얀센 Ad26.cov2.s

Ad26.cov2.s 정보

Ad26.cov2.s 기술은 아데노 바이러스를 항원 유전 코드의 벡터 (보균자)로 사용하여 병원체 (박테리아, 바이러스 또는 기타 질병을 일으키는 유기체)의 구성 요소를 모방한다. 항원 (병원균의 구성 요소)은 심각한 질병을 일으키지 않고 병원체를 모방하기 위해 생성된다. 신체가 항원을 만나면 신체는 면역 세포와 항체를 생성하여, 항원에 대해 오래 지속되는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Ad26.cov2.s는 무독성 아데노 바이러스 벡터 백신으로 SARS-Cov-2를 모방한 병원체이다. SARS-CoV-2의 바이러스 표면 스파이크 (S) 단백질은 바이러스 복제주기 및 중화 항체의 1차 표적에 중요하기 때문에 예방 조치의 핵심 표적이다. 시험관내 특성화는 안정화 치환(즉, S2의 힌지 영역에서 푸린 절단 부위 돌연변이 및 2개의 연속 프롤린)의 도입이 중화 vs 비중화 항체 결합의 비율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S 단백질의 예비 융합 형태를 암시한다. 더욱이, 야생형 신호 펩티드는 자연적으로 접이형 단백질에 필요한 올바른 절개에 가장 적합했다. 이러한 관찰 결과는 야생형 신호 펩티드가있는 막 결합에 안정화된 S 단백질을 인코딩하는 Ad26 벡터가 강력한 중화 체액성 면역 및 Th1 IFN-γ로 극성화된 세포 면역을 유도한 마우스에서 우수한 면역 원성을 나타내었다. 최적화된 SARS-CoV-2 용 Ad26 벡터 기반 백신인 Ad26.COV2.S는 현재 1상 임상 시험에서 평가되었다(NCT04436276). 또한, 임상 3상(NCT04614948)이 진행중이다.

얀센 사이트링크

Ad26.S.PP 면역화된 마우스에서 IFN-γ 분비 및 Th1/Th2 그래프 분석

a. Naïve BALB/c 생쥐는 10^8 또는 10^10 vp의 AD26.S의 예방접종을 받았다. Ad26.S.PP, Ad26.S (N = 그룹당 10 마리)Ad26.Empty(N = 5 마리)였다. ELISpot에 의해 측정된 면역 후 4주 후 백만 개의 스플렌노이드 당 세포를 생성하는 IFN 세포의 수를 비교하였다. 그룹당 중위수 반응은 수평선으로 표시되었다. 점선은 LLOD를 나타다. LLOD 이하의 반응을 보이는 동물들은 LLOD에 투여되었고 개방형 기호로 표시된다. b–e Naïve 마우스(그룹당 BALB/c, N = 6마리)는 AD26.S의 10^10 vp로 면역 접종되었다. 100µg Adju-Phos 위약으로 보정된 S 단백질 50µg과 비교되었다. 면역 샘플이 항체 및 세포 반응에 대해 분석된 지 2주 후를 나타내었다. b. ELISpot에 의해 측정된 백만 개의 스플렌노이드 당 세포를 생성하는 IFN 세포 수와 펩타이드 풀자극의 높은 배경 때문에 1마리의 마우스를 제외했다. 점선은 LLOD를 나타다. c. SARS-CoV-2S 단백질 펩타이드로 스판구 자극 후, 멀티플렉스 ELISA가 측정한 Th2(IL-4, IL-5 및 IL-10) 사이토카인 비율(IFN-α)이다. d. S 단백질 특이적 IgG 결합 항체 역가는 ELISA로 측정되었다. e. IgG2a 및 IgG1 ELISA로 측정한 IgG2a/IgG1 S 단백질 특이적 항체 역가의 비율이다. 점선은 1의 IgG2a/IgG1 비율을 나타낸다. IgG2a ELISA에서 LLOD 이하에서 반응을 보이는 생쥐는 열린 기호로 표시되었다. 수평선은 그룹 중앙값을 나타낸다. ANOVA (a)의 t- 검정, Tobit ANOVA (c, d)의 z-검정, 또한, Mann–Whitney U 검정 (b, e)에 의해 결정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별표 ** p <0.01, *** p <0.001 로 표시된다.

LLOD 점선(검출 하한), (vp 바이러스 입자).

얀센의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와 동일한 방식인 '바이러스벡터'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흔한 감기 바이러스인 아데노바이러스를 운반체로 이용하며, 1회만 접종하면 된다. 침팬지의 아데노바이러스인 ChAdOx1을 사용하는 아스트라제네카와는 달리 아데노바이러스26(Ad26)을 사용한다. 아데노바이러스 혈청형26(Ad26) 벡터에 SARS-CoV-2 바이러스의 S 단백질을 전달한 형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