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Submitted, Under Review, and In Preparation
Han, S., & Kim, M. (In preparation). A Survey Analysis Study on AI-Based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Higher Education for University Education Targeting Industry Experts, Faculty Members, and Graduates.
한수미. (In preparation). AI 소설과 인간 소설 텍스트 비교 - 디지털인문학 분석을 중심으로.
한수미. (In preparation). AI 시대의 문해력 - Synthesis Research.
한수미. (In preparation). 프로젝트 기반 인문사회데이터분석 수업 실제.
1. Published Articles
한수미, 김현중, 송아인. (Submitted). 한국 중고등학생 대상 토의 기반 GB 세미나 수업 분석 사례 연구.
한수미, 김민지. (Submitted).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유아 영어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 분석. 영어학회.
한수미, 김민지. (Submitted). 공적개발원조 ESP교육을 위한 코퍼스 기초 연구: 아프리카 중심으로. ESP Review.
Kim, M., & Han, S. (2025). Register Variation in TED-Ed Videos: A Multidimensional Analysis Across Academic Disciplines.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25, 1026-1047.
한수미, 김민지. (2025). 생성형 AI 기반 영어학개론 수업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ESP Review, 7(1), 99-118.
이용원, 이연숙, 한수미. (2025). AI 기반 영어평가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종합연구 관점에서의 분석. 영어교과교육,24(1), 95-123.
김수윤, 한수미. (2024).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역대 대통령 연설문에 나타난 정치적 담론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논지, 25(12), 3871- 3884.
Kim, M., & Han, S. (2023). A case study on integrating machine translation into EFL writing instruction: Focusing on Google Translate.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23, 1111-1135.
서혜진, 한수미. (2023). 한국 초등영어교육 학술지에 나타난 연구 동향—계량서지학 분석을 중심으로. 영어영문학21, 36(4), 269-294.
김기연, 한수미. (2022).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구글 플레이 스토어 영어 학습 앱 사용자 리뷰 분석.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3(10), 1901-1908.
이용원, 한수미. (2021). 수능 영어 등급과 대학수학능력과의 관계—대학생 인식 설문조사. 영어영문학21, 34(4), 419-452.
김혜경, 한수미. (2021). AI 기반 영작문 학습도구에 대한 대학생 학습자 인식: Google Translate, Naver Papago, 그리고 Grammarly를 중심으로. 현대영어교육, 22(4), 90-100.
김혜경, 한수미. (2021). 플립드러닝 기반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학습효과,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및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3), 101-127.
Kim, H.-C. & Han, S. (2020). Text mining online-crowdsourced suggestions for urban and regional planning.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23(6), 1159-1182.
Han, S. & Kim, H.-K. (2019). Criterion feedback in college English writing instruction: Its effectiveness and student perception. Multimedia-Assisted Language Learning, 22(4), 11-33.
Han, S. (2019). Frequency, MI, and Congruency in collocation processing by Korean EFL learners: Evidence from reading aloud.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19(3), 325-346.
Han, S., & Shin, J.-A. (2017). Teaching Google search techniques in an L2 academic writing context. Language Learning & Technology, 21(3), 172-194.
Han, S. & Shin, J.-A. (2016). Exploring the role of automatically-derived text complexity features in L2 reading test development. Modern English Education, 17(2), 1-19.
Han, S., & Lee, Y.-W. (2016). Developing a collocation test for Korean EFL learners: Test validation and item format effect.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16(2), 221-243.
Han, S., & Shin, J.-A. (2015). Register variation in the lexico-grammatical and functional usages of MAKE and TAKE. Korean Journal of 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15(4), 917-939.
Han, S. (2015). [Book Review] The Handbook of Automated Essay Evaluation: Current applications and new directions. Language Testing, 32(4), 543−545.
2. Recent Presentations
한수미. (2025). AI Novels & Analysis.
한수미.(2024). 산업계 관점에서 본 AI 기반 인문사회계 고등교육 방향과 시사점. 한국소프트웨어종합학술대회, 2024년 12월 20일. 여수EXPO컨벤션센터, 여수.
Han, S., & Kim, M. (2024). Enhancing college English courses with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Insights into student perceptions and emotional dynamics. KATE 2024, July 5, 2024. Yeosu, Korea.
안선우, 한수미. (2024). 뉴스 빅데이터를 활용한 유아 영어교육에 관한 국내 언론보도 분석.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 연례학술대회, 2024년 6월 29일. 춘천교육대학교, 춘천.
한수미. (2023). SF 소설 코퍼스 구축과 디지털인문학적 분석 사례. 2023 ELLAK International Conference. December 16, 2023. Hanyang University, Seoul.
Han, S., & Kim, M. (2023). Validating Python packages for text analysis in literary studies.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December 9, 2023. Kyunghee University, Seoul.
한수미.(2022). 영어 교육과 AI 기술 활용: 그 현재와 미래. AI 시대의 영어 교육: 국가 경쟁력 강화와 영어 공교육 활성화 간담회, 2022년 9월 6일. 국회의원 회관 간담회실.
3. Books
Kim, H.-K., & Han, S. (2025). An analysis of flipped learning research trends in Korean EFL classrooms: Using big data techniques. In Reinders, H., Park, J.-K., & Lee, J. S. (Eds.), Innovation i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The case of Korea (pp. 281-301). London, UK: Palgrave Macmillan Cham.
한수미.(2024). AI와 영어 교육. 커뮤니케이션북스. Google Books 링크
송영숙, 심상진, 한수미, 고재선,(2019). 파이썬을 이용한 딥러닝 전이학습 (디파니안 사르카르, 러그허브 발리, 타모그나 고시 저). 위키북스.
4. Thesis & Dissertation
Han, S. (2015). Processing Formulaic Sequences by Native and Nonnative Speakers of English: Evidence from Reading Alou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orthern Arizona University, AZ, USA.
Han, S. (2009). Assessing Korean EFL Learners’ Collocational Competence: Item Formats and Receptive-Productive Dimension of Vocabulary Knowledge. Unpublished MA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ou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