자): 1020230082965 (2023.06.27)
등록 번호 (일자):
플라스틱 폐기물을 이용한 유기용매 나노 여과막 및 이의 제조 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230017137 (2023.02.09)
등록 번호 (일자):
스마트 시멘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230006071 (2023.01.16)
등록 번호 (일자):
기계적 물성 및 자가 치유 특성이 향상된 고분자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출원 번호 (일자):1020230004034 (2023.01.11)
등록 번호 (일자):
손상감지가 가능한 섬유강화 복합재료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섬유강화 복합재료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손상진단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220127753 (2022.10.06)
등록 번호 (일자):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함침성 측정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210141008 (2021.10.21)
등록 번호 (일자): 1026237370000 (2024.01.08)
섬유강화 복합재 제조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210082535 (2021.06.24)
등록 번호 (일자): 1024628990000 (2022.10.31)
태양전지가 구비된 블레이드
출원 번호 (일자): 1020210058317 (2021.05.06)
등록 번호 (일자): 1026146230000 (2023.12.12)
다공성 섬유복합재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공성 섬유복합재 제조 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190140006 (2019.11.05)
등록 번호 (일자): 1022391890000 (2021.04.06)
필기도구와 종이를 이용한 저가형 압축센서 및 그 제조 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190118969 (2019.09.26)
등록 번호 (일자): 1020556550000 (2019.12.09)
연필을 이용한 저항센서를 포함하는 손상 매핑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180046879 (2018.04.23)
등록 번호 (일자):
연필을 이용한 저항센서를 포함하는 물성 및 박리 평가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180046874 (2018.04.23)
등록 번호 (일자):
필기도구와 종이를 이용한 저가형 압축센서 및 그 제조 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180006335 (2018.01.18)
등록 번호 (일자):
폐탄소섬유의 재활용 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170136231 (2017.10.20)
등록 번호 (일자): 1019209120000 (2018.11.15)
복합재료의 박리정도 및 계면강도 평가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170093236 (2017.07.24)
등록 번호 (일자): 1020202140000 (2019.09.04)
에폭시 수지내 고용량의 베타형 나노입자 고속 분산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140042303 (2014.04.09)
등록 번호 (일자): 1015837520000 (2016.01.04)
p-DCPD 성형품의 고속 압축 성형 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140013442 (2014.02.06)
등록 번호 (일자): 1015737070000 (2015.11.26)
손상 감지 센서용 CNT/p-DCPD 복합 재료의 제조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130156125 (2013.12.16)
등록 번호 (일자): 1014632150000 (2014.11.12)
전도성 섬유와 수지간 계면물성 평가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130100189 (2013.08.23)
등록 번호 (일자): 1014839810000 (2015.01.13)
복합재료 내 강화제의 분산도 평가방법
출원 번호 (일자): 1020130027395 (2013.03.14)
등록 번호 (일자): 1014840240000 (2015.01.13)
◎ Chaper in Book
1. 2016 Interface/Interphase in Polymer Nanocomposite, Part 9. Nondestructive Sensing of Interface/Interphase Damage in fiber/Matrix Nanocomposites, Wiley, Zuo-Jia Wang, Dong-Jun Kwon, Jin-Yeong Choi, Pyeong-Su Shin, K. Lawrence DeVries, Joung-Man Park
2. 2015 Handbook of Polymer Nanocomposites. Processing, Performance and Application, Vol B: Carbon Nanotube Based Polymer Composites, Part 22. CNT-Based Inherent Sensing and Interfacial Properties of Glass Fiber-Reinforced Polymer Composites, Springer, Zuo-Jia Wang, Dong-Jun Kwon, Ga-Young Gu, Joung-Man 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