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크숍 참여 전 참가 신청을 부탁드립니다.
성균관대학교 아카데믹 어드바이져 겸 초빙교수
성균관대학교 자연/공학계열 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및 진로지도
성균관대학교 유학대학에서 운영하는 <인문학을 위한 융합교육>이라는 비교과 프로그램 입니다. 학제 간 융합연구 및 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대에 정보통신기술의 도움을 받아 새로운 방식으로 인문학 연구 및 교육 등의 지적 활동을 수행하는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은 인문학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가치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본교 유학대학 에서는 디지털 인문학이 무엇인지, 인문학을 공부하고 있는 학생들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어떠한 연구 및 컨텐츠 개발을 할 수 있을지 등에 대해 실질적으로 이야기 나누어볼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한 프로그램입니다.
[관련 자료]
2021 유학대학 온라인 비교과 프로그램 인문학을 위한 융합교육 > 성료
한밭대학교 인문교육학부 부교수, 교수학습센터장, 교원양성지원센터장,
한국교육공학회 이사
한국지식재산교육연구학회 교육이사
문화산업이 새로운 국가 성장 동력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오늘날, 수준 높고 참신한 문 화콘텐츠를 지속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역사 배경과 지식 기반, 문화 전통 등을 아우르는 인문학적 기반이 매우 중요하게 요구됩니다. 다양한 전공의 학생들이 자기 전공의 한계를 넘어 서서 인문학적 기반을 바탕으로 사회과학적 시야와 미디어예술 분야의 소양을 겸비하도록 하는 것이 본 융합전공 개설의 목적입니다. 이를 통해서 앞으로 새로운 개념과 이미지, 이야기들을 기획, 제작, 유통시키는 주역으로서 우리 문화산업을 창의적으로 이끌어나갈 지도자들이 배출 될 것을 기대합니다.
[관련 자료]
한밭대학교 교수학습센터 https://ctl.hanbat.ac.kr/sub020201
한양대학교 철학과 교수, 미래인문학융합전공학부장, 과학철학교육위원회위원장
기술영향평가(TA)전문위원(2003~)
스마트네트워크기술(2013), 초고층건축물기술(2014), 블록체인기술(2018), 정밀의료기술(2020)의 평가위원장
국가과학기술자문위원회 미래인재특별위원회 위원
-
강원대의 '신입생 학습지원프로그램'은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한 '창의/협동형 인 재' 양성을 위해, 2022학년도 신입생 및 재입학생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진로탐색 및 맞춤형 학습/취업역량 함양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강원대는 ▲「각양각색 各樣各色」현장 연계형 새내기 진로탐색 ▲메이 저러너-신입/재입학생 멘토링 ▲신입생을 위한 학습역량 강화 특강 등의 학습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신입생들이 자신의 역량에 걸맞은 능력을 키워나갈 수 있 도록 돕고 있습니다.
[관련 자료]
강원대학교 교육혁신본부 https://itl.kangwon.ac.kr